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한국 청소년의 성별에 따른 주관적 건강 인식과 건강행위의 관계: 국민건강영양조사 제8기 조사를 이용하여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Health Perception and Health Behavior of Korean Adolescents According to Gender: Using the 8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투고 : 2024.01.04
  • 심사 : 2024.02.02
  • 발행 : 2024.02.29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제 8차 (2019~2021년)국민건강영양조사의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성별을 구분하여 청소년의 주관적 건강인식과 건강행위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제8기 국민건강영양조사(2019-2020년) 자료를 활용하여 전국의 중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까지의 재학생을 모집단으로 하여 모집단 층화, 표본배분, 표본 추출의 단계를 거쳐 12~18세인 청소년 최종 1,065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8.0 (IBM Corp., Armonk, NY, USA)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유의수준 .05에서 분석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주관적 건강인식은 남학생은 학교, 가족구성, 수입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여학생은 학교에 따라서 중학생보다 고등학생이 주관적 건강 인식이 높은 것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1). 남아 청소년 가족구조에서 양 부모와 사는 청소년이 한 부모 청소년보다 건강 행위가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p=.011), 여아 청소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성별에 따른 건강 행위와 관련 남아 청소년은 규칙적 운동이(p=.013), 여아 청소년은 아침식사가 주관적 건강인지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p<.001). 결론: 본 연구에서 남·녀 청소년의 주관적 건강인식과 건강행위의 차이를 확인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남녀 청소년의 차이를 고려한 건강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health perception and health behaviors among adolescents, utilizing raw data from the 8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9-2021) while distinguishing between genders. Methods: The study employed data from the 8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9-2020), recruiting students from 1st to 3rd grades in middle and high schools nationwide. Through population stratification, sample distribution, and sampling stages, a final sample of 1,065 adolescents aged 12 to 18 years was sele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8.0 (IBM Corp., Armonk, NY, USA) at a significance level of .05. Results: Regardi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among male students based on school, family structure, and income. However, among female student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ubjective health perception was noted, with higher perception among high school students compared to middle school students (p=.001). Significant differences in health behaviors were identified based on family structure for male adolescents, where those living with both parents exhibited more health-promoting behaviors than single-parent adolescents (p=.011).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among female adolescents. In terms of health behaviors related to gender, regular exercise was found to significantly impact subjective health perception in male adolescents (p=.013), while breakfast habits were identified as significant influencers for female adolescents (p<.001). Conclusions: This study revealed gender differences in subjective health perception and health behaviors among adolescents. Based on these findings, there is a perceived need for the development of health promotion programs tailored to the unique needs of male and female adolescents.

키워드

과제정보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NRF) grant funded by the Korea government(MSIT) (No. No.RS-2023-00211750).

참고문헌

  1. 김미한. (2006). 건강행위 이행에 관한 개념적 접근.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3(1), 125-141. 
  2. 김선혜, 김명. (2008). 청소년의 비만도에 따른 건강행위 실천과 건강 관련 삶의 질과의 관련성. 한국학교.지역보건교육학회지, 9(1), 47-61. 
  3. 김신정, 안은숙. (1997). 여대생의 건강개념과 건강행위. 대한간호과학회지, 27(2), 264-274. 
  4. 김태한. (2020). 청소년의 사회경제적 배경이 봉사활동에 미치는 영향과 학생 봉사활동의 실효성. 교육문화연구, 26(5), 613-638.  https://doi.org/10.24159/JOEC.2020.26.5.613
  5. 라진숙, 김혜선. (2019). 40세 이상 성인 남녀의 대사증후군 관련 심리 사회적 요인. 한국보건간호학회지, 33(1), 20-32.  https://doi.org/10.5932/JKPHN.2019.33.1.20
  6. 박민희, 송혜영(2020). 청소년의 흡연과 건강 행위 및 건강 수준과의 관련성: 궐련담배와 전자담배 비교. 보건간호학회지, 34(2), 153-164. 
  7. 박병선. (2019).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 변화 궤적 및 성별 간 차이분석. 인문사회 21, 10(1), 1121-1132. 
  8. 박상준 외 6명. (2022). COVID-19 이후 국내 청소년의 개인위생행태 변화: 2016년-2021년의 한국 청소년건강행태조사 손 씻기 행태를 중심으로.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39(3), 33-41. 
  9. 박진희. (2017). 소아청소년 심리학(Pediatric Psychology)에 기반한 소아와 청소년을 위한 건강 심리학적 이슈. 한국심리학회지, 22(1) : 15-38.
  10. 박현용, 손선옥. (2020). 성별에 따른 청소년의 우울과 신체화 증상의 잠재적 유형과 정신건강과의 관계.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37(1), 57-68. 
  11. 송지영. (2019). 한국 노인의 주관적 건강인식 영향요인 연구. 인문사회 21, 10(2), 831-844. 
  12. 윤현선. (2006). 사회경제적 배경이 청소년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 사회적 자본이론과 가족매개모델의 비교 검증. 청소년학연구, 13(3), 107-135. 
  13. 임현지 외 6명. (2012). 한국인 중년에서 결혼상태와 건강행동: 2007-2010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12(4), 178-186. 
  14. 임형택, 박현주, 우영제, 김성수. (2015). 소아 안 검진 현황 및 관련 요인 분석: 국민건강영양조사 2008-2012. 대한안과학회지, 56(6), 944-949. 
  15. 정주영. (2014). 부모-자녀의 부정적 상호작용이 우울,분노를 매개로 청소년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연구, 25(2), 237-263.  https://doi.org/10.14816/SKY.2014.25.2.237
  16. 조강옥, 김연수. (2010). 한국 청소년의 규칙적 운동 유무에 따른 신체발달과 식사의 질 평가: 2007년 국민건강영양조사 분석. 한국발육발달학회지, 18(2), 137-144. 
  17. 조규필, 황순길, 김명찬. (2015). 학교 밖 청소년 건강증진 서비스 지원체계 구축방안. 청소년상담연구, 23(2), 61-85.  https://doi.org/10.35151/KYCI.2015.23.2.004
  18. 최경원. (2014). 청소년의 주관적 건강인식 관련 요인: 한국청소년패널 자료 활용.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31(3), 39-50. 
  19. 하유정, 권수진, 곽연희. (2021). 한국 노인의 성별에 따른 주관적 건강인식과 건강행위의 관계: 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 조사를 이용하여. 한국웰니스학회지, 16(1), 246-252. 
  20. Benyamini Y, Leventhal EA, Leventhal H. (2000). Gender differences in processing information for making self-assessments of health. Psychosomatic Medicine, 21(2), 354-364. 
  21. Boardman JD. (2006). Self rated health among U.S. adolescents.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38(2), 401-408. 
  22. KDCA. 2022. Guidelines for using raw data from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 Disease Control Agency. 
  23. Latham, K, Peek CW. (2013). Self-rated health and morbidity onset among late midlife U.S. adults.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B,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68(1), 107-116. 
  24. Nummela O, Raivio R Uutela A. (2012). Trust self-rated health and mortality: a longitudinal study among ageing people in Southern Finland. Social Science & Medicine, 74(1), 1639-1643. 
  25. Page RM, Suwanteerangkul J. (2009). Self rated health, psychosocial functioning, and health-rated behavior among Thai adolescents. Pediatrics International, 51(1), 120-125. 
  26. Shin, Y. H. (2010).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evaluation of a scale to measure health behaviors of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Nursing, 40(6), 820-830. 
  27. WHO. (2000). International guide for monitoring alcoholic consumption and related harm., USA: World Health Organization. 
  28. Zullig KJ, Valois RF, Huebner ES, Drane JW. (2005). Adolescent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nd perceived satisfaction with life. Quality of Life Research, 14(6), 1573-15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