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assumptions that people expect from schools

대중이 기대하는 학교의 역할 -팬데믹 시기의 언론 보도를 중심으로-

  • 허신혜 (한남대학교 역사교육과)
  • Received : 2023.10.15
  • Accepted : 2023.11.10
  • Published : 2024.01.31

Abstract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discourse on the role of schools and to explore its implications. To this end, major daily newspaper articles during the pandemic, in which discourse on the role of schools increased rapidly, were reviewed. As a result, people made the following assumptions about the role of schools. First, schools are institutions that must provide equal learning. Second, schools are institutions that must provide caring education. These findings have led to renewed essential questions about the role of schools. It is also necessary to further subdivide and discuss the role of the school raised in the discourse.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ed that all of these roles have the potential to bring about a structure that makes each teacher lean on passion and sacrifice without distinction between the role of the school and the role of the teacher.

이 연구는 학교의 역할에 대한 대중 담론의 주요 성격을 밝히고, 이것의 시사점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학교의 역할에 대한 담론이 급증하였던 팬데믹 시기의 주요 일간지 사설을 검토하여 대중 담론의 주요 유형과 특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중들은 학교의 역할에 대해 다음과 같은 가정을 하고 있었다. 첫째, 학교는 균등한 학습을 제공해야 하는 곳이다. 학교는 모든 학생들의 교육 격차를 해소해야 하며 질적으로 균등한 학습을 제공할 수 있는 곳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학교는 돌봄을 제공해야 하는 곳이다. 학교의 역할이 비단 교육하는 것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정서적‧신체적으로 건강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돌보는 역할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학교의 역할이 무엇인지에 대한 본질적인 질문을 다시 할 필요가 있음을 상기시킨다. 또한 대중 담론에서 제기하는 학교의 역할을 누가, 그리고 어떻게 맡아야 하는 것인지에 대해 보다 세분화하고 구체화하여 논의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학교의 역할과 교사의 역할이 구분되지 않은 채, 이 모든 역할이 교사 개개인의 열정과 희생에 기대게 만드는 구조를 낳을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Keywords

References

  1. Jae Cheon Choi, Jang Ha-joon, Choi Jae-bung, Hong Ki-bin, Kim Nuri and Kim Kyung-il, Corona Sapiens, Influential, pp. 5 -61, 2020 
  2. Eunsoon Cho, "Untact Classes in Post Covid-19: The Roles and Challenges of Educational Technology",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Vol. 36, No, 3, pp. 693-713, 2020. DOI: http://dx.doi.org/10.17232/KSET.36.3.693 
  3. Hyeji Kil, Anna Shin, "Exploring the Contents of Digital Competency Education-Focusing on Keyword Network Analysis on Educational Programs and Expert Opinions",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 (JKE), Vol. 48, No. 2, pp. 47-73, 2021. DOI:http://10.22804/jke.2021.48.2.003 
  4. JinAa Bae, Ara Ko, Jungwon Cho, "Direction of Education for Developing Digital Competency: Analyzing of Digital Competency Enhancement Education Projects", The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Vol. 25, No. 1, pp. 241-244, 2021. 
  5. Shin Soo-bum, "Strategies for Digital Teaching Practicum to Strengthen the Competency of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Practice Research, Vol. 3, No. 1, pp. 1-9, 2021. DOI: https://doi.org/10.35733//tpr.2021.3.1.1 
  6. Heyoung Kim, "The Future Direction and Challenges of English Education in the Post-COVID-19 Era, English Teaching, Vol. 76, Supplement 1, Autumb, pp. 87-105, 2021, DOI: https://doi.org/10.158 /engtea.76s1.202109.87  https://doi.org/10.158/engtea.76s1.202109.87
  7. Shinhye Heo, "Discourse of Korean Newspaper Artticles about Digital Education"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JCCT), Vol. 9, No. 1, pp, 799-805, 2023. DOI: https://doi.org/10.17703/JCCT.2023.9.1.799 
  8. The Kyunghyang Shinmun, 19th May, 2020. Available from https://www.bigkinds.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