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정보
본 연구는 2022년도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일본학연구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음
참고문헌
- 강은경.정연식.양선욱.권지윤.양성병, 2022, "MIS Quarterly 연구동향 탐색: 토픽모델링 및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활용", 「지능정보연구」, 28(2), 207-235. https://doi.org/10.13088/JIIS.2022.28.2.207
- 강현정.최충익, 2022, "국가균형발전정책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과 함의: 의미망 분석과 토픽모델링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34(5), 1-17.
- 국토연구원, 2021, "경상북도 지방소멸 대응 종합계획 수립 연구", 경상북도.
- 국토연구원, 2022, "[세계국토총서 22-204] 코로나19 이후의 일본 국토정책 동향".
- 국토연구원, 2020, "마을.사람.일자리 창생 장기비전 2019(개정판)과 제2기 종합전략 2020~2024: 일본의 국토 및 지역 발전계획".
- 국토연구원, 2020, "[세계국토총서 20-202] 마을.사람.일자리.창생 총합전략 2017(개정판)과 기본방침 2018: 일본의 국토 및 지역 발전계획".
- 김상근, 2023, "지방소멸방지를 위한 특별자치도의 정책방안 연구", 「대한부동산학회지」, 41(2), 23-37.
- 김순은, 2017, "일본의 지방창생정책", 「공공정책연구」, 33(2), 25-54.
- 김영미, 2022, "북한 정보통신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토픽 모델링을 기반으로",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23(9), 1833-1846.
- 김원중, 2021, "인구감소에 따른 지방소멸위기지역 지원 특별법(안) 입법 개선 방안 검토", 「지방자치법연구」, 21(1), 147-177. https://doi.org/10.21333/LGLJ.2021.21.1.005
- 김지영.길상혁.정문기, 2022, "소멸위기 지방정부의 핵심 생산가능인구 유입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자치학회보」, 34(2), 211-236. https://doi.org/10.21026/JLGS.2022.34.2.211
- 김진형, 2020,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지역소멸대응 관련 정책보고서 검토", 「콘텐츠문화연구」, 2, 55-67.
- 김현호.이제연.김도형, 2021, "국가위기 대응을 위한 지방소멸 방지전략의 개발", 한국지방행정연구원 기본연구과제.
- 곽희종, 2023,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도시재생정책 이슈 분석: 국토교통부 보도자료를 중심으로", 「국토계획」, 58(2), 22-37.
- 박승현, 2017, "'지방소멸'과 '지방창생': '재후'(災後) 의 관점으로 본 '마스다 보고서", 「일본비평」, (16), 158-183.
- 박진경.김도형, 2020, "인구감소대응 지방자치단체 청년유입 및 정착정책 추진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기본연구과제, 1-405.
- 서예령.고금석.이재우, 2021, "빅데이터 LDA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국내 코로나 19 대유행 기간 마스크 관련 언론 보도 및 태도 변화 분석",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25(5), 731-740. https://doi.org/10.6109/JKIICE.2021.25.5.731
- 설동훈.고재훈.유승환, 2018, "한국사회학회와 사회학연구, 1964-2017년: 한국사회학회 발표 논문의 연구분야별 내용분석", 「한국사회학」, 52(1), 153-213.
- 송우경, 2018, "지방소멸에 대응한 홋카이도 종합발전계획의 특징과 시사점", 산업연구원.
- 양연희.권영주.이상철, 2019, "토픽모델링과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공공갈등 연구경향 분석", 「지방정부연구」, 23(3), 427-450.
- 유한별.탁근주.문정승, 2021, "한국 지방소멸 요인과 극복 방안에 관한 연구: 머신러닝 방법을 통한 탐색", 「지방정부연구」, 24(4), 443-476.
- 이대영.이현숙, 2021, "LDA 토픽 모델링의 적정 토픽 수 결정 방법 탐색: 혼잡도와 조화평균법 활용을 중심으로", 「교육평가연구」, 34(1), 1-30.
- 이장욱.이현우.김진덕, 2023, "경기도 인구소멸 위험 관련 전략적 대응을 위한 효과적인 지방소멸대응기금제도 운영방안 연구", 「정책연구」, 1-214.
- 이정환, 2017, "인구감소와 지속가능한 지방만들기-지방소멸(地方消滅)을 둘러싼 논점", 「일본공간」, 21, 194-223. https://doi.org/10.35506/JSPACE.2017.21..006
- 이정환, 2018, "일본 지방창생(地方創生) 정책의 탈지방적 성격", 「국제.지역연구」, 27(1), 1-32.
- 이주경.손용훈, 2021, "구글맵리뷰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공원 이용자의 인식 및 평가-서울숲, 보라매공원, 올림픽공원을 대상으로", 「한국조경학회지」, 49(4), 15-29.
- 임보영.이경수.마강래, 2018, "지방소멸과 저성장 시대의 국토공간전략: 일본의 사례를 중심으로", 「공간과 사회」, 28(2), 45-70. https://doi.org/10.19097/KASER.2018.28.2.45
- 임형백, 2022, "인구감소가 초래한 지방소멸 위기와 이민", 「한국지역개발학회지」, 34(4), 15-39.
- 정성호, 2019, "지방소멸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지역사회학」, 20(3), 5-28.
- 정성호.홍창수, 2018, "강원 지역의 소멸 가능성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57(1), 3-25.
- 정주원.이아라, 2022, "인구감소지역 유형에 따른 특성 분석", 「한국행정연구」, 31(3), 61-87. https://doi.org/10.22897/KIPAJN.2022.31.3.003
- 주상현, 2021, "지방자치단체 인구소멸 실태와 정책 방안", 「한국자치행정학보」, 35(3), 295-320. https://doi.org/10.18398/KJLGAS.2021.35.3.295
- 지방시대위원회, 2023, "제1차 지방시대 종합계획(2023~2027)".
- 채지민.임승빈, 2023, "지방소멸 위기에 빠진 기초지방정부의 지방소생지수 지표개발과 정책대안에 관한 연구", 「국토지리학회지」, 57(3), 255-276.
- 최민정.백일순, 2023, "영토적 덫에 걸린 지방소멸: 행정구역 중심의 인구정책에 대한 비판적 검토", 「국토지리학회지」, 57(2), 141-163.
- 하혜영.김유정, 2016, "일본 지방창생(地方創生) 정책의 의제형성과정과 정책결정내용에 대한 분석", 「의정논총」, 11(2), 271-300.
- Aletras, N., and Stevenson, M., 2013, Evaluating topic coherence using distributional semantics, In Proceedings of the 10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ational semantics (IWCS 2013)-Long Papers, pp.13-22.
- Blei, D. M., Ng, A. Y., and Jordan, M. I., 2003, Latent dirichlet allocation, Journal of machine Learning research, 3(Jan), pp.993-1022.
- Kim, D., Seo, D., Cho, S., and Kang, P., 2019, Multi-co-training for document classification using various document representations: TF-IDF, LDA, and Doc2Vec, Information Sciences, 477, pp.15-29. https://doi.org/10.1016/j.ins.2018.10.006
- Kim, J. J., Jang, H., and Roh, S., 2022,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n humanitarian logistics using network analysis and topic modeling, The Asian Journal of Shipping and Logistics. 38(4), pp.263-278. https://doi.org/10.1016/j.ajsl.2022.10.003
- Masuda, H., Okitasari, M., Morita, K., Katramiz, T., Shimizu, H., Kawakubo, S., and Kataoka, Y., 2021, SDGs mainstreaming at the local level: case studies from Japan, Sustainability Science, 16, pp.1539-1562. https://doi.org/10.1007/s11625-021-00977-0
- Newman, D., Lau, J. H., Grieser, K., and Baldwin, T., 2010, Automatic evaluation of topic coherence, In Human language technologies: The 2010 annual conference of the North American chapter of the association for computational linguistics, pp. 100-108.
- Saito, A, 2021, Recentralization of Tokyo: Contradiction and political struggle for regional policy in Japan, International Journal of Japanese Sociology, 30(1), pp.80-93. https://doi.org/10.1111/ijjs.12125
- Wahid, J. A., Shi, L., Gao, Y., Yang, B., Wei, L., Tao, Y., ... and Yagoub, I., 2022, Topic2Labels: A framework to annotate and classify the social media data through LDA topics and deep learning models for crisis response, Expert Systems with Applications, 195, 116562.
- Yamamoto, T., 2019, Analysis of Japanese shrinking cities and policies to tackle this problem (the case of Sammu city and its economic gardening project), R-Economy, 5(3), pp.123-136. https://doi.org/10.15826/recon.2019.5.3.013
- Zhang, W., Zhang, M., Yuan, L., and Fan, F., 2023, Social network analysis and public policy: what's new?, Journal of Asian Public Policy, 16(2), pp.115-145. https://doi.org/10.1080/17516234.2021.1996869
- Zhang, J., Gui, W., and Wen, J., 2022, China's policy similarity evaluation using LDA model: An experimental analysis in Hebei province,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01655515221097858.
- Zhu, M., Tanaka, K., and Akamatsu, T., 2023, Visualizing the annual transition of ocean policy in Japan using text mining, Marine Policy, 155, 105754.
- まち.ひと.しごと創生本部, 2014, まち.ひと.しごと創生総合戦略.
- まち.ひと.しごと創生本部, 2021, まち.ひと.しごと創生法(平成二十六年法律第百三十六号).
- まち.ひと.しごと創生本部, 2020, 第2期「まち.ひと.しごと創生総合戦略」.
- 溝口洋, 2015, まちひとしごと創生の経過と今後の展開, 「市町村アカデミー」, 113, pp.38-43.
- 総務省, 2017, 定住自立圏構想推進調査報告書(平成21年 度報告書).
- 槙満信, 2016, 地方消滅論をめぐる考察. 鹿児島経済論集第, 6(1-4), pp.37-61.
- 市川直子, 2016, 地方分権改革と地方創生, 文京学院大学外国語学部紀要.
- 其田茂樹, 2015, 地方創生は政策目的か, 自治総硏, 439.
- 宮脇淳, 2015, 明日の地方創生を考える, 土地総合硏究.
- 국토교통부, 2023년 11월 1일. 윤석열 정부, 「지방시대 종합계획(2023-2027)」 발표, https://www.molit.go.kr/USR/NEWS/m_71/dtl.jsp?lcmspage=1&id=95088990
- 동아일보, 2023년 11월 10일, [단독]지방소멸기금 2%도 못쓴 지자체들에 또 1040억, https://www.donga.com/news/Politics/article/all/20231110/122112431/1
- 행정안전부, 2021, 지방소멸대응기금, https://www.mois.go.kr/frt/sub/a06/b06/localextinctionFund/screen.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