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resence Experience & Effect of the Experiential Exhibition Content

체험형 전시 콘텐츠의 프레즌스 경험과 효과에 관한 연구

  • 설연수 (광주과학기술원 한국문화기술연구소) ;
  • 주정민 (전남대학교 신문방송학과)
  • Received : 2023.12.19
  • Accepted : 2024.01.22
  • Published : 2024.02.07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Presence experience, resulting effects, and re-viewing intentions of visitors to experiential exhibition content.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246 visitors to experiential exhibition content based on Hyecho's travel story and SilkRoad cultural heritage. As a result of the survey, understanding and interest in the content material and similar exhibition viewing experience did not affect Presence experience. In addition the higher the Presence experience of exhibition content, the greater the awareness and emotion that is the effect of Presence. And among the effects of Presence, emo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revisiting intentions.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future experiential exhibition contents require planning, production, and exhibition that allow users to experience Presence.

본 연구는 체험형 전시 콘텐츠 관람객의 프레즌스 경험과 이에 따른 효과, 재관람 의도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혜초의 여행기 왕오천축국전, 실크로드 문화유산을 소재로 한 체험형 전시 콘텐츠 관람객 24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콘텐츠 소재에 대한 이해 및 관심도는 프레즌스 경험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유사한 체험형 전시 관람 경험은 프레즌스 경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아울러 전시 콘텐츠의 프레즌스 경험이 높을수록 프레즌스의 효과인 각성과 감동도 컸다. 그리고 프레즌스의 효과 중에서 감동은 재관람 의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따라서 향후 체험형의 전시콘텐츠는 이용자들이 프레즌스를 체험하게 하는 기획, 제작, 전시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한국콘텐츠진흥원의 2022년도 문화기술연구개발 지원사업에서 수집한 자료를 활용하였음.

References

  1. 최주호, 문솔미, 박지수, 이보아, "실감형 문화유산콘텐츠 및 기술 동향에 관한 연구," 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제24권, 제10호, 2391-2408쪽, 2023년 10월 https://doi.org/10.9728/dcs.2023.24.10.2391
  2. 두경일, 김성훈. "체험형 미디어 공간에서의 인터랙티브 전시영상 활성화 방안 연구," 디자인지식저널, 제24권, 214-223쪽, 2012년 11월
  3. 조경훈, 공순구, "증강현실 기반 상설 전시공간에서 사용자 몰입 효과 요소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6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73-78쪽, 2016년 10월
  4. 임태형, 양은별, 류지헌, "메타버스 기반 전시 박람회에서 참관객의 만족도와 추천 의향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제23권, 제3호, 469-479쪽, 2022년 3월 https://doi.org/10.9728/dcs.2022.23.3.469
  5. Reeves, B. & Nass, C., "The media equation : How people treat ccomputerstelevision, and new media like real people and places," Stanford, CA : CSLI Publications, pp. 19-36, 1996.
  6. Lombard, M. & T. Ditton. "At the heart of it all :The concept of presence,"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vol. 3, no. 2, 1997.
  7. Biocca, F., "The cyborg's dilemma! Progressive embodiment in virtual environment,"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vol. 3, no. 2, 1997.
  8. Lee.K.M., Presence, explicated. Communication Theory, vol. 14, no. 1, pp. 27-50, 2004. https://doi.org/10.1093/ct/14.1.27
  9. 김태용, "텔레프레즌스 경험 확률에 영향을 미치는 수용자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17권, 제2호, 111-142쪽, 2003년 6월
  10. 김상일, "전시.공연 VR 콘텐츠에서 360도 VR 카메라의 위치와 높이 차이에 따른 사용자 프레즌스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방송공학회 논문지, 제26권, 제5호, 508-511쪽, 2021년 9월
  11. 한광석, 최준혁, "증강현실 광고의 프레즌스(Presence)와 플로우(Flow)가 광고 태도와 회상에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8권, 제8호, 29-35쪽, 2020년 1월 https://doi.org/10.14400/JDC.2020.18.8.029
  12. 공예, 조영, 최미연, 심성욱, "옥외 2D광고와 옥외3D광고의 광고 효과 비교연구: 옥외 3D광고의상호작용성, 프레즌스, 플로우를 중심으로," OOH광고학연구, 제20권, 제3호, 41-65쪽, 2023년 8월
  13. 박덕춘, "4DX 스크린 3D 영화 상영포맷이 관객의 프레즌스와 흥미유발에 미치는 영향-영화 '아바타2'를 중심으로,"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제26권, 제2호, 326-332쪽, 2023년 2월
  14. 김영하, "가상현실 관광콘텐츠 사용자의 프레즌스경험 및 프레즌스 효과에 관한 연구," 관광레저연구, 제32권, 제7호, 217-231쪽, 2020년 7월 https://doi.org/10.31336/JTLR.2020.7.32.7.217
  15. 조민정, 유홍식, "유튜브 정치 동영상 채널 이용자의 지속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한연구: 정서적 각성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학연구, 제30권 제1호, pp.147-171, 2022년2월 https://doi.org/10.23875/kca.30.1.6
  16. 손청, 윤지환, "박물관의 증강현실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체험이 실존적 진정성, 정서적 각성, 관광만족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저널, 제37권, 제7호, 31-47쪽, 2023년 9월
  17. 김형룡, "스크린골프 참여자의 프레즌스와 플로우경험, 행동의도와의 관계," 골프연구, 제16권, 제3 호, 93-104쪽, 2022년 9월 https://doi.org/10.34283/ksgs.2022.16.3.7
  18. 최의열, 김화룡, "가상현실 스포츠 수업의 프레즌스 경험이 감정반응과 스포츠 태도 및 스포츠활동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제27권, 제3호, 87-100쪽, 2022년 6월 https://doi.org/10.31308/KSSM.27.3.87
  19. Kim.T. & F. Biocca, "Telepresence via television: Two dimensions of telepresence may have different connections to memory and persuasion,"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Vol. 3, No. 2, pp. 156-180, 1997.
  20. 소요환, 가상현실 디바이스의 해상도가 수용자 프레즌스 경험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제19권, 제7호, 392-401쪽, 2019년 7월
  21. 윤형열, "온라인 플랫폼 뮤지컬 관람 방식의 추천의도 및 재관람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만족 요인: 뮤지컬 관여도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제15권, 제8호, 131-143쪽, 2021년 12월 https://doi.org/10.21184/jkeia.2021.12.15.8.131
  22. 엄용환, "크론바흐 알파 신뢰계수에 대한 유의성검증에서 이상치가 검정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컴퓨터정보학회 논문지, vol. 28, no. 5, pp. 179-187, 2023년 5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