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zing Trends in Early Childhood Evaluation Research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영유아교육기관 평가 연구동향 분석

  • 홍성희 (동의대학교 보육.가정상담학과) ;
  • 이경화 (부경대학교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23.12.27
  • Accepted : 2023.01.18
  • Published : 2024.01.31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rends in institutional evaluation research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rough keyword network analysis. This aims to understand trends in academic discourse on institutional evaluation and gain implications for follow-up research and related policy directions. Methods: A total of 6,629 keywords were extracted from 572 dissertations and journal articles published from January 2006 to October 2023 for the purpose of analyzing and visualizing the frequency and centrality of keywords, as well as the structural properties of keyword networks. The analysis and visualization were conducted using the TEXTOM, UCINET6, and NetDraw programs. Results: First, the number of institutional evaluation studies increased steadily from 2006 to 2010 and then decreased, with a higher frequency of studies on daycare centers compared to kindergartens. Second, the most frequently occurring keyword in the analysis was 'daycare center,' and the highest connection strength was found in the term 'daycare-center-evaluation.' Third, network analysis revealed that key terms for institutional evaluation research included 'evaluation certification,' 'recognition,' 'evaluation indicators,' 'teacher,' 'daycare center,' and 'kindergarten.' In the ego network analysis for each institution, 'parent' emerged as a highly ranked keyword.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confirmed the perspectives of previous studies by revealing the structure of core concep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evaluation research, and provided implications for follow-up and direction of institution evaluation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3학년도 동의대학교 교내연구비에 의해 연구되었음(202301240001)

References

  1. 강성희, 제경숙, 김병만 (2019). IPA 기법을 활용한 어린이집 평가인증 3차 통합지표의 중요 및 실행도 분석. 아동교육, 28(4), 55-78. https://doi.org/10.17643/KJCE.2019.28.4.04
  2. 강수경 (2010). 유치원 평가의 과정과 지표에 대한 교사와 평가위원의 인식.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 강영철, 이철주 (2020). 어린이집 평가제도와 보육서비스 질 간의 비정합성에 대한 연구. 한국비교정부학보, 24(1), 135-156. https://doi.org/10.18397/kcgr.2020.24.1.135
  4. 강정은, 김정준 (2021). 2019 개정 누리과정 실행의 변화와 어려움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어린이미디어연구, 20(1), 101-131. https://doi.org/10.21183/kjcm.2021.03.20.1.101
  5. 강해지 (2009). 평가인증 보육시설의 학부모 만족도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교육부, 보건복지부 (2019a). 2019 개정 누리과정 해설서. 교육부.보건복지부.
  7. 교육부, 보건복지부 (2019b). 2019 개정 누리과정 놀이실행자료. 교육부.보건복지부
  8. 국지윤, 양시내, 김영옥 (2014). 어린이집 평가인증 연구의 동향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8(5), 199-224.
  9. 권정순 (2007). 보육시설 평가인증의 효과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김경철, 김안나 (2008). 국가수준 유치원 평가에 대한 교사와 원장이 느끼는 혜택과 어려움. 열린유아교육연구, 13(6), 41-67.
  11. 김규수, 오경숙, 한유미 (2010). 사립유치원 원장의 유치원 평가지표의 중요성 인식과 이해도 및 개선의지. 열린유아교육연구, 15(2).
  12. 김남희 (2010). 유치원 교육과정, 아이와 교사를 힘들게 하는 교육평가의 구조적 문제는 무엇인가?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13. 김복자 (2012). 보육시설 평가인증제에 대한 종사자와 학부모의 인식비교 연구 : 전라북도 보육시설 중심으로. 호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김복희 (2010). 보육시설 평가인증제도의 효과에 관한 연구 : 보육시설의 시설장과 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김선혜 (2010). 보육시설 평가인증에 대한 거제시 학부모의 인식 및 만족도 연구. 경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김세란, 구수연 (2009). 평가인증 준비 과정에서 교사들이 경험하는 어려움. 아동보육연구, 5(2), 87-102.
  17. 김수현 (2022). 제5주기 유치원평가계획 17개 시도교육청 비교연구. 가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김신영 (2007). 보육시설 평가인증제에 관한 학부모의 인식조사. 가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김연미 (2011). 가정보육시설 평가인증지표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현행 평가지표에 관한 보육교사와 학부모의 인식과 요구. 덕성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김영희 (2011). 어린이집 평가제에 대한 가정어린이집 보육교직원의 인식. 광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김용인 (2008). 보육시설 평가인증제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및 보육서비스 만족도 연구. 총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김윤지, 정영혜 (2019), 어린이집 평가인증 참여 어린이집의 질적 수준 분석-2차 시행 결과를 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 115, 53-81. https://doi.org/10.37918/kce.2019.03.115.53
  23. 김정원, 김유정 (2008). 보육시설 평가인증제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 대한가정학회지, 46(10), 23-36.
  24. 김향은 (2008). 평가인증에 참여한 보육시설 종사자들의 경험을 통해 본 보육시설 평가인증제도의 효과. 아동학회지, 29(1), 169-188.
  25. 김희진, 박재진 (2018). 영유아교육 보육기관 통합평가지표의 물리적 환경 평가에 대한 분석: 미국과 호주의 평가 지표와 비교.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2(4), 61-87. https://doi.org/10.22590/ecee.2018.22.4.61
  26. 김희진, 한영미 (2022). 영유아교육기관 건강.영양.안전 평가 지표 비교 연구: 한국, 미국, 호주를 중심으로. 교육과학연구, 53(3), 327-354.
  27. 문인선, 홍성희 (2023). IPA기법을 활용한 어린이집 평가제 평가지표의 중요도와 실행도 분석.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9(5), 65-79. https://doi.org/10.14698/JKCCE.2023.19.05.065
  28. 박복매, 문혁준 (2006). 보육시설 평가 인증제도에 관한 시설장의 인식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6, 44(8), 1-11.
  29. 박은숙 (2010). 보육시설 종사자와 학부모의 보육서비스 인식 차이 비교 -평가인증지표를 중심으로- . 교육연구논총, 31(1), 1-22. https://doi.org/10.18612/CNUJES.2010.31.1.1
  30. 박태준 (2012). 보육시설 종사자들이 인식하는 평가인증제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호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1. 보건복지부, 한국보육진흥원 (2022). 2022 어린이집 평가 매뉴얼. 한국보육진흥원.
  32. 서문희, 김은영, 송신영 (2009a). 보육교사의 인식을 통해 본 평가인증의 효과. 육아정책연구, 3(2), 1-22.
  33. 서문희, 신희연, 송신영 (2009b). 보육시설 평가인증 효과 분석 - 사전.사후 관찰평가 비교 -(연구보고서 2009-10). 육아정책연구소.
  34. 송미리내, 유구종, 이건우 (2022). 어린이집 평가제 평가지표에 근거한 보육서비스 품질향상을 위한 상호작용 기록화 컨설팅 방안 및 적용. 어린이 문학교육연구, 23(4), 175-204. https://doi.org/10.22154/jcle.23.4.8
  35. 송연숙, 유수경 (2008). 국가수준의 유치원 평가를 위한 조력활동에 대한 유치원 교원의 인식 및 요구도. 열린유아교육연구, 13(6), 19-40.
  36. 심미연 (2011). 보육시설 평가인증의 그늘.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37. 심은주, 이경화 (2010). 국가수준 유치원평가의 내용 적합성에 대한 교사의 인식. 열린유아교육연구, 15(6). 25-47.
  38. 안소영 (2016). 평가인증 운영과정에서 국공립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수행 시간과 심리적 어려움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2(1), 203-223. https://doi.org/10.14698/JKCCE.2016.12.203
  39. 염지숙, 고영미 (2014). 유아교육.보육 서비스 질 향상을 위한 평가제도의 통합방안. 유아교육연구, 34(3), 455-479. https://doi.org/10.18023/KJECE.2014.34.3.021
  40. 유주연, 장민영, 한영미 (2022). 제5주기 유치원 평가의 교사-유아 상호작용 관련 지표 분석. 육아지원연구, 17(1), 69-94. http://doi.org/10.16978/ecec.2022.17.1.003
  41. 유주연, 한영미 (2022). 영유아교육기관 교육.보육과정 평가에 대한 OECD 국가별 분석. 교육과학연구, 53(1), 1-24. https://doi.org/10.15854/jes.2022.03.53.1.1
  42. 윤선영 (2019). 내부평가를 지원하는 외부평가 - 독일 베를린 보육시설 평가를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39(6), 227-246. https://doi.org/10.18023/kjece.2019.39.6.010
  43. 이경미, 이소은 (2016). 유치원평가 참여에 따른 교사효능감, 전문성 발달과 소진. 아동과 권리, 20(4), 691-714. https://doi.org/10.21459/kccr.2016.20.4.691
  44. 이경화 (2014). 국가수준 영.유아교육기관평가의 평가지표에 대한 비판적 탐색. 한국교육, 41(2), 107-137. https://doi.org/10.22804/JKE.2014.41.2.005
  45. 이경화 (2017). 현 정부의 육아정책에 대한 비판적 고찰 : 공공성에서 공동선으로의 전환. 생태유아교육연구, 16(1), 237-256.
  46. 이경화 (2018). 영유아교육기관 평가의 현실과 개선 방향 탐색. 생태유아교육연구, 17(1), 49-73. https://doi.org/10.30761/ecoece.2018.17.1.49
  47. 이경화 (2023). 영유아 자녀를 둔 학부모의 아비투스에 관한 소고 - 살아남기와 살아가기. 생태유아교육연구, 22(4), 1-24. https://doi.org/10.30761/ecoece.2023.22.4.1
  48. 이경화, 김미정, 홍성희 (2009). 직장보육시설 종사자의 보육시설 평가인증지표에 대한 인식. 열린유아교육연구, 14(4), 433-456.
  49. 이경화, 이황순 (2023). 표준보육과정과 어린이집 평가제의 간극에 대한 비판적 고찰. 교육혁신연구, 33(1), 245-262. https://doi.org/10.21024/PNUEDI.33.1.202303.245
  50. 이기숙, 강수경 (2012). 유아교육기관 평가. 창지사.
  51. 이대균, 백경순 (2007). 유아교육기관 기관평가 관련 논문의 연구동향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1(3), 293-309.
  52. 이미정 (2010). 보육시설 평가인증지표의 적합성과 실현성에 대한 영아전담 보육시설 종사자의 인식.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3. 이수상 (2021). 네트워크 분석방법의 활용과 한계. 청람.
  54. 이순임 (2014). 3차 어린이집 평가인증 통합지표 및 참여과정에 대한 보육교직원의 인식. 강릉원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5. 이순임, 김은심 (2019). 3차 어린이집 평가인증 통합지표의 평가지표 및 운영체계 개선에 대한 원장과 보육교사의 인식. 어린이문학교육연구, 20(3), 75-108. https://doi.org/10.22154/JCLE.20.3.4
  56. 이연승, 강혜정 (2020). 어린이집 평가인증 통합지표와 운영체계에 대한 보육교직원의 인식. 한국유아교육연구, 22(3), 76-98. https://doi.org/10.15409/riece.2020.22.3.4
  57. 이옥, 유희정, 이미화, 김온기, 이원선 (2008). 보육시설 평가인증사업의 성과(2003-2008)(연구보고서 2008-12). 육아정책개발센터.
  58. 이옥례 (2011). 보육시설 평가인증 결과 공유 및 활용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9. 이윤아, 곽승주, 강유선 (2018). 유아교육기관 평가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2007-2017년 국내 학위논문 및 학술지를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연구, 20(3), 109-132. https://doi.org/10.15409/riece.2018.20.3.5
  60. 이정미 (2011). 보육시설 학부모의 평가인증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 광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1. 이희영 (2021). 유치원 평가제에 대한 공립유치원교사의 인식과 교사효능감 및 유치원 개발문화의 관계. 가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2. 임명희 (2014). 유아교육기관 평가체계의 통합화 방안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14(2), 83-102.
  63. 임정은, 정연미 (2021). 어린이집 평가제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과 전문성에 관한 연구.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 논문지, 16(1), 207-221. https://doi.org/10.34163/jkits.2021.16.1.020
  64. 장윤주 (2008). 보육시설 평가인증 여부에 따른 부모들의 인식, 선호성향 및 만족도. 상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5. 장혜진 (2020). 한국과 호주의 유아교육기관 평가지표 비교: 건강과 안전 영역을 중심으로. 현대사회와 다문화, 10(3), 131-157. https://doi.org/10.35281/cms.2020.08.10.3.131
  66. 정동문 (2019). 호주의 아동 보육.교육 서비스 평가제도 고찰.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7. 정선아, 안소영, 박보영 (2023). 보육서비스의 질 제고를 위한 어린이집 평가제의 방향 탐색: 구조에서 과정 중심으로 패러다임 전환. 영유아교육과정연구, 13(3), 27-51. https://doi.org/10.26834/ksycbc.2023.13.3.27
  68. 정영희 (2009). 보육시설 평가인증제에 관한 부모의 인식 연구.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13(4), 311-332.
  69. 정진희, 이대균 (2017). 어린이집 평가인증 3차 지표 실행에 따른 교사의 성장과정 -보육활동과 상호작용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22(5), 131-161. https://doi.org/10.20437/KOAECE22-5-06
  70. 정찬우, 김언주, 민현숙 (2008). 보육시설 평가인증제의 효과에 관한 연구-대전지역 9개 인증 보육시설(21인 이상)을 대상으로-. 아동교육, 17(1), 269-279.
  71. 진은영, 이경화 (2020). 보육교사들이 이야기하는 어린이집 평가의 어려움: 질적 메타분석. 교육혁신연구, 30(1), 261-287. https://doi.org/10.18023/KJECE.2012.32.6.004
  72. 채혜선, 현정희 (2008). 보육시설 평가인증 참여유무에 따른 보육교사의 자기평가 전문성 발달수준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52, 63-84.
  73. 최미숙, 이미혜, 이민경 (2007). 보육시설 평가인증제 실시가 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과 역할수행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49, 129-149.
  74. 최윤이 (2015). 유치원 평가지표에 관한 학부모 인식과 유치원 선택의 관계 : D지역 공.사립 유치원을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5. 최은영, 신은경 (2015). 유치원과 어린이집 평가(인증)에 대한 부모의 인식. 아동교육, 24(2), 281-296.
  76. 최혜윤 (2020). 한국, 호주, 핀란드, 뉴질랜드 4개국의 유치원 평가 비교: 교육과정과 상호작용 영역을 중심으로.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7(4), 255-278.
  77. 탁옥경, 배지희 (2007). 보육시설 평가인증 과정에 참여한 원장과 교사의 인식. 유아교육연구, 27(4), 327-354. https://doi.org/10.18023/KJECE.2007.27.4.014
  78. 탁옥경, 배지희 (2009). 보육시설 평가인증 참여과정에서 나타나는 어린이집의 변화 과정 탐색. 유아교육연구, 29(4), 257-280. https://doi.org/10.18023/KJECE.2009.29.4.012
  79. 하경혜 (2013). 어린이집 학부모의 평가인증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 강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0. 한국보육진흥원 (2023. 11). 어린이집 평가 현황. https://www.kcpi.or.kr/kcpi/cyberpr/childcarestat2.do에서 2023년 12월 20일 인출
  81. 한유진, 우수경 (2023).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영유아 관찰 관련 연구 동향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15), 793-813. https://doi.org/10.22251/jlcci.2023.23.15.793.
  82. 한지현, 한영숙 (2020). 어린이집 평가제의 평가지표에 대한 보육교사의 요구도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24(2), 105-127. https://doi.org/10.32349/ECERR.2020.4.24.2.105
  83. 홍성희, 조은래 (2017). 유아교사의 유아교육기관 평가에 대한 은유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 17(11), 687-705. http://dx.doi.org/10.22251/jlcci.2017.17.11.687
  84. 황미혜 (2010). 유치원 평가에 대한 공립 유치원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비교 연구.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5. 황자순 (2014). 책무성 관점에서 본 유치원 평가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및 요구도.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6. 황해익, 김남희, 정혜영 (2013). 어린이집 평가인증제의 현안 및 발전방안.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6), 461-490. https://doi.org/10.14698/JKCCE.2013.9.6.461
  87. 황해익, 최혜진, 오경녀 (2009). 유치원 원장(원감) 및 교사의 국가수준 유치원 평가에 대한 인식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3(2), 193-216.
  88. Gonzalez, N., Moll, L., & Amanti, C. (2005). Funds of Knowledge: Theorising Practices in Households, Communities, and Classrooms. Lawrence Erlbaum Associa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