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conomic Feasibility Analysis Study to Build a Plant-based Alternative Meat Industrialization Center

식물성 기반 대체육 산업화센터 구축을 위한 경제적 타당성 분석

  • Yong Kwang Shin (Department of Agriculture and Fisheries Convergenc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griculture and Fisheries) ;
  • So Young Lee (Department of Agriculture and Fisheries Convergenc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griculture and Fisheries) ;
  • Jae Chang Joo (Department of Agriculture and Fisheries Convergenc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griculture and Fisheries)
  • 신용광 (국립한국농수산대학 농수산융합학부) ;
  • 이소영 (국립한국농수산대학 농수산비즈니스학과) ;
  • 주재창 (국립한국농수산대학 농수산비즈니스학과)
  • Received : 2023.11.24
  • Accepted : 2023.12.27
  • Published : 2024.01.20

Abstract

Recently, the alternative meat (food) market is growing rapidly due to the increase in meat consumption due to global population growth and income improvement, as well as issues such as equal welfare, carbon neutrality, and sustainability. The government is also developing a green bio convergence new industry development plan to foster alternative foods, but there are difficulties in commercialization due to the lack of technology and insufficient production facilities among domestic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o it is necessary to build joint utilization facilities and equipment to resolve the difficulties faced by companies. am. In additio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are having difficulty developing and commercializing plant-based meat substitutes due to a lack of technical skills, and related equipment is expensive, making it difficult to build equipment on their own. Accordingly, Jeollabuk-do is pursuing a strategy to secure the source technology for development, processing, and industrialization of plant-based substitute meat at the level of developed countries by establishing a plant-based alternative meat industrialization center. In this study, an economic feasibility analysis study was conducted when a plant-based alternative meat industrialization center is built in Jeollabuk-do. As a result of the analysis, B/C=1.32, NPV=374 million won, and IRR=4.8%, showing that there is economic feasibility in establishing an alternative meat industrialization center.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gional economic ripple effect resulting from the establishment of an industrialization center, if 38 billion won is invested in Jeollabuk-do, the nationwide production inducement effect is 74 billion won, the added value inducement effect is 29.8 billion won, and the employment inducement effect is 672 people

최근 글로벌 인구 증가,소득 향상에 따른 육류 소비증가 및 동불복지, 탄소중립, 지속 가능성 등에 대한 이슈로 대체육(식품) 시장이 급성장 하고 있다. 정부에서도 그린바이오융합형 신산업육성방안을 마련하여 대체식품을 육성하고 있으나, 국내 중소기업의 기술력 부족, 생산시설 미비 등으로 사업화에 어려움이 있어 기업의 애로사항 해결을 위한 공동활용 시설 장비 구축이 필요한 상황이다. 전라북도에서는 식물성 기반 대체육 산업화센터 설립을 통해 선진국 수준의 식물성 대체육 개발·가공 및 산업화 원천기술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을 추진 중에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라북도에 식물성 기반 대체육 산업화센터가 구축될 경우를 가정하여 식물성 기반 대체육 산업화센터의 경제적 타당성을 분석하였다. 먼저 식물성 대체육산업화센터 설립을 위한 기본구상을 검토하여 편익과 비용을 추정하고 다음으로 식물성 대체육 산업화센터 설립의 경제적 타당성을 분석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식물성 대체육 산업화센터의 지역경제 파급효과를 분석하였다. 먼저, 식물성 대체육 산업화센터는 전북바이오융합산업진흥원 내에 있는 식품분석센터(현재)를 1,000m2를 개보수하여 설립할 예정이며, 산업화센터 기반구축과 장비구축 그리고 사업화 R&D 및 운영비 등으로 100억원이 소요될 예정이다. 식물성 대체육 산업화센터는 총 5명의 신규인력을 채용하여 시설/장비를 구축하고 중장기적으로 사업을 지원할 계획이며 생산지원팀, 품질분석팀, 경영지원팀 등 총 3개의 팀으로 구성하는 것이 효율적이라 판단된다. 인력구성은 기존인력을 활용함과 동시에 신규 전문인력을 채용하여 전문성을 확보해야 하며, 경영지원, 품질분석 등 기관이 보유 및 가용한 인력을 활용하도록 설계하였다. 식물성 대체육 산업화센터 사업시행기간(2023년~2025년)에는 수익이 발생하지 않지만, 사업종료 이후 2026년부터는 장비활용수익, 기술이전수익, 교육수익, 기타수익이 매년 발생한다. 사업종료 이후 1년차인 2027년에는 장비활용수익(단독장비사용료, 품질분석), 기술이전수익, 교육수익, 기타수익으로 910,000천원이 발생하고 이후 장비활용수익, 기술이전수익, 교육수입이 꾸준히 증가하여 사업종료 후 5년차인 2030년에는 장비활용수익 1,350백만원, 기술 이전료(노하우, 기술) 360백만원, 기술교육수익 60백만원, 기타수익 400백만원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음으로 식물성 대체육 산업화센터 설립을 위한 기본구상을 기초로 사업의 경제적 타당성과 파급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B/C=1.32, NPV=374백만 원, IRR=4.8%로 나타나, 대체육산업화센터 구축에 따른 경제성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산업화 센터 구축에 따른 지역경제 파급효과를 분석한 결과, 전라북도에 380억 원이 투자될 경우 전국적인 생산유발효과가 740억 원, 부가가치유발효과가 298억 원, 취업유발효과가 672명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식물성 기반 대체육 산업화센터 설립에 따른 사업 타당성을 최초로 계측한 연구이지만, 현재에는 산업화센터가 설립되기 이전이기 때문에 산업화센터 설립에 따른 비용과 편익을 추정하여 분석하였다. 금후에는 산업화센터 설립에 대한 계획이 구체화 될 경우 보다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자료에 기초하여 대체육 산업화센터 설립 타당성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토교통부. 2020. 녹색건축물 조성 지원법. 국토교통부 법률 제17229호.
  2. 기획재정부. 2020. 2021년도 예산안 편성 및 기금운용 계획안 작성 세부지침.
  3. 산업통상자원부.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 촉진법 시행령. 2020. 대통령령 제31067호.
  4. 신용광, 박용수, 박진기, 여준모, 이현경, 석희진, 이상철, 김기현, 천현식, 신재형, 박희민, 김경민, 김아영, 정소영. 2017. 국가 동물바이오산업 지원 클러스터 기본계획 수립. 국립한국농수산대학교.
  5. 전북바이오융합산업진흥원. 2022. 식물성 기반 대체육산업화센터 기반구축 기획보고서.
  6. 지인배, 우병준, 송우진, 한재환, 김형진, 이용건. 2012. 구제역백신센터 건립 타당성 조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7. 한국개발연구원. 2012. 타당성 재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수정.보완 연구(제2판).
  8. 한국개발연구원 공공투자관리센터. 2021. 제로에너지건축물 공사비.운영비 및 신재생 에너지 설치 설치비 추정 방안.
  9. 한국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2021. 대체육 글로벌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