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Educational Program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Mixed-use School Facilities C - Focusing on 'Eumteo' of Hwaseong-si, Gyeonggi-do -

학교시설 복합화의 교육프로그램과 공간특성에 관한 연구 - 경기도 화성시 복합화 이음터를 중심으로 -

  • 서유정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실내건축설계학과) ;
  • 심은주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실내건축설계학과)
  • Received : 2023.12.03
  • Accepted : 2024.01.22
  • Published : 2024.03.31

Abstract

Complex school facilities are being considered to meet increased public demands for culture and welfare in Korea, given the decreasing population. In this context, Gyeongi-do Hwaseong City's E-umteo is recognized as a relatively well-operated school complex. Therefore, this study considered seven E-umteo branches as case studies to examine the operations of educational programs and understand the techniques employed in the spatial configuration of E-umteo. To this end, field observations and interviews with facility operators were conducted. The case analysis results revealed that educational programs could b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learning sharing , community communication, and lifelong learning. Furthermore, the learning sharing type was classified into education and physical education while the community communication type was classified into the community and convenience types. Meanwhile, lifelong learning was identified as the most actively used type by differentiating specialized programs. With regard to the spatial composition between the school and the "pitcher," only the connection and independent types were observed, and no integral type was discovered. Therefore, integrated future studies are mandated.

우리나라는 인구감소와 시민들의 문화 및 복지에 대한 수요 증가로 학교시설의 복합화 사업을 통해 공공시설에 대한 기대와 수요를 충족 하려고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모범사례인 화성시 '이음터'를 기반으로 학교시설 복합화의 개념을 정리하고, 교육프로그램 및 공간 특성을 분석하여 효율적인 교육프로그램을 수행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사례연구의 대상은 화성시의 7개의 이음터를 선정하여, 현장답사 및 시설운영자를 대상으로 현장 관찰과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사례분석의 결과로 교육프로그램 유형은 학습 나눔, 공동 소통, 평생 배움으로 도출하였다. 학습 나눔은 교육과 체육시설로 지역사회의 연대감과 교류를 증진 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주민들의 높은 이용률과 활성화된 지역사회의 중심으로 자리 잡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공동 소통은 커뮤니티, 편의시설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커뮤니티시설로는 다목적홀과 소통홀, 편의시설로는 주차장과 카페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었다. 평생 배움은 다양한 문화시설의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화성시만의 차별화된 특화 프로그램으로 이음터 중 가장 활발히 운영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다원화된 사용자 계층에 따른 적합한 교육프로그램과 운영을 위한 학교와 복합화의 일체형 연계유형 연구도 필요하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3년 건국대학교의 연구년교원 지원에 의하여 수행된 연구임

References

  1. 김현주(2019). 지역특이성을 고려한 학교복합화시설 건축계획 연구-동탄2 신도시 사례를 중심으로-.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이무희(2017). 학교시설 복합화 대상기능 및 프로그램 구성에 관한 연구-경기도 화성시 학교시설 복합화(이음터)프로그램 구성제안-.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이소민(2019). 학교시설 복합화에 따른 공유공간의 계획방향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이주연(2020). 도시재생과 연계한 학교시설 복합화의 실효성에 관한 연구. 세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 오해진(2007). 학교 복합시설의 운영에 관한 연구-서울특별시 초등학교 시설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김승제(2009). 초등학교시설 복합화 유형 특성에 관한연구. 한국교육시설학회. 16-01.
  7. 남지현(2023). 삶의 질 확충을 위한 경기도형 생활 SOC복합화 방안, 경기연구원, 115.
  8. 조도연(2017). 동탄2신도시에 위치하는 학교복합시설의 설계사례와 개선방안. 대한건축학회. 62-01.
  9. 조진일(2008). 학교시설 복합화의 현안진단 및 활성화 방향. 한국교육개발원. 05-05.
  10. 황성아, 이지훈, 김형우(2003). 초등학교시설 개방과 복합화의 공간구성 유형에 관한 연구-서울시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03-01.
  11. 교육인적자원부. (2003). 학교시설복합화 사례집.
  12. 경기도교육청. (2023). 생활SOC와 연계한 학교시설 복합화. 업무편람II3차 개정판.
  13. 서울시교육청. (2021). 생활SOC학교시설복합화 담당자교육 자료집.
  14. 한국교육개발원. (2023). 2023학교복합시설 상반기 교육.연수 자료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