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Policy Trends and Location Pattern Changes in Smart Green-Related Industries

스마트그린 관련 산업의 정책동향과 입지패턴 변화 연구

  • Young Sun Lee (Center for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KIET.Department of Urban Planning and Design, University of Seoul) ;
  • Sun Bae Kim (Center for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KIET)
  • 이영선 (산업연구원 지역균형발전연구센터.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공학과 ) ;
  • 김선배 (산업연구원 지역균형발전연구센터)
  • Received : 2024.03.27
  • Published : 2024.03.31

Abstract

Digital transformation industry contributes to the improvement of productivity in overall industrial production, the smart green industry for carbon neutrality and sustainable growth is growing as a future industr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status and role of the industry in the future industry innovation ecosystem through the analysis of the growth drivers and location pattern changes of the smart green industry. The industry is on the rise in both metropolitan and non-metropolitan areas, and the growth of the industry can be seen in non-metropolitan and non-urban areas. In particular, due to the smart green industrial complex pilot project, the creation of Gwangju Jeonnam Innovation City, and the promotion of new and renewable energy policies, the emergence of core aggregation areas (HH type) in the coastal areas of Honam and Chungcheongnam-do, and the formation of isolated centers (HL type) in the Gyeongsang region, new and renewable energy production companies are being accumulated in non-metropolitan areas. Therefore, the smart green industry is expected to promote the formation of various specialized spokes in non-urban areas in the future industrial innovation ecosystem that forms a multipolar hub-spoke network structure, where policy factors are the triggers for growth.

산업생산 전반의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는 디지털전환 산업과 함께 탄소중립 및 지속가능 성장을 위한 스마트그린 산업이 미래산업으로 성장하고 있다. 이 논문은 스마트그린 산업의 성장 동인과 입지패턴 변화 분석을 통해 미래산업 혁신생태계에서의 동 산업의 위상 및 역할 모색을 연구목적으로 한다. 동 산업은 수도권과 비수도권 모든 지역에서 증가세를 보이며, 비수도권 비도시 지역에서도 뚜렷한 산업 성장세를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스마트 그린 산단 시범사업, 광주전남 혁신도시 조성, 신재생에너지 정책 추진 등으로 호남권 및 충남 해안지역의 핵심 집적지(HH형) 부상, 경상권 지역에 고립 중심지(HL형) 형성 등 비수도권 지역에서 신재생에너지 생산기업의 집적이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스마트그린 산업은 정책적 요인이 성장 촉발 요인이며, 다극형 허브(Hub)-스포크(Spoke) 네트워크 구조를 형성하는 미래산업 혁신생태계에서 비도시지역의 다양한 특성화 소거점(Spoke) 형성을 촉진할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두용.민성환, 2021, "코로나 팬데믹의 국내 지역경제 영향," i-kiet 산업경제이슈 114, pp.1-12.
  2. 관계부처 합동, 2019, 일자리창출과 제조업혁신을 위한 산업단지 대개조 계획(안), 2019.11.19.
  3. 관계부처 합동, 2020,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 2020.7.14.
  4. 관계부처 합동, 2022, 산업단지 혁신 종합대책, 2022.11.3.
  5. 김광구, 2003, "공간자기상관(spatial autocorrelation)의 탐색과 공간회귀분석(spatial regression)의 활용,"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제13호, pp.273-294.
  6. 김선배.이상호.배진원.백승민.이영선, 2023, 메가시티 리전의 성장주도산업 선정과 혁신성장 플랫폼 구축 방안 연구, 산업연구원.
  7. 김성희, 2020, "공간단위별 산업집적 분석 방법 연구: 뿌리 산업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6), pp.256-266. https://doi.org/10.5392/JKCA.2020.20.06.256
  8. 김원규, 2020, 산업혁신정책의 효과분석과 정책시사점, 산업연구원, 세종, p.15.
  9. 김진유 외, 2016, "서울대도시권의 산업별 고용분포 변화분석(2000~2010)," 부동산분석 2(1), pp.103-118.
  10. 박유민.김영호, 2012, "환경적.사회적 영향을 고려한 태양광발전소의 기존 입지 타당성 평가 및 지속가능한 입지 제안,"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5(3), pp.437-455. https://doi.org/10.23841/EGSK.2012.15.3.437
  11. 박정은, 2022, "지역거점 조성 및 활성화를 위한 혁신지구 제도 활용 방안," 월간 국토 통권488호(2022.6.), p.20.
  12. 사호석, 2020, "신산업의 공간분포 패턴과 집적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3(2), pp.125-146. https://doi.org/10.23841/EGSK.2020.23.2.125
  13. 산업통상자원부, 2020, 스마트그린산단 실행전략 발표, 2020.9.17.
  14.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2022, SW융합실태조사보고서.
  15. 오유진, 2019, 국내 에너지저장장치(ESS) 현황 및 전망, 하나 산업정보, 하나금융경영연구소.
  16. 이상호.김수동.최준석.김송년.이고은.이영선.이정윤, 2023, 저탄소산업단지 구현을 위한 자원순환산업 육성 방안 연구, 산업연구원(발간 예정).
  17. 이정섭.이강원.지상현, 2022, "태양광 발전의 분포 변화: 시군구 단위에서의 분석,"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5(4), pp.484-498. https://doi.org/10.23841/EGSK.2022.25.4.484
  18. 이종호.이철우, 2016, "스마트전문화 전략 및 트리플헬릭스 혁신체계와 클러스터 정책의 연계를 통한 대안적 지역산업정책의 모색," 한국경제지리학회 19(4), pp.799-812.
  19. 정도채, 2022, "저밀도 경제 논의와 주변부 지역 산업 성장의 특성," 한국경제지리학회 25(4), pp.583-599.
  20. 정도채.정유리.김정승.김유나, 2019, 저밀도 경제 기반의 농촌산업 활성화 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1. 주미진, 2021, "4차 산업의 공간적 분포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1(4), pp.434-446. https://doi.org/10.5392/JKCA.2021.21.04.434
  22. 정선영.장동산, 2023, 코로나19 이후 생산성 변화의 주요 특징 및 시사점, BOK 이슈노트 2023-3호, 한국은행.
  23. 지식경제부, 2008a, 저탄소 녹색성장의 열쇠, 「그린에너지산업 발전전략」 발표, 2008.9.11.
  24. 지식경제부, 2008b, 「제3차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 및 이용.보급 기본계획(2009~2030)」.
  25. 한국산업단지공단, 2014, 산업단지 50년의 성과와 발전 과제, 한국산업단지공단, pp.43-63.
  26. 허원녕, 2020, 스마트 그린 산단 구축을 위한 에너지 부문 현황과 과제, 한국산업단지공단 산업입지연구소.
  27. 혁신성장정책금융센터, 2022, 2022 혁신성장&뉴딜투자 공동기준 매뉴얼, 산업은행, pp.19-41.
  28. 환경부, 2023, 제1차 녹색융합클러스터 기본계획(2023~2027).
  29. Park, J. I. and Lee, S. 2017, "Examining the spatial patterns of green industries and the role of government policies in South Korea: Application of a panel regression model (2006-2012),"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78, October 2017, pp.614-623. https://doi.org/10.1016/j.rser.2017.04.061
  30. Leydesdorff, L., 2012, "The knowledge-based economy and the triple helix model," Annual Review of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31. Lee, Y. R., Akbarov, D. and Cleave, J., 2021, The Hydrogen Economy South Korea, Departure for International Trade, p.4.
  32. 전국사업체조사, https://kosis.kr/publication/publicationThema.do (최종열람일: 2024년 1월 25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