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knowledgement
본 과제(결과물)는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재원으로 지원을 받아 수행된 3단계 산학연협력 선도전문대학 육성사업(LINC 3.0)의 연구 결과 입니다.
References
- 구옥종, 2005, "장애아동 통합교육의 현황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 김미선, 이정교, 2021, "다감각자극환경 기반의 치유공간 디자인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16(1), 69-80 https://doi.org/10.35216/KISD.2021.16.1.69
- 김민경, 박남규, 2019, "자폐스펙트럼 아동을 위한 다감각환경 기초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1(1), 241-246
- 김진철, 강병근, 성기창, 2009, "특수학급 공간구성의 학교급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15(3), 71-77
- 김태현, 이남규, 김용성, 2023, "바이오필릭 관점을 통해 바라본 정서장애 특수학교의 공간 분석 연구 -자폐성 장애 아동을 중심으로-", 한국공간디자인학회, 18(3), 255-270 https://doi.org/10.35216/KISD.2023.18.3.255
- 박계신, 2013, "유치원 교사의 자폐성 장애에 대한 지식과 자폐성 장애유아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9(3), 261-291
- 박창현, 김근진, 김경희, 정유나, 2021, "장애아동 관련 실태조사 및 종합적 지원체계 구축방안 연구", 교육부 육아정책연구소
- 안은숙, 임윤선, 2011, "자폐성 장애아동의 예술치료 선행연구 분석을 통한 프로그램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 임경란, 리평, 2013, "정서 및 행동 장애아동의 발달을 지원하기 위한 치료 공간 특성 분석- 놀이 치료 공간을 중심으로 -", 한국기초조형학회, 14(6), 305-317
- 조귀희, 문예은, 이주연, 2020, "어린이집 장애영유아 통합보육에 관한 연구 동향", 한국보육지원학회, 16(1), 21-49
- 조명민, 정아영, 공순구, 2014, "자폐성 장애아동 치료환경에 대한 감성평가분석",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3(5), 86-95 https://doi.org/10.14774/JKIID.2014.23.5.086
- 최유림, 2015, "뇌과학을 기반으로 한 자폐 아동을 위한 건축 환경에 관한 연구", 이공학개인기초연구지원, 미래창조과학부
- 최지연, 공순구, 박지훈, 2018, "자폐성 아동 특수학교의 시설기준과 프로그램에 관한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13(5), 277-288 https://doi.org/10.35216/KISD.2018.13.5.277
- 최혜승, 박진영, 2019, 자폐성장애학생의 생애단계별 지원방안. 특수교육논총, 35(3), 163-192 https://doi.org/10.31863/JSE.2019.12.35.3.1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