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부적 강성 증가를 고려한 지오그리드-보강기층 모델링

  • Published : 2024.02.28

Abstract

측면구속은 지오그리드에서 골재 입자의 상호결합과 관련된 주요 보강 메커니즘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내실험을 통해 얻은 지오그리드-골재 상호결합에 의한 국부적 강성증가에 대한 결과를 토대로, 지오그리드로 보강된 기층을 포함한 포장구조체의 탄성 반응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실험적 연구에서는 지오그리드 배치된 시편 중간 높이로부터 거리가 멀어질수록 전단파 측정에서 추정된 전단탄성계수가 감소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한, 삼각형 지오그리드 근처의 강성 증가가 사각형 지오그리드 근처보다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전단탄성계수 주상도를 기반으로, 수치해석적 연구에서는 기층의 4 개 하부층에 대한 탄성계수 값을 다르게 할당되었다. 층상 탄성해석 프로그램을 사용한 수치해석적 연구는 아스팔트층 하단에서 두 지오그리드 보강 포장시나리오의 수평방향 인장 응력과 변형이 미보강된 시나리오에 비해 감소했음을 보여주었다. 기층 중간깊이에서는 지오그리드 보강 포장시나리오의 압축응력이 미보강된 시나리오에 비해 보다 크게 나타났으며, 지오그리드 보강구간의 인장변형은 미보강된 구간보다 작게 나타났다. 삼각형 및 사각형 지오그리드의 사용은 기층 중간깊이에서 미보강된 시나리오에 비해 수직압축응력을 증가시키고 수직압축변형을 감소시켰다. 노상 상단에서는 지오그리드 보강 포장 구간의 수직 응력과 변형이 미보강된 구간보다 작았는데, 이는 노상의 침하 가능성이 낮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지오그리드와 골재 간 미세역학적 상호결합을 기반으로 한 거시적 모델링 방법은 지오그리드로 보강된 아스팔트포장시스템의 역학적 분석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Al-Qadi, I.L., Dessouky, S., Kwon, J., & Tutumluer, E. 2009. Geogrid in Flexible Pavements: Validated Mechanism,"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Journal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2045: 102-109.
  2. Byun, Y.H. & Tutumluer, E. 2017. Bender Elements Successfully Quantified Stiffness Enhancement Provided by Geogrid-Aggregate Interlock.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Journal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2656: 31-39. https://doi.org/10.3141/2656-04
  3. ‌Byun, Y. H., & Tutumluer, E. (2019). Local stiffness characteristic of geogrid-stabilized agg regate in re lat ion to accumu lated permanent deformation behavior. Geotextiles and Geomembranes, 47(3), 402-407. https://doi.org/10.1016/j.geotexmem.2019.01.005
  4. Byun, Y.H., Tutumluer, E., Feng, B., Kim, J.H., Wayne, M.H. 2019. Horizontal stiffness evaluation of geogrid-stabilized aggregate using shear wave transducers. Geotextiles and Geomembranes,47(2), 177-186. https://doi.org/10.1016/j.geotexmem.2018.12.015
  5. Byun, Y. H., Qamhia, I. I. A., Kang, M., Tutumluer, E., & Wayne, M. H. (2023). Modeling geogrid-stabilized aggregate base courses considering local stiffness enhancement. Geosynthetics International, 1-10.
  6. Cui, K., Zhang, D., Li, Q., Yang, S., & Zhang, H. (2023). Experimental investigation on the accumulated strain of coarse-grained soil reinforced by geogrid under high-cycle cyclic loading. Geotextiles and Geomembranes, 51(1), 233-244. https://doi.org/10.1016/j.geotexmem.2022.11.001
  7. ‌Khazanovich, L. & Wang, Q. 2007. MnLayer: high-performance layered elastic analysis program.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Journal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2037: 63-75. https://doi.org/10.3141/2037-06
  8. ‌Kwon, J. (2007). Development of a mechanistic model for geogrid reinforced flexible pavements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Urbana, Illinois, 241 pages.
  9. ‌McDowell, G.R., Harireche, O., Konietzky, H., Brown, S.F., Thom, N.H. 2006. Discrete Element Modelling of Geogrid-Reinforced Aggregates. In: Proceedings of the Institution of Civil Engineers: Geotechnical Engineering 159(1):35-48. https://doi.org/10.1680/geng.2006.159.1.35
  10. ‌Moghaddas-Nejad, F. & Small, J.C. 1996. Effect of Geogrid Reinforcement in Model Track Tests on Pavement. Journal of Transportation Engineering 122(6): 468-474. https://doi.org/10.1061/(ASCE)0733-947X(1996)122:6(468)
  11. Perkins, S.W., Christopher, B.R., Cuelho, E.L., Eiksund, G.R., Hoff, I., Schwartz, C.W., Svano, G., Watn, A. 2004. Development of Design Methods for Geosynthetic Reinforced Flexible Pavements, FHWA Report DTFH61-01-X-00068.
  12. Singh, M., Trivedi, A., & Shukla, S. K. (2022). Evaluation of geosynthetic reinforcement in unpaved road using moving wheel load test. Geotextiles and Geomembranes, 50(4), 581-589. https://doi.org/10.1016/j.geotexmem.2022.02.005
  13. Vavrik, W. 2018. Recommended practice for incorporating geogrids in ME pavement design. Presentation at the Tensar International Congress, Roatan, Honduras, by Bill Vavrik of Applied Research Associates on July 26, 2018.
  14. ‌Zhou, J., Chen, J. F., Xue, J. F., & Wang, J. Q. (2012). Micro-mechanism of the interaction between sand and geogrid transverse ribs. Geosynthetics International, 19(6), 426-437.  https://doi.org/10.1680/gein.12.00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