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Vicious Cycle of Regional Exodus: Examining the Economic Environment of Birthplace and the Out-migration of Young Individuals

지역이탈의 악순환: 출생지의 경제 환경과 청년 취업자의 지역이탈

  • Received : 2023.01.09
  • Accepted : 2024.03.14
  • Published : 2024.03.30

Abstract

Regional migration is a problem faced by all non-metropolitan areas in Korea, but the extent of migration varies depending on regional economic conditions. This study examines how the extent of youth migration varies depending on the economic conditions of their birthplaces. The results showed that youth migration was more severe in areas suffering from population decline and aging problems. The smaller the economy and the weaker the financial independence of the region, the more severe the youth migration. In particular, commercial, educational, and cultural facilities, except for medical facilities, were not able to curb youth migration.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wage gap between those employed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those employed in the regions, regardless of their origin. This suggests that non-metropolitan areas are caught in a vicious cycle of regional economic deterioration and youth migration.

지역이탈은 모든 비수도권 지역에서 겪고 있는 문제이지만, 지역 특성과 경제 여건에 따라 그 정도는 다를 것이다. 본 연구는, 인적 요인이 같을 때, 태어나고 성장한 지역의 경제 여건에 따라 청년의 지역이탈 양상과 정도가 다른지 분석하였다. 시·군·구 단위의 분석 결과 청년 이탈은 인구감소와 고령화 수준이 높고, 경제 규모와 재정이 취약한 지역일수록 더 심각하였다. 특히 의료시설을 제외한 상업·교육·문화시설은 청년 이탈을 억제하지 못하였다. 또한 출신 지역과 무관하게 수도권 취업자와 지역 취업자 간에는 유의한 임금 격차가 나타났다. 이는 우리나라 비수도권 지역이 지역 경제 악화와 청년 이탈의 악순환 고리에 빠져있음을 시사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인하대학교의 지원과 2022년 정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음(NRF-2022R1A5A7033499)

References

  1. 강동우, 2016, 지역 간 인구이동과 지역고용, 한국노동연구원.
  2. 강동우.고영우.최충, 2017, 대졸자 직장이동의 지리적 특성과 임금효과, 한국노동연구원.
  3. 권상철, 2003, 인구이동과 인적자원 유출: 제주지역 유출 유입인구의 속성 비교, 「한국도시지리학회지」, 6(2), pp.59-73.
  4. 김기승.정민수, 2013, 청년층 인재유출 결정요인 분석과 정책과제: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경제연구」, 31(2), pp.103-130.
  5. 김덕호, 2020, 청년 취업성공패키지 프로그램이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 「노동정책연구」, 20(1), pp.29-63. https://doi.org/10.22914/JLP.2020.20.1.002
  6. 김성태.장정호, 1997, 한국 지역 간 인구이동의 경제적 결정 요인, 「국제경제연구」, 3(2), pp.175-197.
  7. 김용현, 2012, 대졸 청년 역외유출 원인과 해소방안 연구-대구경북지역을 중심으로, 「대구경북연구」, 11(3), pp.47-62.
  8. 김현아, 2008, 지역 간 인구이동의 실증분석, 「응용경제」, 10(2), pp.75-103.
  9. 김희삼, 2010, 지방대학 졸업자의 노동시장 성과와 지역별 교육격차,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32(2), pp.55-92. https://doi.org/10.23895/KDIJEP.2010.32.2.55
  10. 류장수, 2005, 지방대학 졸업생의 노동시장 성과 분석: 수도권대학 졸업생과의 비교, 「노동경제논집」, 28(2), pp.1-27.
  11. 류장수, 2015, 지역 인재의 유출 실태 및 결정요인 분석, 「지역사회연구」, 23(1), pp.1-23. https://doi.org/10.22921/JRS.2015.23.1.001
  12. 박우식.박상우.엄창욱, 2011, 지역인재 유출에 의한 경제력 유출 분석 : 대구.경북지역을 중심으로, 「산업경제연구」, 24(4), pp.2247-2274.
  13. 심재헌.김의준, 2012, 대학졸업자의 지역 간 취업이동 요인 분석: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의 취업이동을 중심으로, 「국토연구」, 75, pp.37-51. https://doi.org/10.15793/KSPR.2012.75..003
  14. 오은열.문채, 2016, 지역인구이동 변화에 미치는 결정요인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전라남도를 중심으로, 「도시행정학보」, 29(4), pp.67-92.
  15. 오준병.허원창.이혜민, 2019, 지역경제조사연구: 기계학습을 이용한 인천지역 노동공급이탈 예측모형, 한국은행 인천본부.
  16. 유경문, 1991, 인구이동의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분석: 한국의 경우(1966~1985)를 중심으로, 「경제학연구」, 39(1), pp.157-209.
  17. 윤윤규.이상호.류장수.박성익.조장식.서옥순, 2013, 「부산지역 노동시장 분석 및 고용 정책방안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18. 이상욱.권철우.임영주, 2019, 청년층의 지역이탈과 이주지역 선택: 울산지역을 중심으로, 「경제연구」, 37(1), pp.43-66.  https://doi.org/10.30776/JES.37.1.3
  19. 이상호, 2010, 지역간 이동의 결정요인 및 임금효과, 「지역연구」, 26(1), pp.45-70.
  20. 이정희.이창수.이상경, 2017, 수도권의 도시 간 인구이동 결정요인 분석: 전입률을 중심으로, 「한국지적정보학회지」, 19(3), pp.141-150. https://doi.org/10.46416/JKCIA.2017.12.19.3.141
  21. 이찬영.이흥후, 2016, 청년층의 지역 간 인구이동 결정요인 분석과 전망, 「경제연구」, 34(4), pp.143-169.
  22. 이찬영, 2018, 연령대별 인구유출입 결정요인 분석, 「산업경제연구」, 31(2), pp.707-729. https://doi.org/10.22558/jieb.2018.04.31.2.707
  23. 이희연, 2008, 인구이동 확장모형 개발 및 실증 분석, 「국토연자」 2008-3, 국토연구원.
  24. 정민수.김의정.이현서.홍성주.이동렬, 2023, 지역간 인구이동과 지역경제, 「BOK 이슈노트」 제2023-29호, 한국은행.
  25. 조동훈, 2020, 청년층 지역이동과 임금수준 효과, 「노동경제논집」, 43(3), pp.123-148.
  26. 홍성효.유수영, 2012, 세대별 시군구 간 인구이동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분석, 「서울도시연구」, 13(1), pp.1-19. https://doi.org/10.23129/SEOULS.13.1.201203.1
  27. 홍성우, 2016, 광주지역 대졸인력 유출현황과 요인분석, 「지역개발연구」, 48(1), pp.1-23.
  28. Granato, N., Haas, A., Hamann, S., & Niebuhr, A. 2015, The Impact of Skill-specific Migration on Regional Unemployment Disparities in Germany, Journal of Regional Science, 55(4), pp.513-539. https://doi.org/10.1111/jors.12178
  29. Glaeser, E. L. 2009, The Wealth of Cities: Agglomeration Economies and Spatial Equilibrium in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Economic Literature, 47(4), pp. 983-1028. https://doi.org/10.1257/jel.47.4.983
  30. de Haas, H. 2021, A theory of migration: the aspirations-capabilities framework. Comparative Migration Studies, 9(8). pp.1-35.
  31. McCann, P. 2013, Modern Urban and Regional Economics, Oxford, UK, Oxford University Press.
  32. Oeberg, S. 1995, Theories on Interregional Migration: An Overview, Working Paper WP-95-047, IIASA (International Institute for Applied Systems Analysis).
  33. Partridge, M. D., & Rickman, D. S. 1997, The Dispersion of US State Unemployment Rates: The Role of Market and Non-market Equilibrium Factors, Regional Studies, 31(6), pp.593-606. https://doi.org/10.1080/003434097501317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