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Literature Study on the Functional Change of 'Jeong(亭)' in Korea and China

한국과 중국에서 '정(亭)' 건축 기능의 변화에 대한 문헌적 고찰

  • Received : 2023.09.01
  • Accepted : 2024.01.03
  • Published : 2024.02.29

Abstract

In Korea, the function of Jeong(亭), Jeongja(亭子), and Nujeong(樓亭) architecture is essentially rest. However, in China, where the name Jeong was first coined and used, Jeong was not only used as a place of rest, but also for a variety of functions depending on the time and region, such as building units for guard posts, policing, and mail delivery. But why is it that in Korea, Jeong is primarily perceived and used as place of rest? Starting from this question, this article examines the historical process of the emergence of Jeong and its changing functions, focusing on the official history of China, and then examines the perception of Jeong in Korea through its connection to the dominant function of Jeong in China during the period of Jeong's emergence in Korean literature. This will help us to fundamentally understand the differences between Jeong architecture in Korea and Jeong architecture in China, and to further clarify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types of Jeongja and Nujeong architecture in Korea.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2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과제번호: NRF-2022S1A5A2A03050619.

References

  1. 「삼국사기(三國史記)」, 「삼국유사(三國遺事)」, 「계월필경집」, 「동인지문사륙(東人之文四六)」. 원문검색: 한국사데이터베이스 https://db.history.go.kr/ 
  2. 상해인민출판사, 적지문화출판유한공사, 「문연각 사고전서 디지털판(文淵閣四庫全書電子板)」 CD-ROM, 상해인민출판사, 적지문화출판유한공사, 1999 
  3. 김태식, 「누정건축의 기능적 특성에 관한 연구-전남지방의 누정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산업공학과 석사학위논문, 1999 
  4. 홍익대학교 환경개발연구원, 「정자실측조사보고서-정자의 분포와 건축적특성에 관한 연구」, 문화재연구소, 1993 
  5. 정요근, 「高麗.朝鮮初의 驛路網과 驛制 硏究」,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박사학위논문, 2008 
  6. 친리(覃力), 「정사종술(亭史綜述)」, 중국원림, Vol.8, No.4, 1992 
  7. 친리(覃力), 「설정(說亭)」, 산동화보출판사, 2004 
  8. 장위리엔(张玉莲), 「한대 도정 고찰(汉代都亭考)」, 중국문화연구, No.3, 2007 
  9. 장쥔민(張俊民), 「돈황 현천 한대 죽간에서 보이는'정'(敦煌悬泉漢簡所見的 "亭"」, 남도학단, No.1, 2010 
  10. 꿔밍우(郭明友), 「중국 옛 '정' 건축 기원과 흐름(中國古'亭'建築考源與述流)」, 심양건축대학학보, Vol.14, No.4, 2012. 
  11. 리야리(李亞利), 「한대 화상 중의 정과 사 건축연구(漢畵像中的亭榭建築硏究)」, 고고와 문물, Vol.2, 2015 
  12. 다이웨이홍(戴卫红), 「위진남북조시기 정 제도의변화(魏晋南北朝时期亭制的变化)」, 사회과학전선, Vol.2, 2016 
  13. 시웅티에지(熊鐵基), 「'십리일향', '십리일정'- 진한시기 향, 정, 리에 대한 결단("十里一鄕" "十里一亭"-秦漢鄕,亭,里關係的決斷)」, 강한논단(江漢論壇), No.8, 1983 
  14. 신카이 사키코, 「경덕왕 혜공왕대 관제개편의 성격에관한 검토」, 한국문화, Vol.92,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