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Climate Change Project Learning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 Climate Change and Environmental Literacy

기후변화 프로젝트 학습이 초등학생의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 및 태도, 환경소양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23.12.18
  • Accepted : 2024.01.19
  • Published : 2024.01.31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project learning on elementary students' attitudes toward climate change and environmental literacy. Climate change project learning was conducted on 174 six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a metropolitan city (77 male, 97 female), after which their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 climate change and environmental literacy were assessed. The climate change project learning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tudents'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 climate change, which was surmised because of the climate change content sharing and discussions during the project learning. The climate change project learning also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tudents' environmental literacy, especially their environmental attitudes, values, and behavior; however,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found for environmental sensitivity. This study highlights the educational effects and implications of environmentally focused climate change projectbased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와 프로젝트 수업이 초등학생의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 및 태도, 환경소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광역시 소재의 초등학교 6학년 학생 174명(남학생 77명, 여학생 97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12차시 분량의 기후변화 프로젝트 수업을 실시한 후 학생들의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 및 태도, 환경소양 수준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기후변화 프로젝트 수업은 초등학생의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 및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프로젝트 학습 과정에서 기후변화 문제와 관련하여 서로 조사한 내용을 공유하고 소통하면서 학생들의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 및 태도가 함양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기후변화 프로젝트 수업은 초등학생의 환경소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구체적으로 환경태도 및 가치, 환경 친화적 행동 영역에서는 긍정적인 변화가 관찰되었지만 환경감수성 영역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과학 및 환경 관련 교육학 분야에서 강조되고 있는 기후변화 문제를 소재로 한 기후변화 프로젝트 수업의 교육적 효과를 논의하고 시사점을 제안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승국(2017). 생태도시 프로젝트 학습이 초등학생의 환경소양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강영식, 김용숙(2012). 생명존중 숲 체험활동이 유아의 환경 감수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7(2), 1-18.
  3. 강진영, 남미리, 김정훈, 김찬국(2023). 우리나라 초등학생의 환경소양 수준에 관한 탐색적 논의. 환경교육, 36(2), 173-189.
  4. 곽홍탁, 이옥희(2005). '환경'프로젝트 학습활동이 초등학생의 자기환경화에 미치는 효과. 환경교육, 18(3), 45-58.
  5. 교육부(2022). 초등학교 교육과정. 고시 제2022-33호.
  6. 권동택(2003). 초등교육의 관점에서 본 기초교육의 의미. 초등교육연구, 16(2), 41-58.
  7. 길지현, 심규철(2013). 기후변화 교육 관련 해외 논문에 대한 메타 분석 결과. 에너지기후변화교육, 3(2), 95-101.
  8. 길형석(2005). 효율적인 초등학교 주제중심 통합 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9, 85-106.
  9. 김규현(2007). 토론식 환경수업이 초등학생의 환경소양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은정, 조부경(2013). 사진을 활용한 숲 체험 활동이 유아의 환경 감수성 및 환경 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미디어연구, 12(2), 23-46.
  11. 김지수, 이승혁, 이성희(2013). 초등학교의 웹기반 에너지 교육 활용 방안 연구. 에너지기후변화교육, 3(1), 63-73.
  12. 김찬국, 최돈형(2008). 우리나라 기후 변화 교육의 방향에 관한 고찰. 환경교육, 23(1), 1-12.
  13. 문민, 손장호(2023). 친환경 에너지 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환경소양에 미치는 영향. 실과교육연구, 29(2), 61-80.
  14. 박준희(2003). 중학생의 환경소양에 영향을 주는 요인 탐색.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서은정(2018). 환경 교육과정: 지속가능발전으로 역량 함양을 지향하는. 교육과학사.
  16. 신영준(2017).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제시된 적정기술, 지속 가능 발전, 기후변화, 에너지 교육 내용 분석. 에너지기후변화교육, 7(1), 15-23. https://doi.org/10.22368/KSECCE.2017.7.1.15
  17. 심정은, 이두곤(2009). 초등 교과서의 환경교육적 내용 분석 및 초등환경 교육 체계화를 위한 학교 교육과정 개발방안. 환경교육, 59(1), 163-174.
  18. 안정민, 소금현(2020).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기후변화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기후변화에 대한 지식, 인식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에너지기후변화교육, 10(1), 51-60. https://doi.org/10.22368/KSECCE.2020.10.1.51
  19. 양정하(2016). 물 환경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환경지식, 인식 및 생활태도에 미치는 영향. 부산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이명선(2011). 지역중심 <환경>프로젝트를 통한 농촌지역 초등학생들의 환경감수성 함양. 대구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여상한, 엄우용(2017). 초등학교 프로젝트 중심 학습 설계 모형의 실행 전략 개발. 교육공학연구, 33(4), 869-900.
  22. 오채운, 송예원, 김태호(2023). IPCC 제6차 평가보고서 종합보고서 기반, 기후기술 대응 시사점. 국가녹색기술연구소.
  23. 이동영, 김윤경, 강지훈(2022).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토의 중심 환경 수업이 초등학생의 기후변화 및 에너지 문제에 대한 인식⋅태도에 미치는 영향. 에너지기후변화교육, 12(3), 189-199. https://doi.org/10.22368/KSECCE.2022.12.3.189
  24. 이종현(2010). <재활용>프로젝트 학습을 통한 초등학생들의 환경 인식과 태도의 변화. 대구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장주연, 배진호(2021). 안내된 프로젝트 학습을 기반으로 한 기후변화 교육이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태도와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에너지기후변화교육, 11(3), 239-250. https://doi.org/10.22368/KSECCE.2021.11.3.239
  26. 정민자(2014). 나무이름표 달기 프로젝트 학습이 초등학생의 환경소양과 인성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정연화, 이석희(2018). 부산기후변화체험교육관을 활용한 기후변화 교육이 초등학생의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 지식, 태도, 환경 민감도, 환경태도에 미치는 영향.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 8(2), 113-127.
  28. 정창규(2010). ESD관점에 입각한 웹기반 기후변화 교육이 초등학생의 환경의식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5학년을 중심으로.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진옥화, 최돈형(2005). 환경소양 개념의 변천과 환경소양측정 연구. 환경교육, 18(2), 31-43.
  30. 추정인(2022). 프로젝트 학습을 활용한 생태환경교육이 초등학생의 환경소양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부산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최양림(2006). 생태 지향적 과학 교수⋅학습 활동이 초등 학생의 환경소양에 미치는 효과.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환경부(2000). 현장체험학습 프로그램 개발 연구.
  33. 환경부(2020). 제3차 환경교육종합계획(2021-2025).
  34. 황수정(2009). 초등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한 기후변화교육을 위한 독서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Choi, S., N iyogi, D., Shepardson, D. P., & Charusombat, U. (2010). Do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 textbooks promot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conceptual development about climate change?. Bulletin of th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91(7), 889-898.
  36. Dawson, V. (2015). Western Australian high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s about the socioscientific issue of climate chang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7(7), 1024-1043.
  37. Dawson, V., & Carson, K. (2013). Science teachers' and senior second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 topics. Australian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29(2), 202-220.
  38. Eilam, E. (2022). Climate change education: the problem with walking away from disciplines. Studies in Science Education, 58(2), 231-264.
  39. Hallermann, S., Larmer, J., & Mergendoller, J. (2011). PBL in the elementary grades. Buck Institute for Education.
  40. IPCC (2023). AR6 Synthesis Report: Climate Change 2023. https://www.ipcc.ch/report/sixth-assessment-report-cycle/
  41. Larmer, J., & Mergendoller, J. R. (2010) Seven essentials for project-based learning. Educational Leadership, 68(1), 34-37.
  42. Leith, S. (1982). Project Work: An Enigma. In B. Simon & J. Wilcocks (Eds.), Research and Practice in the Primary Classroom. London: Routledge & Kegan.
  43. Lin, Y-T., Chang, C-H., Hou, H-T., & Wu, K-C. (2015). Exploring the effects of employing Google Docs in collaborative concept mapping on achievement, concept representation, and attitudes. Interactive Learning Environments, 23(3), 1-20.
  44. NAAEE (2019). State Environmental Literacy Plans: 2019 Status Report. North American Association for Environmental Education.
  45. Robertson, W. H. (2015). Global climate change and the need for relevant curriculum. International Journal of Learning, Teaching and Educational Research, 10(1), 35-44.
  46. Roth, C. E. (1992). Environmental literacy: It's roots, evolution, and directions in the 1990's. The ERIC Clearinghouse for Science, Mathematics, and Environmental Education.
  47. Simmons, D. (1995). Developing a framework for national environmental education standards. In papers on the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education standards (pp. 10-58). North American Association for Environmental Education.
  48. Walsh, E., & Cho, I. (2012). Using evernote as an electronic lab notebook in a translational science laboratory. Journal of Laboratory Automation, 20(10),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