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고영숙, 김숙령 (2021).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현을 위한 보육교사의 '교사협의'경험 및 반성적 사고와 실천변화. 코칭연구, 14(2), 195-213.
- 곽현주 (2004). 수업반성과정과 유치원 교사의 교수행동.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교육부 (2017). 공공성 강화를 통한 유아교육 혁신 방안. 교육부. https://www.moe.go.kr/boardCnts/viewRenew.do?boardID=294&lev=0&statusYN=C&s=moe&m=020402&opType=N&boardSeq=72951에서 2023년 6월 30일 인출
- 교육부 (2020. 11). 인공지능시대 교육정책방향과 핵심과제(정책보고서). https://www.korea.kr/archive/expDocView.do?docId=39237에서 2023년 2월 1일 인출
- 교육부 (2021a). 유치원 교사의 디지털 역량 강화 연수 자료. 교육부.
- 교육부 (2021b). 2021년 교육정보화 시행계획. 교육부. https://www.moe.go.kr/boardCnts/viewRenew.do?boardID=72752&lev=0&statusYN=W&s=moe&m=010611&opType=N&boardSeq=89158에서 2022년 2월 17일 인출
- 교육부 (2022. 8). 디지털 시대의 주인공이 될 100만 인재를 양성합니다. https://www.moe.go.kr/boardCnts/viewRenew.do?boardID=294&lev=0&statusYN=W&s=moe&m=020402&opType=N&boardSeq=92346에서 2022년 10월 1일 인출.
- 권숙진 (2021). 유아교육에서 텐저블 미디어를 활용한 디지털 놀이 개념 탐색 연구: 컴퓨팅 사고력 향상을 중심으로. 교육종합연구, 19(1), 1-15. https://doi.org/10.31352/JER.19.1.1
- 권은정, 손원경 (2023). 유아교사의 놀이민감성, 교육과정 운영 자율성 및 반성적 사고와 유아의놀이몰입 간 구조 관계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28(2), 239-261. https://doi.org/10.20437/KOAECE28-2-10
- 김경철, 오아름 (2021). 증강현실(AR) 기반 교육용 놀이 콘텐츠를 활용한 유아의 상상적 내러티브탐색. 어린이미디어연구, 20(1), 169-195. https://doi.org/10.21183/kjcm.2021.03.20.1.169
- 김교령 (2022). 유아교사의 디지털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김순환, 오현주 (2019). 유아의 놀이를 통한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실행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9), 55-83. https://dx.doi.org/10.22251/jlcci.2019.19.9.1267
- 김아미 (2020). 교원 및 예비교원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역량 강화 방안 연구(정책연구-2020-01-인재양성사업팀). 한국연구재단.
- 김윤지, 김명순 (2023). 어린이집 조직혁신성, 영유아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테크노스트레스와 교사효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9(1), 1-21. https://doi.org/10.14698/jkcce.2023.19.01.001
- 김윤희, 황해익 (2015). 누리과정 이해와 실행에서 나타난 공립유치원 교사의 실천적 지식 탐색. 유아교육학논집, 19(4), 339-364.
- 김진미 (2017). 전문적 학습환경, 반성적 사고, 교사 효능감, 유치원 교사 전문성 간의 구조적 관계분석.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김하종 (2015). 유치원 교사의 수업전문성 관련 변인간의 구조 분석.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김혜정, 서희전 (2020). 유아교육을 위한 메이커스페이스 핵심 설계원리 탐구: PTD와 어포던스를중심으로. 어린이미디어연구, 19(1), 203-230. https://doi.org/10.21183/KJCM.2020.03.19.1.203
- 김혜정, 이영신 (2022). 휴머노이드 소셜 로봇 기반 교구개발 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테크놀로지교과교육학지식과 컴퓨팅 사고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144-150.
- 노희련 (2022). 보육교사의 반성적 사고가 놀이지원역량과 교수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창원대학교석사학위논문.
- 동풀잎, 전하윤 (2021). 유아와 교사의 자유로운 소통 공간으로서의 디지털 아바타 만들기. 어린이미디어연구, 20(1), 75-99. https://doi.org/10.21183/kjcm.2021.03.20.1.75
- 박은혜 (2003). 유아교사론. 창지사.
- 박주연, 박남수, 서희전 (2022). 미래교육을 위한 유아교사의 디지털 역량 탐색. 어린이미디어연구, 21(2), 327-360. https://doi.org/10.21183/kjcm.2022.06.21.2.327
- 박주연, 서희전, 박남수 (2023). 유아교사의 디지털 역량에 대한 중요도-실행도 및 요구 분석. 어린이미디어연구, 22(1), 213-244. https://doi.org/10.21183/kjcm.2023.03.22.1.213
- 박지영 (2022). 유아교사의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천역량 관련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 교사놀이성, 놀이교수효능감, 교수 창의성을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백은영 (2022). 유아교사의 놀이성과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 역량의 관계에서 창의적 인성의 매개효과. 어린이미디어연구, 21(4), 253-271. https://doi.org/10.21183/kjcm.2022.12.21.4.253
- 봉현주, 김민정 (2023). 어린이집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과 교사의 놀이지원 역량의 관계에서 교사전문성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13), 33-47. https://doi.org/10.22251/jlcci.2023.23.13.33
- 서은영 (2019). 어린이집 유아반 교사의 효능감, 반성적 사고가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석사학위논문.
- 손귀옥 (2022). 유아교사의 놀이실행역량 관련 변인 분석: 놀이성, 놀이신념, 놀이교수효능감의관계를 중심으로. 동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안혜령, 이보람, 조우미 (2023). 유아보육.교육기관의 교사 전문성 지원 환경이 유아교사의 인공지능기술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스마트.디지털 기기 활용 경험에 의해 조절된 과학교수태도의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9(2), 61-85. https://doi.org/10.14698/jkcce.2023.19.02.061
- 엄문영 (2020). 현장 기반 유치원 교사 직무역량 분석 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37(1), 441-463. https://doi.org/10.24211/tjkte.2020.37.1.441
- 유민아, 황혜신 (2023).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유아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1), 201-219. https://doi.org/10.22251/jlcci.2023.23.1.201
- 유수정 (2021). 유아교사의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 역량 척도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부경대학교석사학위논문.
- 유수정, 이경화 (2021). 유아교사용 놀이중심교육과정 실행 역량 척도의 구성요인 타당화.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22). 445-462. https://doi.org/10.22251/jlcci.2021.21.22.445
- 유승연 (2020). 2019 개정 누리과정에 기초한 유아의 놀이 실행과정 및 교사의 놀이 지원에 관한연구. 유아교육학논집, 24(6), 75-100. https://doi.org/10.32349/ECERR.2020.12.24.6.75
- 유신영 (2005). 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반성적 수업 분석 모형 개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윤민아, 한유진, 김호 (2021). 디지털 활용 교육 경험을 통한 유치원 교사의 디지털 역량 탐색. 열린유아교육연구, 26(4), 53-86. https://doi.org/10.20437/KOAECE26-4-03
- 윤성례 (2017). 대학 교양교육으로서 디지털 시민교육(digital citizenship education)의 필요성과 방향. 교양교육연구, 11(3), 35-62.
- 이경화, 이소현 (2023). 영유아교사가 지각한 반성적 사고와 놀이지원 역량 및 놀이중심교육과정실천역량 간 관계. 아동교육, 32(1), 135-149. https://doi.org/10.17643/KJCE.2023.32.1.06
- 이순복 (2021). 놀이중심 유아교육과정의 계획, 실행, 평가의 내용과 과제에 대한 탐색. 아동교육, 30(1), 139-155. https://doi.org/10.17643/KJCE.2021.30.1.07
- 이순복, 정아름 (2022). 유아교사의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척도 개발을 위한 델파이 연구. 어린이미디어연구, 21(1), 279-304. https://doi.org/10.21183/kjcm.2022.3.21.1.279
- 이영주 (2021). 영유아교사의 놀이중심교육과정 실천역량 자기평가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이완정, 최진아 (2021). 원장의 코칭 리더십이 교사의 놀이실행역량에 미치는 영향: 교사의 반성적사고와 창의적 역할수행의 매개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7(2), 89-101. https://doi.org/10.14698/jkcce.2021.17.02.089
- 이재은, 변영신, 전우용 (2022). AI교육 누리과정과 만나다. 공동체.
- 이지은 (2022). 유아교사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실태 및 요구 조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임부연 (2020). 「2019개정누리과정」에서 놀이와 교육내용의 연계성 탐구. 어린이교육비평, 10(2), 5-32.
- 장다영, 이경화 (2023). 유아교사의 놀이중심교육과정 실행역량과 유아교육기관 조직창의성의 관계. 수산해양교육연구, 35(5), 864-874. https://doi.org/10.13000/JFMSE.2023.10.35.5.864
- 장재홍, 신원석, 고유정 (2020). 교사의 AR.VR 테크놀로지 활용 수업 인식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분석및 영향변인 탐색.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6(2), 367-393. https://doi.org/10.15833/KAFEIAM.26.2.367
- 조운주 (2023). 인공지능 시대, 놀이중심교육과정 실천을 위한 영유아교사의 역량.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37-50
- 채영란 (2022). 영아교사의 보육효능감과 교사-영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반성적 사고의 매개효과. 인문사회21, 13(1), 2899-2912. https://doi.org/10.22143/HSS21.13.1.205
- 최미애 (2020).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진정성 리더십과 교사의 반성적 사고 및 전문성의 구조적관계. 안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하정빈, 유구종 (2022). 공립유치원 초임교사의 놀이중심교육과정 실행 역량 강화를 위한 멘토링방안 및 적용 효과.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109-115.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9). 2019 KERIS 이슈리포트: 개발도상국 교원 ICT 역량 강화 연수 과정 분석 및 개선 방안. 한국교육학술정보원.
- 한유진 (2022). 디지털 시대의 유아를 위한 미래교육. 교육과학사.
- NPJ데이터분석연구소 (2021). SPSS와 PROCESS MACRO를 활용한 논문작성법. 좋은땅.
- Albirini, A. (2006). Teachers' attitudes towar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The case of Syrian EFL teachers. Computers and Education, 47(4), 373-398. https://doi.org/10.1016/j.compedu.2004.10.013
- Baylor, A. L., & Ritchie, D. (2002). What factors facilitate teacher skill, teacher morale, and perceived student learning in technology-using classrooms? Computers and Education, 39(4), 395-414. https://doi.org/10.1016/S0360-1315(02)00075-1
- Howell, J., & McMaster, N. (2022). Teaching with technologies : Pedagogies for collaboration, communication, and creativity(2nd Edition). Oxford University Press.
- Larke, L. (2019). Agentic neglect: Teachers as gatekeepers of England's national computing curriculum.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50(3), 1137-1150. https://doi.org/10.1111/bjet.12744
- OECD (n.d.). OECD future of education and skills Education 2030 : OECD learning compass 2030. Retrieved August 3, 2023 from https://www.oecd.org/education/2030-project/
- Pollard, A., & Tann, S. (1993). Reflective teaching in the primary school. Open University Press.
- Redecker, C. (2017). European framework for the digital competence of educators (DigCompEdu). European Commission. Retrieved January 25, 2023 from https://joint-research-centre.ec.europa.eu/digcompedu_en
- van Deursen, A. J. A. M., & van Diepen, S. (2013). Information and strategic Internet skills of secondary students: A performance test. Computers & Education, 63(1), 218-226. https://doi.org/10.1016/j.compedu.2012.12.007
- Wood, E., & N. Bennett, N. (2000). Changing theories, changing practice: exploring early childhood teachers' professional learning.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16(5-6), 635-647. https://doi.org/10.1016/S0742-051X(00)000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