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ultiple-Parallel Mediation Effects of Depression·Anxiety and Ang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nger-out and Interpersonal Problems in Men

성인 남성의 분노 표출과 대인관계 문제와의 관계에서 우울·불안과 분노감의 다중병렬매개효과

  • 김하서 (홍익대학교 교육학과) ;
  • 이병희 (삼육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Received : 2023.10.20
  • Accepted : 2024.01.23
  • Published : 2024.03.31

Abstract

Background: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ultiple-parallel mediation effects of depression, anxiety, and ang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nger-out and interpersonal problems in men. In add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provide a basis for supporting psychological services alongside therapeutic services as a way to increase the overall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men. Design: Survey. Methods: This study targeted 208 adult men aged 20 to 59 years. Participants were recruited through online cafe postings, and data were collected by running an online survey link. Based on the collected data, correlations between variables were investigated, and multiple parallel mediat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model (Model 4) presented by SPSS PROCESS Macro. In addition, the significance of statistics was confirmed by applying the bootstrapping method, and the significance of the indirect effect was confirmed by the Sobel Z test. Results: First, Anger-out in men is related to interpersonal problems(β=.614, P<.001). Second, it can see that anger-out not only increases depression·anxiety, but also increases anger. Third, Anger-out has been shown to increase depression, anxiety, and anger, leading to increasing interpersonal problems. Anger-ou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depression, anxiety(β=.324 P<.001), and anger(β=.551, P<.001), and depression, anxiety(β=.239, P<.001), and anger (β=.318, P<.01) had a significant effect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Lastly, it can be seen that men's anger-out is experienced more as anger than depression or anxiety. Conclusion: When providing medical services to men, I believe that if externally expressed anger is addressed along with therapeutic treatment, invisible depression can also be intervened and a more positive prognosis can be expected

Keywords

References

  1. 강상경. 우울이 자살을 예측하는가?: 우울과 자살태도 관계의 성별연령 차이. 사회복지연구. 2010;41(2):67-100.
  2. 강은영, 이현정. 대학 신입생 실태조사를 통한 학생 특성 및 학생상담센터 요구도 분석. 대학생활연구. 2022;28(1):23-39.
  3. 고경봉, 김상준. 본태성 고혈압환자들과 정상인들 간의 분노의 비교. 정신신체의학. 1995;3(1):19-27.
  4. 고희경, 현명호. 완벽주의와 분노 표현양상 간 관계에서의 인지적 대처전략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임상. 2009;28(1):97-116.
  5. 권석만. 인간관계 심리학. 서울:학지사. 2004.
  6. 권석만. 젊은이를 위한 인간관계의 심리학. 서울:학지사. 2018.
  7. 권선주. 대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분노 억제 및 분노표출의 매개효과.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지. 2021;16(1):1-16.
  8. 김근혜. 예비유아교사의 분노표출양식과 정신건강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20;20(1):143-160.
  9. 김모아, 이영호. 분노 신념과 분노표현이 불안, 우울, 신체화, 정신병질, 자기애에 미치는 영향. 인간이해. 2013;34(2):193-213.
  10. 김미애, 김영호. 가정폭력 유발요인이 분노와 폭력행동에 미치는 영향. 재활심리연구. 2010;17(3):95-115.
  11. 김상우, 김지현. 중학생의 학교폭력 피해경험과 가해경험 간 관계: 학교풍토에 대한 인식의 종단적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22;22(21):485-500.
  12. 김상우, 임소라. 아동의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사이버폭력 피해경험에 미치는 영향에서 또래애착의 조절효과 검증.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2023;30(3):91-104.
  13. 김상우, 이병희. 물리치료학과 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와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2020;27(2):48-62.
  14. 김상우, 조민아. 또래애착이 아동의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2022;29(3):63-74.
  15. 김영아. 노년기 죽음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자아통합감, 좋은 죽음 인식, 비합리적 신념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대학원. 2021.
  16. 김영환, 진유경, 조용래, 권정혜, 홍상황, 박은영. 한국형 대인관계문제검사의 타당화: KIIP-C 와 KIIP-PD 의 신뢰도와 타당도. 한국심리학회지:임상. 2002;21(2):391-411.
  17. 김정호, 강기노, 나수양.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이 긍정, 부정감정을 통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2016;6(7):199-208.
  18. 김지현, 최희철. 남성 성역할과 우울의 관계에서 자기존중감의 매개효과: 도구성과 성역할 갈등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여성. 2007;12(2):145-160.
  19. 김지현, 하문선, 김복환, 하정혜, 김현정. 한국 단축형 성역할 척도(KSRI-SF; Korean Sex Role Inventory-Short Form) 타당화 연구. 상담학연구, 2016;17(1):125-147.
  20. 김태은, 안윤영. 대학생의 정서적 학대 경험과 분노와의 관계에서 자기체계 손상의 다중병렬매개효과. 한국가족복지학. 2021;26(1):131-146.
  21. 김택성, 홍상황. 분노유발사건과 분노표출과의 관계에서 특성분노와 인지적 평가자원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학교. 2008;5(3):269-287.
  22. 김혜원, 원성두, 김은정. 거절민감성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분노표현양식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임상심리 연구와 실제. 2022;8(1):93-119.
  23. 남경아. 성인의 분노표현 방식과 뇌졸중 위험 요인. 동서간호학연구지. 2011;17(1):16-23.
  24. 남귀숙, 이수진.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데이트 폭력 가해와의 관계: 분노표현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학교. 2020;17(1):87-107.
  25. 노명선, 전홍진, 이해우, 이효정, 한성구, 함봉진. 대학생들의 우울장애에 관한연구: 유병율, 위험요인, 자살행동 및 기능장애. 신경정신의학. 2006;45(5):432-437.
  26. 대검찰청. 범죄분석. 2023. 2023. 1. 11.
  27. 민희진, 박경. 분노반추가 분노에 미치는 영향: 작업기억용량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임상심리학회. 2015;34(2):391-409.
  28. 박미라. 대학 신입생의 정신건강 관련 상담 요구에 관한 연구 - 스트레스, 우울.불안, 분노조절, 대인관계를 중심으로. 기독교교육논총. 2017;52:221-256.
  29. 박민향, 정계현. 간호대학생의 우울 및 분노가 대인관계문제 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Crisisonomy. 2018;14(2):191-203.
  30. 박정심. 남성성과 여성성이 분노 억제와 분노 표출에 미치는 영향: 성별의 조절효과.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31. 박정은, 홍혜영. 아동기 정서적 학대 경험이 대학생의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분노 억제와 분노 표출의 매개효과. 청소년시설환경. 2022;20(4):27-37.
  32. 박종익, 김영주, 조맹제. 한국판 일반 건강 설문지의 요인 구조.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12;51:178-184.
  33. 변혜선, 김경혜, 이다겸. 간호대학생의 분노 표현 대인관계 및 우울 간의 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020;21(4):91-99.
  34. 서수균, 권석만. 한국판 공격성 질문지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임상. 2002;21(2):487-501.
  35. 성소영, 박기환.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자살사고의 관계: 분노억제와 우울의 이중매개효과. 한국건강심리학회. 2018;23(1):209-230.
  36. 송지은, 황순택, 전미주. 분노수준과 분노표현양식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2009;6(2): 213-227.
  37. 안가연, 김종운, 김미희. 이공계 대학생의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분노표현양식 및 대처전략 간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6;16(7):481-498.
  38. 안은선, 황화란, 박윤수. 집단모래놀이치료가 대학생의 분노표현 및 대인관계 문제에 미치는 효과. 상징과모래놀이치료. 2019;10(1):89-107.
  39. 안재희, 이아라. 대학생의 특성분노와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016;23(6):47-69.
  40. 안하얀, 서영석. 성인애착과 Young의 단절 및 거절 도식에 따른 집단 분류와 우울, 불안 및 대인관계문제에 대한 집단 간 차이. 한국심리학회지:상담 및 심리치료. 2011;23(4):943-969.
  41. 오영현, 송영혜. 분노조절 프로그램이 시설아동의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 재활과학연구. 2009;27(1):11-37.
  42. 우성범, 양은주. 한국판 남성우울척도 (Korean Masculine Depression Scale) 타당화 연구. 인간발달연구. 2014;21(2):115-132.
  43. 유경아. 성인 남성의 분노 사고 및 분노 표출 행동 변화를 위한 인지행동치료 사례연구. 아동가족치료연구. 2023;21:68-97.
  44. 이경희, 김남희. 간호대학생의 심리적 성장환경, 자기개념 명확성, 공격성의 관계. 2016;6(10):195-206.
  45. 이근배, 조현춘. 반추초점과 분노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일반. 2011;30(2):397-418.
  46. 이명인, 서혜영, 황순정. 분노표현과 대인관계문제에서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디지털융합복합연구. 2021;19(1):295-302.
  47. 이민선, 채규만. 대학생의 자아존중감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정서조절방략의 매개효과. 인지행동치료. 2012;12(1):63-75.
  48. 이용미. 중년여성의 분노 경험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2.
  49. 이지수, 이훈진, 이준득. 정서표현 및 대인관계 문제와 통증 경험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임상심리 연구와 실제. 2018;4(2):281-305.
  50. 전겸구, 한덕웅, 이장호. 한국판 상태-특성 분노 표현 척도 (STAXI-K) 개발 및 타당화 연구 (STAXI-K):The case of college students. 한국심리학회지:건강. 1998;3(1):18-32.
  51. 전겸구. 분노의 종합적 이해를 위한 시도. 한국미술치료학회. 2000;7(1):1-31.
  52. 전현숙, 손정락. 역기능적 분노표현 및 비합리적 신념과 마음챙김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011;30(2):377-396.
  53. 정미리. 분노와 스트레스 사건에 대한 반추가 대학생의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5.
  54. 정옥경. 남자 대학생의 남성다움 위협이 부적정서와 상태자존감에 미치는 영향: 남성다움 자극의 중재효과. [박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대학원. 2023.
  55. 조영임, 주은선. 30대 한국 성인 남성의 우울증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사회과학연구. 2020;59(1):329-379.
  56. 조영주. 대학생의 성역할 정체감, 대인관계문제 및 대인관계만족의 관계: 성차를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2020;21(4):169-195.
  57. 조용래. 역기능적 신념의 변화가 인지행동치료 후의 사회불안증상의 개선을 예측하는가?. 인지행동치료. 2020;20(2):115-134.
  58. 조은희. 간호대학생의 지각된 스트레스와 불안과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2019;9(10):677-688.
  59. 조현주, 전태연, 채정호, 우영섭, 최정은, 기백석, 임현우. 우울장애의 불안, 신체화, 분노 증상과 정서조절방략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임상. 2007;26(3):663-679.
  60. 지가영. 남성의 우울과 전문적 도움추구 태도의 관계에서 성역할 갈등, 사회적 낙인, 자기 낙인의 매개효과.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2.
  61. 채유경. 사회적 지지 및 결과 예측적 사고가 청소년의 분노 표현방식에 미치는 조절 효과. 상담학연구. 2001;2(1):117-132.
  62. 최영자. 한국 성인 분노 척도 개발과 타당화. [박사학위논문] 선문대학교 대학원. 2022.
  63. 최임정, 심혜숙.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분노표현양식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상담 및 심리치료. 2010;22(2):479-492.
  64. 최지혜, 조혜진. 예비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분노표현양식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8;18(70):411-430.
  65. 통계청. 2022년 사망원인통계 결과. 2023. 2023. 9. 21.
  66. 통계청. 2022년 사회조사 결과. 2022. 2022. 11. 16.
  67. 하은혜, 오경자, 송동호, 강지현. 우울장애와 불안장애 청소년을 위한 집단 인지행동치료 효과의 예비연구. 한국임상심리학회지. 2004;23(2):263-279.
  68. 홍상황, 박은영, 김영환, 권정혜, 조용래, 진유경. 한국형 대인관계문제검사 원형척도의 단축형(KIIP-SC) 구성. 한국심리학회지:임상. 2002;21(4):923-940.
  69. Asher, M., Asnaani, A., & Aderka, I. M. Gender differences in social anxiety disorder: A review. Clinical Psychology Review. 2017;56:1-12.
  70. Baumeister, R. F., & Exline, J. J. Self-control, morality, and human strength.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2000;19(1):29-42.
  71. Bettencourt, B. A., & Miller, N. Gender differences in aggression as a function of provocation: A meta-analysis. Psychological Bulletin. 1996;119(3):422-447.
  72. Bushman, B. J., & Anderson, C. A. Violent video games and hostile expectations: A test of the general aggression model.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002;28(12):1679-1686.
  73. Buss, A. H., & Perry, M. The aggression questionnair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ical Psychology. 1992;63:452-459.
  74. Cochran, S. V., & Rabinowitz, F. E. Gender-sensitive recommendations forassessment and treatment of depression inmen. Professional Psychology: Research and Practice, 2003;34(2):132.
  75. Danoff-Burg, S., Mosher, C. E., & Grant, C. A. Relations of agentic and communal personality traits to health behavior and substance use among college student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2006;40(2):353-363.
  76. Ghaed, S. G., & Gallo, L. C. Distinctions among agency, communion, and unmitigated agency and communion according to the interpersonal circumplex, five-factor model, and social-emotional correlates.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2006;86(1):77-88.
  77. Goldberg, D. P., & Hiller, V. F. A scaled version of the General Health. Questioanrire. Psychol Med. 1979;9:139-145.
  78. Harmon-Jones, E., & Harmon-Jones, C. Anger and motivation: The contribution of approach-avoidance motivation to anger and its relationship with extraversion and neuroticism. Journal of Personality. 2016;84(4):449-463.
  79. Havva, T. Anger and depression among the elderly people with hypertension. Neurology, psychiatry and brain research. 2013;19:109-113.
  80. Helgeson, V. S., & Fritz, H. L. The implications of unmitigated agency and unmitigated communion for domains of problem behavior. Journal of Personality. 2000;68(6):1031-1057.
  81. Helgeson, V. S., & Fritz, H. L. Unmitigated agency and unmitigated communion: Distinctions from agency and communion.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1999;33(2):131-158.
  82. Hollon, S., & Gerber, J. Cognitive therapy for depression. A Social Cognitive Perspective.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1990;16(1):58-73.
  83. Horowitz, L. M., & Vitkus, J. The interpersonal basis of psychiartric symptoms. Clinical Psychology Review. 1986;6:443-469.
  84. Horowitz, L. M., Rosenberg, S. E., Baer, B. A., Ureno, G., & Villas enor, V. S.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s: Psychometric properties and clinical application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1988;56:885-892.
  85. Jerome, E. L., & Liss, M. Relationships between sensory processing style, adult attachment, and coping.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2005;38:1341-1352.
  86. Kassinove, H., & Tafrate, R. C. Anger management: The complete treatment guidebook for practitioners. Impact Publishers. 2002.
  87. Kring, A. M., & Gordon, A. H. Sex differences in emotion: Expression, experience, and physiolog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98;74(3):686-703.
  88. Kupper, N., & Denollet, J. Social anxiety in the general population: Introducing abbreviated versions of SIAS and SPS.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2012;136(1-2):90-98.
  89. Lemay, E. P., Overall, N. C., & Clark, M.S. Experiences and interpersonal consequences of hurt feelings and anger.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2012;103(6):982-1006.
  90. Lemerise, E. A., & Dodge, K. A. The development of anger and hostile interactions. In M.Lewis & J. M. Haviland (Eds.), Handbook of emotions. New York: Guilford. 1993;537-546.
  91. Novaco, R. W. Anger as a risk factor for violence among the mentally disordered. In J. Monahan & H. J. Steadman (Eds.), Violence and mental disorder: Developments in risk assessment.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4;21-59.
  92. Nunn, J. S., & Thomas, S. L. The angry male and the passive female: The role of gender and self-esteem in anger expression.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an international journal. 1999;27(2):145-153.
  93. O'Brien, R., Hart, G., & Hunt, K. "Standing out from the herd": Men renegotiating masculinity in relation to their experience of illness. International Journal of Men's Health. 2007;6(3):178-200.
  94. Oishi, S., Schimmack, U., & Diener, E. Pleasures and subjective well-being.European Journal of Personality. 2001;15(2):153-167.
  95. Oliffe, J. L., & Phillips, M. J. Men, Depression, and Masculinities:A Review and Recommendation. Journal of Men's Health. 2008;5(3):194-202.
  96. Parrott, D. J. Anger, aggression, and violence: Assessment and intervention.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2014;92(2):131-140.
  97. Puhalla, A. A., & Robinson, M. A. The relationship between anger and violence: An updated review. Aggression and Violent Behavior. 2018;42:23-34.
  98. Sharkin, B. S. Anger and Gender: Theory, research, and implications. Journal of Counseling & Development. 1993;71(4):386-389.
  99. Shrout, P. E., & Bolger, N.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 experimental studies: 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Psychological methods. 2002;7(4):422-445.
  100. Soldz, S., Budman, S., Demby, A., & Merry, J. A short form of the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s circumples scales. Assessment. 1995;2(1):53-63.
  101. Spielberger, C. D., Jacobs, G., Rusell, S. F., & Crane, R. S. Assessment of anger:The state-trait anger scale. In Butcher, J. N., & Spielberger, C. D.(Eds.), Advances in personality assessment(2nd ed). Hillsdale: Lawrence Erlbaum. 1983;159-187.
  102. Spielberger, C. D., Johnson, E. H., Russel, S. F., Crane,R. J., Jacobs, G. A., & Worden, T. J. The experience and expression of anger: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an anger expression scale. In Chesney M. A., & Rosenman R. (Eds.), Anger and hostility in cardiovascular and behavioral disorders. New York: Hemisphere. 1985;5-30.
  103. Spielberger, C. D., Reheiser, E. C., & Sydman, S. M. Measuring the Experince, Expression, and Control of Anger. I ssues in Comprehensive P ediatric N ursing. 1995;18(3):207-2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