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In order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carbon neutrality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this study identifies the current state of social environmental education through literature research, excluding 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 being implemented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the province, and identifies shortcomings or problems. The purpose is to establish a plan to systematically and integratedly operate social environmental education, and the derived plan can be used as a guide to change environmental awareness and induce eco-friendly behavior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carbon neutrality. As a result of the study,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established a consultative body with environmental education institutions, organizations and expert groups operating dispersed throughout the province through the substantial operation and support of the environmental education center currently being entrusted,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and develop content necessary for establishing environmental education policies, establishing a platform to enable information sharing, role division, regular communication, empathy, and policy feedback, and on-site environmental education centered on the field to stimulate emotions and personalize environmental problems so that environmental problems can be properly recognized. Emphasizing the necessity.
본 연구는 제주특별자치도의 탄소중립 실효성 제고를 위헤 도내 초·중·고에서 실시하고 있는 학교 환경교육은 제외하고, 사회 환경교육의 실태를 문헌연구를 통해 파악하여 부족한 점 또는 문제점을 도출하고, 사회 환경교육을 체계적이고 통합적으로 운영하는 방안을 구축하는 데 목적이 있으며, 도출된 방안은 탄소중립 실효성 제고를 위해 환경에 대한 인식 전환과 친환경적 행동 유도의 지침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 결과 제주특별자치도는 현재 위탁 중인 환경교육센터의 내실 있는 운영과 지원을 통해 도내에 분산 운영되고 있는 환경교육 기관·단체 및 전문가 그룹과 협의체를 구축하여 환경교육 정책수립에 필요한 현황 파악, 콘텐츠 개발, 정보공유, 역할 분담과 정기적 소통·공감 및 정책 피드백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플랫폼을 구축하고 환경문제를 올바르게 인식할 수 있도록 감성을 자극하고 환경문제를 자기화하는 현장을 중심으로 한 현장 환경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