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Environmental Configuration in Special Classrooms for Children with Autism - Focused on a Case Study of Oksu Elementary School in Seoul

자폐성 장애아동을 위한 특수교실 환경구성에 관한 연구 - 서울옥수초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배지윤 (실내건축학과, 연성대학교)
  • Received : 2024.02.16
  • Accepted : 2024.03.05
  • Published : 2024.03.15

Abstract

Purpose: Autism spectrum disorder impacts children's social, sensory, and language development, necessitating specialized educational support. Special classrooms play a crucial role in providing an appropriate learning environment for children with autism. However, there is a lack of systematic research on creating effective environments in these special classrooms. Methods: This study aims to gain a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understanding of the environmental composition of special classrooms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using the following systematic methodologies including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y. Results: Sensory spaces in special classrooms for children with autism help regulate sensory stimuli and promote sensory development. They provide stability, reducing stress from excessive stimuli, and enhance emotional stability. These spaces also promote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among children and expand the diversity of learning activities, enriching experiences and stimulating interest in learning. Implications: Based on the results, we propose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environment of special classrooms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nd provide direction for the design of such environments.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과제(결과물)는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재원으로 지원을 받아 수행된 3단계 산학연협력 선도전문대학 육성사업(LINC 3.0)의 연구 결과 입니다.

References

  1. 구옥종, 2005, "장애아동 통합교육의 현황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2. 김미선, 이정교, 2021, "다감각자극환경 기반의 치유공간 디자인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16(1), 69-80 https://doi.org/10.35216/KISD.2021.16.1.69
  3. 김민경, 박남규, 2019, "자폐스펙트럼 아동을 위한 다감각환경 기초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1(1), 241-246
  4. 김진철, 강병근, 성기창, 2009, "특수학급 공간구성의 학교급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15(3), 71-77
  5. 김태현, 이남규, 김용성, 2023, "바이오필릭 관점을 통해 바라본 정서장애 특수학교의 공간 분석 연구 -자폐성 장애 아동을 중심으로-", 한국공간디자인학회, 18(3), 255-270 https://doi.org/10.35216/KISD.2023.18.3.255
  6. 박계신, 2013, "유치원 교사의 자폐성 장애에 대한 지식과 자폐성 장애유아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9(3), 261-291
  7. 박창현, 김근진, 김경희, 정유나, 2021, "장애아동 관련 실태조사 및 종합적 지원체계 구축방안 연구", 교육부 육아정책연구소
  8. 안은숙, 임윤선, 2011, "자폐성 장애아동의 예술치료 선행연구 분석을 통한 프로그램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9. 임경란, 리평, 2013, "정서 및 행동 장애아동의 발달을 지원하기 위한 치료 공간 특성 분석- 놀이 치료 공간을 중심으로 -", 한국기초조형학회, 14(6), 305-317
  10. 조귀희, 문예은, 이주연, 2020, "어린이집 장애영유아 통합보육에 관한 연구 동향", 한국보육지원학회, 16(1), 21-49
  11. 조명민, 정아영, 공순구, 2014, "자폐성 장애아동 치료환경에 대한 감성평가분석",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3(5), 86-95 https://doi.org/10.14774/JKIID.2014.23.5.086
  12. 최유림, 2015, "뇌과학을 기반으로 한 자폐 아동을 위한 건축 환경에 관한 연구", 이공학개인기초연구지원, 미래창조과학부
  13. 최지연, 공순구, 박지훈, 2018, "자폐성 아동 특수학교의 시설기준과 프로그램에 관한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13(5), 277-288 https://doi.org/10.35216/KISD.2018.13.5.277
  14. 최혜승, 박진영, 2019, 자폐성장애학생의 생애단계별 지원방안. 특수교육논총, 35(3), 163-192 https://doi.org/10.31863/JSE.2019.12.35.3.1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