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한국인 생활 속 인삼 문화의 상징성

Symbolism of the Ginseng Culture in Korean Lifestyle

  • 옥순종 (연세대학교 언론홍보영상학부 )
  • Soonjong Ock (Dept. of Media Communication, Yonsei University)
  • 투고 : 2023.10.25
  • 심사 : 2023.11.29
  • 발행 : 2024.03.02

초록

문화는 한 사회가 오랜 시간 동안 공동체 내에서 공유하고 전승해오고 있는 행동 양식과 생활 양식을 의미한다. 한국인의 일상에서 쉽게 만날 수 있는 생활 도구, 공예품, 설화, 시문에 들어간 인삼은 한국인의 행동 양식과 생활 양식에 깊이 자리하고 있다. 인삼은 무병장수의 상징으로서 생활 기물과 공예품, 시문에 새겨져 우리의 문화가 되었다. 도자기에 기품있게 그려진 인삼은 조형미와 함께 무병장수를 기원하는 상징으로 그려진 것이다. 산신도에 공통으로 들어간 소품은 불로초(不老草) 인삼으로 수복강녕과 함께 인삼의 신령함에 대한 믿음이 컸음을 보여준다. 떡살, 밥상보, 장식품, 성냥, 부채 등 일상에서 매일 사용하는 생활 도구에 인삼이 새겨진 것은 인삼을 건강과 장수를 염원하는 부적처럼 여겨 가까이 두려고 했던 것으로 보인다. 떡은 제사, 회갑 잔치, 결혼의례, 생일잔치 등 제례와 잔치에 올리는 음식이었는데 우리 선조들은 신령하고 건강을 상징하는 인삼을 떡에 새기기 위해 떡살에 인삼을 무늬 틀로 만들었다. 가족 공동체 안에서 '기다림과 배려'를 의미하는 생활 기물인 밥상보에 인삼 무늬를 장식하는 둥 생활 기물 중에서도 특히 먹거리와 관련된 생활 도구인 젓가락, 숟가락, 찻잔. 단지 등에서 인삼문양을 많이 찾을 수 있다. 전승되고 있는 인삼 관련 설화(說話)중 가장 많은 것은 효행담으로 인삼은 효의 대표적 상징이었다. 건강을 기원하는 인삼을 선물하며 주고받은 서신과 시문에 인삼은 단순한 약재가 아니라 우정과 은혜를 나누는 귀물(貴物)로 감사의 상징이다. 생활 기물, 예술품, 시문과 서신에 드러난 인삼은 다음과 같은 상징성을 띠고 있는 것으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설화, 민담에서 나타나는 인삼은 부모에게 바치는 효행의 상징이었다. 둘째, 존경하는 스승, 우정 깊은 친구에게 보내는 감사의 표상이었다. 셋째, 생활 기물, 예술품에 새겨진 인삼은 심미성과 더불어 수복강녕을 상징하는 주술적 역할을 했다. 밥상보, 떡살 등 생활 기물에 새겨진 인삼은 무병장수의 기원과 함께 배려의 공동체 정신을 담고 있다.

"Culture refers to the behavioral and lifestyle patterns that a society has shared and transmitted within the community over a long period. Ginseng, frequently encountered in the daily life of Koreans through tools, crafts, folklore, and poetry, holds a deep place in the behavioral and lifestyle patterns of the Korean people. Ginseng, engraved in everyday objects, crafts, and poems, is symbolic in our culture as a representation of longevity and well-being. Ginseng elegantly depicted on ceramics serves as a symbol of longevity along with aesthetic beauty. The common inclusion of ginseng in ritual items in mountain deity beliefs, particularly represented by the 'Bullocho' (不老草) ginseng, reflects a strong belief in the mystical qualities of ginseng associated with longevity and prosperity. The incorporation of ginseng into commonly used everyday tools such as rice cakes, dining tables, decorations, matches, and fans suggests that ginseng was considered a talisman symbolizing health and longevity, kept close as a wish for good fortune. Rice cakes, often presented at ceremonies like ancestral rites, 60th-anniversary celebrations, weddings, and birthdays, had ginseng patterns carved into them as a way for our ancestors to inscribe the spirit and health-symbolizing ginseng onto the food. In family communities, ginseng patterns are frequently found on utensils related to eating, such as chopsticks, spoons, tea cups, and trays. Among the various folklore related to ginseng being passed down, the most prevalent are anecdotes illustrating its efficacy. Ginseng, gifted and exchanged as a symbol of gratitude in letters and poems, goes beyond being a mere medicinal herb to embody friendship and blessings. The symbolism of ginseng, as revealed in everyday objects, artworks, poems, and letter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In folklore and legends, ginseng symbolized filial piety offered to parents. 2. It represented gratitude sent to respected teachers and close friends. 3. Ginseng depicted on daily objects and artworks not only showcased aesthetics but also played a magical role in symbolizing longevity and well-being. Ginseng patterns on items like rice cake molds and dining tables embody the spirit of a caring community, wishing for longevity and prosperity."

키워드

과제정보

이 연구는 2022년 고려인삼학회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음.

참고문헌

  1. 강현모, 「설화를 통해본 인삼 이야기」, (금산문화원, 2009).
  2. 구미래, 「한국인의 상징세계」, (교보문고, 1992).
  3. 국립민속박물관, 「한국의 문양디자인-떡살과 다식판」, (국립민속박물관,2001).
  4. 김열규, 「(상징으로 말하는) 한국인, 한국문화」, (일조각, 2013).
  5. 손정리, 「민속학술자료 총서 문양 4권」. (우리마당 터, 2004).
  6. 신민, 「민속학술자료 총서, 문양 1권」, (우리마당 터, 2002).
  7. 옥순종, 「교양으로 읽는 인삼이야기」, (2006 ,이가서).
  8. 유홍준, 「완당평전 김정희」, (학고재. 2006).
  9. 윤열수, 「삼, 산신과 만나다」. (인삼박물관 소수서원 시립박물관, 2014).
  10. 이명호, 「민속학술자료 총서, 문양」, (우리마당터, 2004)
  11. 이영순, 「우리문화의 상징세계」, (훈민, 2006).
  12. 임영주, 「한국의 전통문양」, (대원사, 2004).
  13. 한국문화상징 사전편찬위원회, 「한국문화상징사전 1권」, (동아출판사, 1992).
  14. H. 돌메치; 이지은 옮김, 「문양박물관」, (에이커뮤니케이션즈, 2016). 
  15. 강내희, 「'문화적 관점」, 「문화과학 38호」, (문화과학사, 2004).
  16. 김수경. 「만주족과 인삼, 인삼설화」. 「동아인문학 49집」, (동아인문학회, 2019).
  17. 남수미, 「한국전통문양의 상징성에 관한 고찰」,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18. 노영근, 「인삼소재 한중설화 비교연구」, 「국제어문 54집」, (국제어문학회, 2012).
  19. 박향미, 「떡살문양이 활용된 디자인의 조형성 연구」, 전남대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5).
  20. 백주현, 안상우, 「한의약기문양연구」, 「한국한의학논문집 16권2호」, (한국한의학연구원, 2010).
  21. 서지민, 「수복기원의 의미해석을 형상화한 장신구 조형 연구」, 홍익대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3).
  22. 이안근, 「전통문양의 상징성과 기호학의 관점」,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52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5).
  23. 정수연, 홍동식, 「길상을 상징하는 전통적 수복중심의 전통적인 디자인 컨텐츠 개발의 방향성 연구」,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66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9).
  24. 황인용, 「문화란 무엇인가」, 「숲과 문화 31권 1호」, ( 숲과 문화연구회, 2022). 
  25. 가천대 의약박물관(www.gachonmuseum.or.kr)
  26. 국립중앙박물관 e-뮤지엄(www.emuseum.go.kr)
  27. 영주 인삼박물관(www.yeongju.go.kr/insam)
  28. 한독 의약박물관(www.handokmuseu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