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nfluence of Elderly Stress upon Life Satisfaction - Focused on mediating effects of leisure activities participation -

노인의 스트레스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여가활동 참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 김은혜 (서울한영대학교 재활상담심리학)
  • Received : 2023.12.22
  • Accepted : 2024.01.12
  • Published : 2024.01.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influence of stress upon life satisfaction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leisure activities participation in terms of this relationship.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ut of the elderly stress, the family stress, economic stress and health issues stress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Second, out of the elderly stress, the family stress, economic stress and health issues stress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leisure activities participation. Third, the leisure activities participation had a meaningful positive impact on life satisfaction. Lastly, the leisure activities participation appeared to have a significant mediation effect in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between elderly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leisure activities participation was indicated to mediate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between elderly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thereby having been able to be confirmed significance as alternative resource. Hence, the elderly's leisure activities participation alleviates a negative impact on stress, thereby seeming to be likely capable of being used as an intervention measure to improve elderly people's life satisfaction.

본 연구는 노인을 대상으로 스트레스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 관계에서 여가활동 참여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스트레스 중 가족 스트레스, 경제문제 스트레스, 건강문제 스트레스는 생활만족도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노인의 스트레스 중 가족 스트레스, 경제문제 스트레스, 건강문제 스트레스는 여가활동 참여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여가활동 참여는 생활 만족도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넷째, 여가활동 참여는 노년기 스트레스와 생활만족도의 영향 관계에서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여가활동 참여는 노인의 스트레스와 생활만족도의 영향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나 대처자원으로서 유의미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노인의 여가활동 참여는 스트레스에 대한 부정적 영향을 완화하여 노인들의 생활만족도를 높이는 중재방안으로 활용이 가능함에 의의를 둔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중돈(2019). 인간행동과 사회환경-이론과 실천. 서울: 학지사.
  2. 정옥분(2019). 발달심리학: 전생애 인간발달. 서울: 학지사.
  3. 서인균, 조혜정(2013). 노인의 스트레스와 자살생각간의 관계에 대한 우울의 매개효과: 독거노인과 비독거노인 비교연구. 노인복지연구, 61, 135-162.
  4. 남기민, 이정은(2012). 노인의 일상생활 스트레스와 성공적 노화의 관계. 노인복지연구, 57, 85-112.
  5. 박정남(2013). 노인의 고독감, 생활스트레스, 우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사회활동 참여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서울기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S. L. Dunn(2005). Hopelessness as a Response to Physical Illness. Journal of Scholarship, 37(2), 148-154.
  7. P. Scocco, P. Marietta, M., Tonietto, M.,M. D. Buono, & D. D. Leo(2000). The role of psychopathology and suicidal intention in predicting risk: A longitudinal study. Psychopathology, 33(3), 143-150.
  8. 강병진, 차지원(2010). 노인의 여가활동 참여와 자긍심, 무력감, 고독감, 여가만족, 생활만족, 행복감 간의 인과관계. 한국운동재활학회지, 6(4), 39-51.
  9. 이경재, 남궁선(2011). 여가활동 참여 만족도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서울지역 노인 여가시설 이용자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53, 61-82.
  10. 김명숙, 고종욱(2013). 노인 생활만족도 결정요인에 대한 통합적 접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3(6), 246-259. https://doi.org/10.5392/JKCA.2013.13.06.246
  11. 허정미(2021). 노인 여가활동의 참여 만족과 참여몰입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연구: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대한신학대학원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2. 신조황, 조현민(2011). 노인의 여가활동 참여가 웰니스와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0(3), 877-887.
  13. 이신숙, 이경주(2002). 노인의 일상적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심리적 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2(1). 1-20.
  14. R. S. Lazarus, & S. Folkman(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Springer.
  15. 이호선(2015). 노인상담. 서울: 학지사.
  16. N. M. Krause(1991). Stressful events and life satisfaction among elderly men and women. Journal of Gerontology, 46(2), 84-92.
  17. 송영순(2018). 기혼 중년여성의 여가활동 참여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J. Murphy(1974). Concept of leisure: Philosophical implications. Englewood, NJ: Prentice-Hall.
  19. 서헌(2017). 여가의 개념에 대한 탐색적 고찰: 주요 개념의 제한점을 중심으로. 관광레저연구, 29(8), 367-377.
  20. A. S. Brooker, & I. Hyman(2010). Time use: A report of the Canadian Index of Wellbeing(CIW). Technical Report 1.0. Waterloo, ON: Canadian Index of. Wellbeing and University of Waterloo.
  21. 김선화(2011). 여가활동 참여 노인의 여가인지, 여가기술, 여가몰입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서울기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 B. L. Neugarten, , R. J. Havinghurst, & S. S. Tobin(1961). The measurement of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Gerontology, 16, 134-143.
  23. 박순미(2010). 노인의 생활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비교연구: 도시노인과 농촌노인의 특성비교. 노인복지연구, 47, 137-160.
  24. 임성숙(2012). 노인 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 및 생활 만족도와의 관계.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5. L. George(1979). The happiness syndrome. The Gerontologist, 19(2), 210-231.
  26. 박혜영(2017). 시니어세대의 여가활동프로그램 참여가 생활만족도 및 정서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레저학회 학술발표, 332-339.
  27. 조민구(2015). 여가정책의 효과성 제고를 위한 여가활동 영향 요인의 실증적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8. 이봉진, 홍상욱(2012). 노인의 여가활동이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동북아관광연구, 8(2), 139-156.
  29. 배정이, 김희현, 양미경, 김해진, 김정희(2013). 한국노인의 스트레스와 관리방안. Crisisonomy, 9(3), 175-194.
  30. 김중환(2019). 농촌 노인의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여가활동 참여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1. 임영삼, 김재현, 이상덕(2013). 노년기 스포츠 여가활동 참여와 스트레스 및 주관적 삶의 질과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22(4), 37-50.
  32. 심남수(2010). 노인의 여가활동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대인관계와 사회적 지지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3. 김동현(2020). 노인의 여가활동에 대한 혈관상태와 스트레스 비교연구.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10(3), 53-61.
  34. 김정희(2010). 스트레스 다스리기. 서울: 학지사.
  35. 장명숙, 박경숙(2012).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생태체계적 관점에서. 보건사회연구, 32(2), 232-266. https://doi.org/10.15709/HSWR.2012.32.2.232
  36. 김동배, 정규형, 이은진(2012). 노인의 과거 노후 준비정도와 준비유형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과 생활만족도의 매개효과. 노인복지연구, 58, 325-352.
  37. 최장원(2018). 노년기 경제적 스트레스가 노화불안에 미치는 영향: 자발적 봉사활동 동기, 연령의 상호작용효과 검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8(1), 117-131. https://doi.org/10.5392/JKCA.2018.18.01.117
  38. 김은영(2017). 노인의 차이연령과 노화불안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9. 이향숙, 신원우(2016). 노인의 여가활동 유형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문화산업연구, 16(3), 157-165.
  40. 이규은, 엄영희, 한정희(2012). 노인의 건강 상태, 여가만족 및 외로움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기본간호학회지, 19(4), 482-492.
  41. 강종필(2018). 노인 여가의 제약요인과 동기요인이 노인 여가활동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2. 최창현, 곽미정(2015). 노인의 여가만족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 관하여. GRI연구논총, 17(1), 133-155.
  43. 전규미(2018). 호텔기업 종사원의 여가만족, 인지적 및 행위적 몰입, 생활만족간의 관계 연구. 관광레저연구, 30(11), 401-419.
  44. 김수봉(2010). 노인의 생활만족도 개선을 위한 사회정책의 방향. 노인복지연구, 47(1), 95-111.
  45. 문보영, 이경희, 문혜영(2013). 노인의 여가활동, 여가만족도 및 생활만족도와의 관계. 관광레저연구, 25(5), 273-287.
  46. 신봉희(2020). 노인의 여가활동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을 매개변수로. 대한신학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7. 이삼식, 최효진(2019). 고령자의 노인기준연령에 대한 인식이 사회참여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30(2), 181-198.
  48. 최정자(2016). 노인의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연구: 사회적 지지의 조절 및 매개효과 검증 중심으로. 성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9. 강인(1989). 중년기 가족스트레스와 가족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0. 이미애(2021). 노인의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우울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지지 및 스트레스 대처방안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청주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1. P. A. Witt, & F. D. Eills(1987). The leisure diagnostic battery remediation guide. North Texas State University, Leisure diagnostic battery project.
  52. 원형중(1989). 여가활동 기능척도(국문판)의 번역개발을 위한 연구.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6, 101-106.
  53. 김영호(1995). 한국형 레저 진단도구의 모형개발.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4. T. K. Scanlan(1993). Social psychological aspects of competition for male youngth sports participation of enjoyment. Journal of Sport Psychology, 8, 25-35.
  55. 정용각(1997). 스포츠 참가자의 스포츠 참여동기, 각성추구, 정서적 요인이 스포츠 몰입행동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6. 최성재(1986). 노인생활만족도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논총, 49, 233-258.
  57. A. F. Hayes(2013).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 New York, NY: The Guilford Press.
  58. 허원무(2013). 매개효과 분석 방법의 최근 트렌드: 부트스트래핑을 이용한 단순, 다중, 이중 매개효과 분석방법. 한국비즈니스리뷰, 6(3), 43-59.
  59. 이영신(2021). 노인의 고독감이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 : 회복탄력성과 사회활동참여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목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0. 김은정(2018). 독거노인의 고독감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 검증. 사회과학연구, 44(1), 171-198. https://doi.org/10.15820/KHJSS.2018.44.1.007
  61. 이현숙(2020). 독거노인의 고독감 대처과정에 관한 연구. 백석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2. 허준수(2011). 노인들의 고독감에 대한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53, 101-131.
  63. 김봉금(2019). 스트레스가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와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9(6), 281-291. https://doi.org/10.5392/JKCA.2019.19.06.281
  64. H. Tinsley, S. Colbs, T. Teaff, & N. Kaufman(1987). The relationship of age, gender, health and economic status to the psychological benefits older persons report from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Leisure Sciences, 9, 53-65.
  65. 김세진, 강은나(2017). 도시지역 거주 노인의 여가시설 이용 유형과 특성에 관한 연구: 여가시설 이용 노인을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37(3), 110-138. https://doi.org/10.15709/HSWR.2017.37.3.110
  66. 최정민(2014). 노인의 소득과 자살생각 간 관계: 신체건강, 우울감, 사회자본의 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7. 방건(20230. 노인의 역활동이 생활만족도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관광활동의 조절효과. 신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8. 박영준(2010). 농촌지역 독거노인의 스트레스, 여가만족 및 심리적 복지감과의 인과관계 연구. 농촌사회, 20(2), 233-263.
  69. 배점모(2015). 사회적 지지의 효과에 대한 이론적 고찰. 한국자치행정학보, 29(4), 49-70. https://doi.org/10.18398/KJLGAS.2015.29.4.49
  70. 오세숙, 김종순, 전상우(2016). 여가활동 유형별 노인여가정책연구동향. 여가학연구, 14(1), 63-82. https://doi.org/10.22879/SLOS.2016.14.1.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