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춘천시 봉의산근린공원의 식생관리방안을 위한 식물군집구조 특성 연구

Characteristics of Plant Community Structure for Vegetation Management Planning of Bonguisan Neighborhood Park, Chuncheon City

  • 이은석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조경학과) ;
  • 한봉호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
  • 김종엽 (도시생태연구센터) ;
  • 이학기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Lee, Eun-Seok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University of Seoul) ;
  • Han, Bong-Ho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University of Seoul) ;
  • Kim Jong Yup (Urban Ecosystem Research Center) ;
  • Lee, Hak-Gi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d School, University of Seoul)
  • 투고 : 2023.09.18
  • 심사 : 2023.12.18
  • 발행 : 2024.02.28

초록

본 연구는 춘천시가지 중심에 위치하고 시민들의 휴식 및 여가공간으로의 활용도가 매우 높은 봉의산근린공원의 식물군집구조 특성을 활용한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봉의산은 삼국시대부터 춘천의 중심으로 산림이 지속적으로 훼손되었으며 현대에는 무분별한 도시개발로 생태계의 고립과 단절이 심화되었다. 봉의산근린공원의 현존식생 유형별 면적비율을 보면, 신갈나무는 28.5%, 신갈나무-졸참나무는 2.1%, 소나무는 15.6%, 소나무-신갈나무는 15.9%, 박달나무는 1.6%, 아까시나무는 5.9%, 잣나무는 1.6%이었다. 신갈나무는 남서, 북서, 남동사면에 분포하고 소나무는 동쪽과 남동사면 능선부에 분포하고 박달나무는 북동쪽의 계곡부, 충원사 북쪽 급경사지에 분포하였다. 식물군집은 총 6개 군집으로 분류되었으며, 소나무군집(군집 I)과 상수리나무-아까시나무군집(군집 V)은 장기적으로 참나무류림으로 천이가 예상되었고, 신갈나무군집(군집 II)과 졸참나무-신갈나무군집(군집 III), 박달나무군집(군집 IV), 잣나무군집(군집 VI)은 그대로 유지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식물군집구조 특성을 고려한 목표식생 및 관리방안은 ① 자연경관 보전 및 개선형(소나무군집) ② 생태적 천이 순응형(낙엽참나무류군집) ③ 특이군락 보전형(박달나무군집) ④ 휴양 및 체험형(잣나무군집) 등 4가지 유형별 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봉의산근린공원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 관리체계를 일원화하고 특히 생태적 보전 가치가 높은 소나무군집과 박달나무군집을 생태경관보전지역으로 지정·관리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suggests management planning of Bonguisan Neighborhood Park located on the central of Chuncheon city and highly used for citizen's rest and leisure space utilizing its vegetation structure feature. Bonguisan has been the central of the chuncheon since the period of the Three states in Korean history and consistently damaged, especially in present era, an isolation and sererance of its ecosystem has deepen for indiscreet urban development. The percentage of actual vegetation of Boinguisan Neighborhood Park is as follows: Quercus mongolica is 28.5%, Quercus mongolica - Quercus serrata is 2.1%, Pinus densiflora is 15.6%, Pinus densiflora - Quercus mongolica is 15.9%, Betula schmidtii is 1.6%, Robinia pseudoacacia is 5.9%, Pinus koraiensis is 1.6%. Quercus mongolica is distributed on the southwest, northwest, southeast side of region, Pinus densiflora is distributed on the ridge of east and southeast side of region, Betula schmidtii is distributed on the valley of northeast side region and steep slope region which is on the north side of chungwonsa temple. Pinus densiflora community (Comm. I) and Quercus acutissima - Robinia pseudoacacia community (Comm. V) is expected to undergo succession since it's categorized as Quercus spp. and Quercus mongolica community (Comm. II) and Quercus serrata-Quercus mongolica community (Comm. III), Betula schmidtii community (Comm. IV), Pinus koraiensis community (Comm. VI) is expected to maintain. Also for target vegetation and management planning, Vegetation of Bonguisan Neighborhood Park is classified as 1st Natural landscape conservation and improvement type, 2nd Ecological succession type, 3rd Unusual community conservation type, and 4th Recreation and experience type. And we suggested ecological management measure about each management types. For efficient management of Bonguisan Neighborhood Park, it is need to unify management system of it and after designating Pinus densiflora community and Betula schmidtii community which has high ecological preservation value as an ecological landscape protected area and manage it.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영명(2004) 봉의산 백서: 봉의산의 식생 및 임분구조. 춘천생명의 숲, pp. 31-42.
  2. 김종엽(2012) 부산광역시 태종대 산림생태계의 현존식생 및 식물군집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6(3): 426-436.
  3. 김지훈(2011) 춘천시 도시림의 효율적인 조성 및 이용관리 방안. 강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박인협, 이경재, 조재창(1987) 북한산 지역의 산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1): 1-23.
  5. 박지혜(2018) 춘천시 봉의산 근린공원의 대기정화 가치와 증진방안. 강원대학고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오구균, 박석곤(2002) 백두대간 피재 - 도래기재구간의 능선부 식생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5(4): 330-343.
  7. 유재춘(2004) 봉의산 백서, 봉의산 문화유적의 현황과 실태. 춘천 생명의 숲.
  8. 이경재, 조우, 한봉호(1995) 생태적 특성을 고려한 도시환경림 조성기법연구(I) - 서울시 개포 근린공원을 중심으로 -. 환경생태학회지 23(3): 48-58.
  9. 이경재, 조우, 한봉호(1996) 서울 도시생태계 현황과 회복대책(I)-산림지역 식물군집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0(1): 113-127.
  10. 이수동, 김동필, 최송현, 오정학, 홍석환(2014) 생태적 측면에서의 도시림 지속성 평가 지표 선정.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8(4): 472-483.
  11. 이은석(2019) 춘천시 봉의산근린공원 식생구조 특성을 활용한 관리방안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이창복(1986) 신고 수목학. 서울: 향문사.
  13. 임경빈(1997) 조경수목산책. 서울: 박달나무.
  14. 임경빈, 박인협, 이경재(1980) 경기도지방 적송림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한국산림과학회지 50: 56-71.
  15. 전두식(1995) 봉의산의 생태적 특성에 관한 연구. 강원도산림환경연구소연보 27: 127-143.
  16. 조우, 이경재(1993) 도시림 관리를 통한 식물 종다양성 증진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1(2): 107-119.
  17. 조현길(2004) 봉의산 백서, 봉의산 도시공원 어떻게 조성할 것인가. 춘천 생명의 숲.
  18. 춘천문화원(1995) 춘천의 지명유래. pp. 226-267.
  19. 춘천시(2018) 2030 춘천공원녹지 기본계획. 춘천시, pp. 251.
  20. 춘천역사문화연구회(2019) 일제에 의해 사라진 춘천 이궁의 역사적 의미와 춘천에 남은 일제 잔재. 춘천: 도서출판 산책.
  21. 한준수(2008) 춘천 동북부지역의 식물상과 식생.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Brower, J. E. and J. H. Zar(1977)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General Ecology. Wm. C. Brown Company. pp. 194.
  23. Cox, G. W.(1976) Laboratory manual of general ecology. Wn. C. Brown Company. pp. 232.
  24. Curtis, J. T. and R. P. McIntosh(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Ecology 32: 476-496. https://doi.org/10.2307/1931725
  25. Ellenberg, H.(1956) Grundlagen der vegetationsgliederung, part I: Aufgaben und methodder vegetation skunde. In H. Walter ed., Einfuhrung in die Phytologie IV. Stuttgart. pp. 136.
  26. Gustavsson, R.(1982) Nature on our Doorstep. Landscape Design. pp. 21-23.
  27. Harcomb, P. A. and P. L. Marks(1978) Tree diameter distribution and replacement processes in southeast Texas forests. Forest Science 24(2): 153-166.
  28. Hill, M. O.(1979) DECORANA-a FORTRAN Program for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and Reciprocal Averaging. Ecology and Systematics, Cornel University, Ithaca: New York, p. 52.
  29. Hough, M.(1990) Formed by natural process - Definition of the green city-. Gorden, D., editor, Green Cities. NY: Black Rose Books. pp. 15-20.
  30. Monk, C. D., G. I. Child and S. A. Nicholson(1969) Species diversity of a startified Oak-Hickory community. Ecology 50(3): 468-470. https://doi.org/10.2307/1933901
  31. Orloci, L.(1978) Multivariate Analysis in Vegetation research (2nd ed.). W. Junk, The Hague, p. 468.
  32. Sorensen, T. A.(1948) A method of establishing groups of equal amplitude in plant sociology based on similarity of species content, and its application to analyses of the vegetation on Danish commons. Biologiske Skrifter 5(4): 1-34.
  33. Tregay, R.(1979) Urban Woodlands. In C. Lauris, ed., Nature in Cities. NY: John Wiley & Sons. pp. 267-296.
  34. Westhoff, V. and E. van der Maarel(1973) The Braun-Blanquet approach. Handbook of vegetation science. In R. H. Whittaker ed., Ordination and Classification of Vegetation. Dr. Junk, The Hague, pp. 617-726.
  35. Whittaker, R. H.(1956) Vegetation of the Great Smokey Mountains. Ecological monographs 26: 1-80. https://doi.org/10.2307/1943577
  36. https://data.kma.go.kr/cmmn/main.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