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haracteristics and Changes of Policy Responses to Local Extinction: A Case of Comprehensive Strategy and Basic Policy on Community-Population-Job Creation in Japan

지방소멸 대응 정책의 특징 및 변화 분석: 일본의 마을·사람·일자리 창생 종합전략 및 기본방침을 사례로

  • 장석길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
  • 양지혜 (서울연구원) ;
  • 김태형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협동과정 조경학, 융합전공 지역.공간분석학, 환경계획연구소)
  • Received : 2023.12.07
  • Accepted : 2024.01.15
  • Published : 2024.03.30

Abstract

To respond to local extinction, South Korea, under the leadership of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identified depopulated areas in 2021 and launched the Local Extinction Response Fund in 2022. However, due to its early stage of implementation,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and changes of policy response to local extinction at the central government level remains a challenge. In contrast, Japan, facing similar issues of local extinction as South Korea, has established a robust central government-led response system based on the Regional Revitalization Act and the Comprehensive Strategy and Basic Policy on Community-Population-Job Creation. Hence, this study examines Japan's policy responses to local extinction by analyzing the first and second periods of the Comprehensive Strategy and Basic Policy on Community-Population-Job Creation. For the analysis, topic modeling was employed to enhance text analysis efficiency and accuracy, complemented by expert interviews for validation.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first-period strategy's topics encompassed economy and society, start-up, local government, living condition, service, and industry. Meanwhile, the second-period strategy's topics included resource, the New Normal, woman, digital transformation, industry, region, public-private partnership, and population. The analysis highlights that the policy target, policy direction, and environmental change significantly influenced these policy shifts.

국내 지방소멸에 대한 위기 의식이 확산됨에 따라 최근 메가시티 조성 등 지역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한국은 행안부 주도로 '21년 인구감소지역을 지정하고 '22년 지방소멸대응기금을 신설하여 지원하고 있으나, 도입 초기 단계에 있어 현재까지 중앙정부 수준의 정책적 특징 및 변화를 파악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지방소멸 측면에서 한국과 유사한 특성을 보이는 일본은 지방창생법, 마을·사람·일자리 창생 종합전략 등 정부 주도의 유기적 대응 체계를 구축하고 있어, 중앙정부 수준의 정책적 특징과 함의를 파악하기에 적절한 사례로 여겨진다. 이에, 본 연구는 일본의 지방소멸 대응 정책인 제1기, 제2기 마을·사람·일자리 창생 종합전략 및 기본방침을 대상으로 텍스트 분석의 효율성 및 정확성을 높이는 토픽모델링을 사용하여 지방소멸 대응 정책의 특징 및 변화를 분석하였다. 나아가, 일본 지방소멸 분야의 전문가 심층인터뷰를 수행하여 분석결과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1기 전략의 토픽으로는 경제·사회, 창업, 지방자치단체, 정주여건, 서비스, 산업이 도출되었으며, 2기의 토픽으로는 자원, 뉴노멀, 여성, 디지털 전환, 산업, 지역, 민관협력, 인구가 도출되었다. 1기 및 2기 전략의 정책적 변화에 영향을 미친 주요 요소로는 정책 대상, 시책 방향성, 환경 변화가 나타났으며, 이에 국내 지방소멸 대응 정책에 주는 함의로 인구감소지역의 특성에 따른 지원 정책의 차별화, 목적에 적합한 지방소멸 대응 접근(인구사회정책, 지역개발정책)의 적용, 유관 법정 계획과의 연계를 통한 지원 체계의 마련이 제시되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연구는 2022년도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일본학연구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음

References

  1. 강은경.정연식.양선욱.권지윤.양성병, 2022, "MIS Quarterly 연구동향 탐색: 토픽모델링 및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활용", 「지능정보연구」, 28(2), 207-235. https://doi.org/10.13088/JIIS.2022.28.2.207
  2. 강현정.최충익, 2022, "국가균형발전정책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과 함의: 의미망 분석과 토픽모델링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34(5), 1-17.
  3. 국토연구원, 2021, "경상북도 지방소멸 대응 종합계획 수립 연구", 경상북도.
  4. 국토연구원, 2022, "[세계국토총서 22-204] 코로나19 이후의 일본 국토정책 동향".
  5. 국토연구원, 2020, "마을.사람.일자리 창생 장기비전 2019(개정판)과 제2기 종합전략 2020~2024: 일본의 국토 및 지역 발전계획".
  6. 국토연구원, 2020, "[세계국토총서 20-202] 마을.사람.일자리.창생 총합전략 2017(개정판)과 기본방침 2018: 일본의 국토 및 지역 발전계획".
  7. 김상근, 2023, "지방소멸방지를 위한 특별자치도의 정책방안 연구", 「대한부동산학회지」, 41(2), 23-37.
  8. 김순은, 2017, "일본의 지방창생정책", 「공공정책연구」, 33(2), 25-54.
  9. 김영미, 2022, "북한 정보통신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토픽 모델링을 기반으로",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23(9), 1833-1846.
  10. 김원중, 2021, "인구감소에 따른 지방소멸위기지역 지원 특별법(안) 입법 개선 방안 검토", 「지방자치법연구」, 21(1), 147-177. https://doi.org/10.21333/LGLJ.2021.21.1.005
  11. 김지영.길상혁.정문기, 2022, "소멸위기 지방정부의 핵심 생산가능인구 유입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자치학회보」, 34(2), 211-236. https://doi.org/10.21026/JLGS.2022.34.2.211
  12. 김진형, 2020,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지역소멸대응 관련 정책보고서 검토", 「콘텐츠문화연구」, 2, 55-67.
  13. 김현호.이제연.김도형, 2021, "국가위기 대응을 위한 지방소멸 방지전략의 개발", 한국지방행정연구원 기본연구과제.
  14. 곽희종, 2023,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도시재생정책 이슈 분석: 국토교통부 보도자료를 중심으로", 「국토계획」, 58(2), 22-37.
  15. 박승현, 2017, "'지방소멸'과 '지방창생': '재후'(災後) 의 관점으로 본 '마스다 보고서", 「일본비평」, (16), 158-183.
  16. 박진경.김도형, 2020, "인구감소대응 지방자치단체 청년유입 및 정착정책 추진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기본연구과제, 1-405.
  17. 서예령.고금석.이재우, 2021, "빅데이터 LDA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국내 코로나 19 대유행 기간 마스크 관련 언론 보도 및 태도 변화 분석",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25(5), 731-740. https://doi.org/10.6109/JKIICE.2021.25.5.731
  18. 설동훈.고재훈.유승환, 2018, "한국사회학회와 사회학연구, 1964-2017년: 한국사회학회 발표 논문의 연구분야별 내용분석", 「한국사회학」, 52(1), 153-213.
  19. 송우경, 2018, "지방소멸에 대응한 홋카이도 종합발전계획의 특징과 시사점", 산업연구원.
  20. 양연희.권영주.이상철, 2019, "토픽모델링과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공공갈등 연구경향 분석", 「지방정부연구」, 23(3), 427-450.
  21. 유한별.탁근주.문정승, 2021, "한국 지방소멸 요인과 극복 방안에 관한 연구: 머신러닝 방법을 통한 탐색", 「지방정부연구」, 24(4), 443-476.
  22. 이대영.이현숙, 2021, "LDA 토픽 모델링의 적정 토픽 수 결정 방법 탐색: 혼잡도와 조화평균법 활용을 중심으로", 「교육평가연구」, 34(1), 1-30.
  23. 이장욱.이현우.김진덕, 2023, "경기도 인구소멸 위험 관련 전략적 대응을 위한 효과적인 지방소멸대응기금제도 운영방안 연구", 「정책연구」, 1-214.
  24. 이정환, 2017, "인구감소와 지속가능한 지방만들기-지방소멸(地方消滅)을 둘러싼 논점", 「일본공간」, 21, 194-223. https://doi.org/10.35506/JSPACE.2017.21..006
  25. 이정환, 2018, "일본 지방창생(地方創生) 정책의 탈지방적 성격", 「국제.지역연구」, 27(1), 1-32.
  26. 이주경.손용훈, 2021, "구글맵리뷰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공원 이용자의 인식 및 평가-서울숲, 보라매공원, 올림픽공원을 대상으로", 「한국조경학회지」, 49(4), 15-29.
  27. 임보영.이경수.마강래, 2018, "지방소멸과 저성장 시대의 국토공간전략: 일본의 사례를 중심으로", 「공간과 사회」, 28(2), 45-70. https://doi.org/10.19097/KASER.2018.28.2.45
  28. 임형백, 2022, "인구감소가 초래한 지방소멸 위기와 이민", 「한국지역개발학회지」, 34(4), 15-39.
  29. 정성호, 2019, "지방소멸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지역사회학」, 20(3), 5-28.
  30. 정성호.홍창수, 2018, "강원 지역의 소멸 가능성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57(1), 3-25.
  31. 정주원.이아라, 2022, "인구감소지역 유형에 따른 특성 분석", 「한국행정연구」, 31(3), 61-87. https://doi.org/10.22897/KIPAJN.2022.31.3.003
  32. 주상현, 2021, "지방자치단체 인구소멸 실태와 정책 방안", 「한국자치행정학보」, 35(3), 295-320. https://doi.org/10.18398/KJLGAS.2021.35.3.295
  33. 지방시대위원회, 2023, "제1차 지방시대 종합계획(2023~2027)".
  34. 채지민.임승빈, 2023, "지방소멸 위기에 빠진 기초지방정부의 지방소생지수 지표개발과 정책대안에 관한 연구", 「국토지리학회지」, 57(3), 255-276.
  35. 최민정.백일순, 2023, "영토적 덫에 걸린 지방소멸: 행정구역 중심의 인구정책에 대한 비판적 검토", 「국토지리학회지」, 57(2), 141-163.
  36. 하혜영.김유정, 2016, "일본 지방창생(地方創生) 정책의 의제형성과정과 정책결정내용에 대한 분석", 「의정논총」, 11(2), 271-300.
  37. Aletras, N., and Stevenson, M., 2013, Evaluating topic coherence using distributional semantics, In Proceedings of the 10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ational semantics (IWCS 2013)-Long Papers, pp.13-22.
  38. Blei, D. M., Ng, A. Y., and Jordan, M. I., 2003, Latent dirichlet allocation, Journal of machine Learning research, 3(Jan), pp.993-1022.
  39. Kim, D., Seo, D., Cho, S., and Kang, P., 2019, Multi-co-training for document classification using various document representations: TF-IDF, LDA, and Doc2Vec, Information Sciences, 477, pp.15-29. https://doi.org/10.1016/j.ins.2018.10.006
  40. Kim, J. J., Jang, H., and Roh, S., 2022,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n humanitarian logistics using network analysis and topic modeling, The Asian Journal of Shipping and Logistics. 38(4), pp.263-278. https://doi.org/10.1016/j.ajsl.2022.10.003
  41. Masuda, H., Okitasari, M., Morita, K., Katramiz, T., Shimizu, H., Kawakubo, S., and Kataoka, Y., 2021, SDGs mainstreaming at the local level: case studies from Japan, Sustainability Science, 16, pp.1539-1562. https://doi.org/10.1007/s11625-021-00977-0
  42. Newman, D., Lau, J. H., Grieser, K., and Baldwin, T., 2010, Automatic evaluation of topic coherence, In Human language technologies: The 2010 annual conference of the North American chapter of the association for computational linguistics, pp. 100-108.
  43. Saito, A, 2021, Recentralization of Tokyo: Contradiction and political struggle for regional policy in Japan, International Journal of Japanese Sociology, 30(1), pp.80-93. https://doi.org/10.1111/ijjs.12125
  44. Wahid, J. A., Shi, L., Gao, Y., Yang, B., Wei, L., Tao, Y., ... and Yagoub, I., 2022, Topic2Labels: A framework to annotate and classify the social media data through LDA topics and deep learning models for crisis response, Expert Systems with Applications, 195, 116562.
  45. Yamamoto, T., 2019, Analysis of Japanese shrinking cities and policies to tackle this problem (the case of Sammu city and its economic gardening project), R-Economy, 5(3), pp.123-136. https://doi.org/10.15826/recon.2019.5.3.013
  46. Zhang, W., Zhang, M., Yuan, L., and Fan, F., 2023, Social network analysis and public policy: what's new?, Journal of Asian Public Policy, 16(2), pp.115-145. https://doi.org/10.1080/17516234.2021.1996869
  47. Zhang, J., Gui, W., and Wen, J., 2022, China's policy similarity evaluation using LDA model: An experimental analysis in Hebei province,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01655515221097858.
  48. Zhu, M., Tanaka, K., and Akamatsu, T., 2023, Visualizing the annual transition of ocean policy in Japan using text mining, Marine Policy, 155, 105754.
  49. まち.ひと.しごと創生本部, 2014, まち.ひと.しごと創生総合戦略.
  50. まち.ひと.しごと創生本部, 2021, まち.ひと.しごと創生法(平成二十六年法律第百三十六号).
  51. まち.ひと.しごと創生本部, 2020, 第2期「まち.ひと.しごと創生総合戦略」.
  52. 溝口洋, 2015, まちひとしごと創生の経過と今後の展開, 「市町村アカデミー」, 113, pp.38-43.
  53. 総務省, 2017, 定住自立圏構想推進調査報告書(平成21年 度報告書).
  54. 槙満信, 2016, 地方消滅論をめぐる考察. 鹿児島経済論集第, 6(1-4), pp.37-61.
  55. 市川直子, 2016, 地方分権改革と地方創生, 文京学院大学外国語学部紀要.
  56. 其田茂樹, 2015, 地方創生は政策目的か, 自治総硏, 439.
  57. 宮脇淳, 2015, 明日の地方創生を考える, 土地総合硏究.
  58. 국토교통부, 2023년 11월 1일. 윤석열 정부, 「지방시대 종합계획(2023-2027)」 발표, https://www.molit.go.kr/USR/NEWS/m_71/dtl.jsp?lcmspage=1&id=95088990
  59. 동아일보, 2023년 11월 10일, [단독]지방소멸기금 2%도 못쓴 지자체들에 또 1040억, https://www.donga.com/news/Politics/article/all/20231110/122112431/1
  60. 행정안전부, 2021, 지방소멸대응기금, https://www.mois.go.kr/frt/sub/a06/b06/localextinctionFund/screen.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