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the Possibility of Family Cooperatives to Promote Sports for the Disabled

  • Jung-Dong Kim (Dept. of Sports Scienc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Byung-Jun Cho (Dept. Emergency Rescu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Moon-Sook Lee (Dept. of Sports Scienc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23.12.07
  • 심사 : 2024.01.03
  • 발행 : 2024.01.31

초록

본 연구는 장애인 생활체육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 장애인 스포츠협동조합의 가능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 고찰과 장애인체육지도자 25명과 장애인 협동조합 운영자 20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법으로 조사하고 Excel과 SPSS V26 프로그램으로 분석한 결과를 자문위원회의 타당성 검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장애인스포츠지도자의 경제적 요인, 사회·환경적 요인, 제도적 요인에 현황과 장애인스포츠협동조합에 관한 인식과 장점, 발전 가능성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장애인스포츠협동조합은 명확한 계획, 지속적인 사업모델과 조합원의 단합과 운영자의 전문성이 중요하며, 장애인에 대해 잘 알고 있다면 장애인 스포츠협동조합을 통해 장애인스포츠 활성화는 가능할 것이다.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possibility of sports cooperatives for the disabled as a way to improve sports welfare and revitalize sports for the disabled. For this purpose, investigating the possibility as a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a survey of 25 sports instructors for the disabled and 20 operators of cooperatives for the disabled,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possibility with Excel and SPSS V26 programs were verified by the advisory committee to confirm the validity of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it found out the recognition, advantage, possibility of development about disabled sports cooperatives disabled sports, instructors' economic factors, social and environmental factors and institutional factors. Second, obvious planning, continuous business model, unity of members and professionalism of operators are important. If you know well about disabled, It will be possible to improve sports welfare and revitalize sports for the disabled through sports cooperatives for the disabled.

키워드

I. Introduction

인구의 노령화와 급격한 산업화에 따른 산업재해, 교통사고를 비롯한 각종 사고, 난치성 질환, 약물 남용, 환경문제 등 장애를 유발하는 요인의 다양화에 따라 장애 인구는 증가 경향이며, 장애인은 비장애인보다 복지 사각지대에 놓여 있고 경제, 보건‧의료, 사회적 측면에서 낮은 처우개선을 위해 장애인의 복지지원 상황 및 욕구에 대한 체계적인 장애인복지정책 수립 등이 필요한 상황이다[1].

우리나라 2022년 말 기준 등록장애인은 약 2,653,000명으로 전년 대비 8,000명 증가(전체인구 대비 5.2%)하였으며, 9세 이하는 32,304명, 10대 59,684명, 20대 97,342명으로 나타났다[2].

이러한 통계자료에서 나와 있듯이 부모의 손길이 필요한 유아부터 10대 이상 장애인은 일상생활에서 돌봄 지원욕구가 큰 집단이다. 장애 자녀를 양육하는 부모와 가족들은 장애를 발견하고 진단받는 과정에서 느끼는 절망을 경험하고, 양육과정에서 겪는 심리적, 신체적 어려움과 부담감, 경제적인 부담을 경험하고 있다[3].

이런 사회적 상황에서 2015년 SNS를 통해 형성된 경기도에 소재하고 있는 한 자조 모임 공동체 ‘마을 만들기’가 작은 지원과 어머니들의 출자로 협동조합형 발달장애아 공동양육을 시작하였다. 대부분 시간을 장애 자녀와 함께했던 어머니들이 같은 처지에 있는 어머니들과 함께 만나 공동체 활동과 자녀들을 위한 프로그램 운영으로 어머니들의 삶에 큰 긍정적인 변화를 일으켰다[4].

장애 자녀 돌봄 가족은 국가와 시장에서 담보하기 어려운 돌봄서비스와 근로, 더 나아가 자립 생활과 자기 계발 등의 비전을 실현하기 위해 협동조합이라는 특수한 조직형태를 활용하고 있다. 이와 관련된 협동조합의 강점은 구체적으로 가입 당사자인 조합원의 필요에 기반하여 명확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서비스 당사자와 재정지원자들 간의 새로운 관계 설정을 요구할 수 있으며, 상호 간 경제적 보상을 넘어 민주적·개방적인 운영을 담보하고, 지역의 욕구에 더욱 근원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5].

이렇듯 장애인 돌봄과 장애인 생활체육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 장애인 스포츠협동조합을 제안하고자 한다.

장애인의 스포츠 활동은 치료와 재활의 수단을 넘어 인간이 누릴 수 있는 문화생활의 하나로서 헌법이 보장하는 인간답게 살 수 있는 생활의 권리이며, 삶을 풍요롭게 하는 수단으로 비장애인보다 더 큰 의미를 가진다[6].

장애인 생활체육 참여율은 2006년 4.4% 대비 매년 증가하여 23.8%에 진입했으며[7], 장애인체육회에서 시행하고 있는 찾아가는 생활체육 서비스로 인해 장애인 생활체육 활성화에 크게 기여하고 있으나, 실질적인 업무가 이루어지는 지도의 현장에서 장애인 생활체육 지도자들은 직무의 특성상 높은 체력 소모, 전문적 역량 및 노력 대비 저임금과 계약직 신분, 낮은 사회적 지위, 처우 등으로 직업에 대한 자부심이 낮고[8], 1년 계약 이후 이직률이 58.2%로 매우 높은 수준을 보이며, 많은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8].

이러한 장애인 생활체육 지도자의 문제점에 해결 방안과 장애인의 체육활동 참여 활성화를 위한 학계와 현장의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8].

이에 장애인 가족과 장애인 체육지도자가 함께 생활체육을 매개체로 서비스 수요와 공급을 통해 장애인 생활체육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 장애인스포츠협동조합의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장애인 가족 돌봄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사회 적응력 높이기를 위한 전인적 돌봄 방안 및 부모를 위한 돌봄 지원방안[9], 장애인의 돌봄 충족과 돌봄서비스 이용 실태 및 결정 변인[10], 장애인복지시설 서비스 환경과 돌봄의 관계, 가족의 돌봄 경험과 삶의 질[11][12], 발달장애인 보호자의 후견제도에 대한 우려와 돌봄 부담, 만족감[13] 등의 다양한 연구가 있다.

그리고 장애인 협동조합의 선행연구는 중증장애인 돌봄가족이 설립, 운영하는 협동조합의 조직과 조합원의 경험을 살펴보고 자발성과 개방성, 민주적 운영, 구성원의 경제적 참여, 자율과 독립성, 교육·훈련·정보, 협동조합 간의 협력, 지역사회에 대한 기여 등을 국제협동조합연맹의 7대 원칙을 중심으로 분석[14]하였고, 공동양육에 참여한 발달장애 자녀 어머니의 모성적 돌봄의 현상과 그들의 변화에 대한 의미와 본질에 대한 질적 연구와 정신장애인 자녀를 둔 어머니의 연대 활동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4], 지역사회 통합돌봄을 통한 정신장애인의 삶의 변화에 대한 사례연구[15], 협동조합 설립을 통한 스스로 일구는 발달장애인의 돌봄과 일자리 연구[16] 등의 장애인 돌봄에 관한 협동조합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리고 장애인 생활체육 지도자의 선행연구는 지도자의 스트레스 대처전략, 교육적 자질 척도 개발, 근무 환경에 직무만족, 고용불안에 관한 연구[8][17][18], 장애인 생활체육지도자의 현장 경험과 갈등[19] 등의 연구가 있다.

이렇듯 장애인 돌봄과 장애인 협동조합에 관한 연구는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지만, 장애인 스포츠협동조합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 돌봄 향상과 장애인 생활체육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 장애인 가족과 장애인 생활체육지도자가 조합원으로 직접 참여할 수 있는 장애인스포츠협동조합을 제안하고, 이를 통해 장애인스포츠협동조합의 활성화를 위한 가능성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째, 문헌 고찰을 통해 이론적 틀을 마련하고자 한다. 둘째, 장애인 생활체육지도자의 경제적, 사회·환경적, 제도적 요인의 현황과 장애인 스포츠협동조합의 가능성을 조사·분석하고자 한다. 셋째, 장애인 협동조합의 운영자에 경제적, 사회적, 제도적 요인의 현황과 장애인스포츠협동조합의 가능성을 조사·분석하고자 한다. 넷째, 장애인스포츠 활성화를 위한 장애인 스포츠협동조합의 가능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II. Research Method

1. systematic review

본 연구의 문헌 고찰은 첫째, 장애인스포츠 복지정책과 협동조합 정책 및 지원현황을 정부 자료와 선행연구 등을 조사·분석하였고, 둘째, 장애인 돌봄과 장애인 협동조합의 현황 사례를 정부 자료와 선행연구 등을 조사·분석하였다. 이러한 문헌 고찰을 통해 이론적 틀을 마련하였다.

2. Survey of disabled sports leaders and cooperative operators

2.1 Research subject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장애인체육지도자를 선정하기 위해 D광역시 장애인체육지도자를 대상으로 1차 조사 대상 30명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장애인 협동조합의 운영자는 한국사회적기업진흥회(coop협동조합)의 홈페이지 우리 협동조합 소개와 협동조합 설립현황[20]에서 연락처를 알 수 있는 장애인 관련 협동조합 45개소를 1차 선정하였다.

1차 선정된 장애인체육지도자와 장애인 협동조합 운영자에게 전화와 E-mail을 통해 본 연구의 취지와 필요성을 설명하였고, 이중 조사를 거절하거나 연락이 안 되는 조사대상을 제외하고, 최종 장애인체육지도자 25명과 장애인 협동조합 운영자 20명을 최종 조사 대상으로 선정하고 조사하였다.

장애인체육지도자의 개인적 특성으로 성별은 여성이 15명(60%)으로 많고, 연령대는 40대 14명(56%), 최종학력은 대졸 16명(64%), 근무 경력은 5년~10년 9명(36%), 지도시간은 5시간 미만 22명(88%)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세한 결과는 Table 1과 같다.

Table 1. Personal characteristics of disabled sports instructor

CPTSCQ_2024_v29n1_219_t0001.png 이미지

다음 장애인 협동조합 운영자의 개인적 특성으로 성별은 남성이 10명(80%)으로 많고, 연령대는 40대가 11명(55%), 최종학력은 대졸 13명(65%), 직책은 이사장 8명(40%), 근무 경력은 5년~10년 12명(60%)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세한 결과는 Table 2와 같다.

Table 2. Personal characteristics of disabled cooperative operators

CPTSCQ_2024_v29n1_219_t0002.png 이미지

2.2 Research tool

본 연구의 도구는 전문가에 의견을 모아 현황 및 문제점 파악을 위한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다는 판단으로 질문지법 중 개방형 질문(open ended question)으로 조사 대상이 주관적으로 질문에 대한 답변을 자유스럽게 할 수 있도록 작성하는 질문형식으로 구성하였다.

장애인체육지도자 조사 질문지를 도출하기 위하여 선행연구[7][17][21]에서 사용한 조사 도구에서 본 연구의 취지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전문가 회의를 통해 장애인 체육지도자 질문지 구성 내용은 개인적 특성 5문항, 경제적 요인 4문항, 사회·환경적 요인 5문항, 제도적 요인 5문항, 장애인 스포츠협동조합 7문항으로 총 26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장애인 협동조합 운영자의 조사 질문지는 선행연구[21][22]에서 사용한 조사 도구에서 본 연구의 취지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전문가 회의를 통해 개인적 특성 5문항, 경제적 요인 7문항, 사회적 요인 6문항, 제도적 요인 3문항, 장애인 스포츠협동조합 발전 가능성 5문항으로 총 26문항을 구성하였다.

2.3 Research Procedure

장애인체육지도자와 장애인 협동조합 운영자가 근무하는 장소나 약속 장소에 연구자가 방문하여 직접 대면조사와 코로나19로 인해 E-mail 조사를 병행하여 진행하였다.

조사 대상의 참여도를 높이기 위해 사전에 전화로 조사의 목적과 필요성을 설명하고, 조사 시간을 약속 후 작성시 유의할 사항을 설명과 연구동의서를 받고 조사하였다.

질문내용에 대하여 자기평가기입법으로 각 문항에 대하여 조사 대상의 주관적으로 작성하도록 한 후 완성된 질문지는 즉시 회수하였고, 다음과 같이 자료를 처리하였다.

첫째, 조사를 마친 후에 자료 분석은 수집된 자료를 원자료로 사용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둘째, 조사 대상의 개인적 특성과 수집된 자료의 각 설문 문항의 목적에 부합되는 기준에 따라 응답자의 진술을 최대한 반영하면서 답변한 질문별로 조사 결과 내용을 Excel 프로그램으로 정리 및 유형화하였고, SPSS V26 프로그램으로 빈도분석과 타당도 검사하였다.

셋째, 문항별로 정리 및 유형화한 결과를 문헌 고찰에서 도출한 이론적 토대를 통해 장애인스포츠 활성화를 위한 장애인스포츠협동조합의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넷째, 전문가 회의는 문헌 고찰을 통해서 추출된 각 구성 요인에 대한 조작적 정의를 통해 추출된 구성 요인의 타당도를 높이고 관련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한 자문위원은 문헌 고찰과 질문지 개발, 결과분석 등의 자문을 위해 스포츠 학과 교수 1명, 박사연구원 2명, 협동조합 전문가 2명, 장애인체육전문가 1명으로 총 6명으로 진행하였다.

III. Research Results and Discussion

1. Survey results of disabled sports instructors

장애인체육지도자의 조사 결과는 Table 3과 같으며,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논의하고자 한다.

Table 3. Survey results of disabled sports instructors

CPTSCQ_2024_v29n1_219_t0003.png 이미지

1.1 Economic factors

경제적 요인에 대한 첫째 질문으로 장애인체육지도자의 급여 체계에 관한 질문에 부족함, 적다 20명(80%), 둘째, 지도자의 적당한 급여에 관한 질문으로 못 받는다, 부족하다가 18명(82%), 셋째, 타 직종의 급여 비교에 관한 질문에 현저히 적다, 기본급이 너무 적다가 21명(84%), 마지막으로 문제점 및 개선방안으로 최저임금, 급여가 적다, 경제적 불안정 13명(52%)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적 요인 결과에서 지도자 대부분은 급여가 부족하고 기본금이 적고, 적당한 급여를 못 받고 있으며, 타 직종에 비교해도 현저히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적 요인에 대한 문제점으로 최저임금, 급여가 적고 경제적으로 불안정하며 개선방안으로 호봉제 도입, 기본금 및 수당 인상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선행연구에서도 장애인 생활체육지도자는 현 물가에 비해 급여가 적고 급여 체계가 미흡하여 최저시급 수준이며[21], 임금 책정이 미흡하며 수당에 대한 명확한 근거가 없으며, 임금수준은 그 전문성이나 주체적인 역할에 비해 현저히 낮은 수준[23-24]이라고 하였다.

1.2 Social and environmental factors

사회·환경적 요인에 대한 첫째 질문으로 지도 환경(장소, 인원 등)에 관한 질문에 보통이다 21명(84%), 둘째, 체육시설에 관한 질문에 보통이다 21명(84%), 셋째, 지도 프로그램 다양성에 관한 질문에 좋다 15명(60%), 넷째, 지도자의 자부심과 사명감에 관한 질문에 갖고 있다 19명(76%), 마지막으로 참여자와 대인 관계에 관한 질문에 좋다, 매우 좋다 25명(100%)으로 나타났다.

사회·환경적 요인 결과에서 지도자의 지도환경과 시설상태는 보통, 미흡하고, 다양한 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있으며, 지도자는 자부심과 사명감으로 지도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참여자와 보호자 및 가족과의 대인 관계는 매우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선행연구에서 장애인이 마음 편히 이용할 수 있는 체육시설은 절대적으로 부족하며, 장애인의 이용률이 낮고 일반 공공체육시설, 학교체육시설, 민간체육시설은 장애인 차별적 시선과 편의시설 부족 등으로 장애인이 생활에서 체육을 향유할 수 있는 환경은 여전히 매우 열악하지만[25], 지도자는 자신의 직업에 소명 의식을 가지고 능동적인 지도자가 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19]고 하였다.

1.3 Institutional factors

제도적 요인에 대한 첫째 질문으로 근무 환경의 만족도에 관한 질문에 보통이다 15명(60%), 둘째, 실기지도와 행정업무에 따른 인력 구분과 충원에 관한 질문에 필요하다 15명(60%), 셋째, 시설, 행정의 정부·지자체의 지원정책에 관한 질문에 보통이다 13명(52%), 넷째, 장애인체육지도자의 정부·지자체 지원정책에 관한 질문에 좋지 않다 15명(60%), 마지막으로 장애인체육 참여자에 대한 정부나 지자체의 지원정책에 관한 질문에 보통이다 17명(68%)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제도적 요인 결과에서 장애인체육지도자의 근무 환경 보통이었으며, 실기지도와 행정업무의 구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시설, 행정의 정부나 지자체의 지원은 보통, 좋았으며, 지도자의 정부나 지자체의 지원은 좋지 않거나 보통이었고, 마지막 참여자에 정부나 지자체는 보통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선행연구에서 장애인 생활체육지도자들은 장애인들이 생활체육을 통한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지도하며 돕는 것이다. 하지만 주 업무인 지도업무 외의 자신이 해야 할 일이 아닌 행정업무와 같은 다양한 보조업무를 하게 되어 지도자의 업무가 과다하다[19][21]고 하였다.

1.4 Possibility of development of disabled sports cooperatives

장애인스포츠 협동조합의 발전 가능성에 대한 첫째, 협동조합을 알고 있는지에 관한 질문에 모른다 18명(72%), 둘째, 장애인스포츠협동조합을 알아보고, 설립 및 참여 의향에 관한 질문에 참여한다 18명(72%), 셋째, 협동조합을 주변 지인에게 소개 의사에 관한 질문에 알려준다, 소개한다. 25명(100%) 전원 답변하였다. 넷째, 지도자나 장애인 가족이 협동조합 설립에 관한 질문에 좋다, 긍정적이다 17명(68%), 다섯째, 장애인체육 발전을 위한 장애인스포츠협동조합에 관한 질문에 좋다, 긍정적이다, 장애인체육 발전도움 될 것이다. 25명(100%) 전원 답변하였다. 여섯째, 현장 지도 경험을 토대로 장애인스포츠협동조합의 장점에 관한 질문에 장애인체육 활성화 10명(40%), 마지막 장애인스포츠협동조합을 통해 장애인스포츠 활성화 가능성에 관한 질문에 네, 있다. 긍정적이다 21명(84%)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인스포츠협동조합에 발전 가능성에 대한 결과에서 장애인 체육지도자는 협동조합에 대해 인식이 부족하나, 협동조합에 대해 알아보고 설립 및 조합원 참여 의사와 지인에게 소개할 의사가 있으며, 장애인 가족과 지도자가 장애인스포츠협동조합을 설립하면 장애인스포츠의 활성화와 공동체 활동, 정보공유, 경비 절약, 돌봄서비스와 프로그램 향상, 보호자의 삶의 질의 향상, 시간 확대 등의 장점이 있으며, 장애인스포츠의 발전을 위한 대안으로 긍정적이고 장애인 가족에 도움과 혜택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선행연구에서 장애인의 가족 공동체에서의 참여자들의 만남은 서로에게 위로가 될 뿐만 아니라 서로에게 든든한 힘이 되며, 뜻을 함께하며 같은 목표의식을 갖고 공동체에서 정보를 공유하고, 조언하며 서로에게 힘이 되어주는 양육 활동하며, 같은 처지의 참여자들이 공감적 관계에서 서로에게 위로와 힘이 되는 특성으로 공동양육은 다양한 프로그램과 체육활동 등[4]으로 진행한다고 하였다.

이러한 장애인 돌봄 공동체와 장애인 체육지도자의 고용불안과 장애인스포츠의 문제를 정부나 공공단체에 요구하지 않고 같은 목적을 가진 사람들이 모여 공동으로 문제를 해결하려는 의미에서 스포츠협동조합은 새로운 법인격 도입으로 경제 활력을 높여 임의 단체보다 안정적인 조직으로 불안정한 스포츠지도자에게 안정적인 일자리를 제공하여 스포츠 관련 분야 고용 확대와 경제적으로 수익이 발생하여 재정적으로 이바지할 것이다[22]고 하였다.

2. Survey results of cooperative operators for the disabled

장애인 협동조합 운영자의 조사 결과는 Table 4와 같으며,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논의하고자 한다.

Table 4. Survey results of cooperative operators for the disabled

CPTSCQ_2024_v29n1_219_t0004.png 이미지

2.1 Economic Factors for Cooperative Operators

장애인 협동조합 운영자의 경제적 요인에 대해 첫째, 협동조합을 설립하기 위해 재정확보에 관한 질문에 조합원 출자금 15명(75%), 둘째, 협동조합 설립을 위한 출자금 마련에 관한 질문에 조합원 출자 20명(100%) 전원 답변하였다. 셋째, 협동조합 설립을 추진 중 정부의 지원에 관한 질문에 협동조합 교육, 컨설팅 16명(80%), 넷째, 협동조합 설립을 위해 교육이나 컨설팅에 관한 질문에 답변으로 사회적경제연구원 9명(45%), 다섯째, 협동조합을 운영하는데 가장 중요한 점에 관한 질문에 전문경영 능력 10명(50%), 여섯째, 협동조합의 경영 능력 중 가장 중요한 것에 관한 질문에 사업 추진력 14명(70%), 마지막 현재의 협동조합이 지속적인 성장 가능성에 관한 질문에 발전 가능하다 20명(100%)으로 나타났다.

경제적 요인 결과에서 장애인 협동조합 운영자의 경제적 요인으로 재정확보는 조합원의 출자로 설립하였고, 설립을 추진 중 정부에서 협동조합 교육, 컨설팅, 재정지원 사업에 지원과 사회적경제연구원, 사회적협동조합 협회와 지원센터 등에서 교육과 컨설팅을 받았고, 협동조합을 운영하는 데에 전문경영, 자금 조달 능력과 사업 및 업무추진력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선행연구에서 협동조합 설립에 가장 중요한 것은 먼저 설립목적을 통해 뜻이 맞는 조합원을 모집하여 지속적인 교육 및 모임을 통해 설립 동기, 배경 및 목적을 상기시키며, 조합원들이 이해할 수 있는 구체적인 사업계획이 수립하고 전문경영 능력으로 사업을 추진하면 지속적인 성장과 발전이 가능하다[21]고 하였다.

2.2 Social factors of cooperatives

장애인 협동조합 운영자의 사회적 요인에 대해 첫째, 협동조합 설립 동기에 관한 질문에 법인설립 10명(50%), 둘째, 협동조합을 설립하면 좋은 점에 관한 질문에 법인의 대표성 및 단체성(공동체) 16명(80%), 셋째, 협동조합 설립을 위한 조합원 모집에 관한 질문에 주변 지인 참여 13명(65%), 넷째, 조합원의 의견 마찰, 갈등 해결에 관한 질문 민주적인 의사 결정 10명(50%), 다섯째, 조합원의 역할 중 중요한 점에 관한 질문에 적법한 절차와 역할분배 12명(60%), 마지막 협동조합을 민주적인 운영에 중요한 점에 관한 질문에 적법한 절차와 소통 12명(60%)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요인 결과에서 설립 동기는 법인설립, 공동체 사업, 장애인 일자리 제공 및 평생 케어이며, 설립 장점으로 법인의 대표성 및 단체성, 보조 재원 이외 매출, 국가지원 사업 참여이다. 조합원은 주변 지인의 참여와 기존 사업관계자, 공개 모집하였으며, 조합원의 마찰과 갈등은 민주적인 의사 결정과 규약 및 회칙을 준수하고 회의나 토론으로 설득하며, 투명성에 입각한 사업추진과 적법한 절차와 역할분배, 집행부의 명확하고 투명한 정책으로 적법한 절차와 소통과 사업 진행 상황 공유를 통해 협동조합을 민주적으로 운영하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선행연구에서 협동조합은 대표적인 인적 결합체로서 협동조합을 잘 운영할 수 있는 사람들을 발굴하고 교육을 할 수 있는 인프라를 구축해야 하며, 교육은 조직 경쟁력의 핵심이다[26]. 그리고 민주적인 운영에 노력하며, 1인 리더에게 집중된 책임과 역할을 조합원들에게 분산시키기 위해 회의나 모임 등을 준비하고, 협동조합에 목적과 목표의 명확성, 이해와 조합원들의 소통, 참여, 필요성 인식하고 저수익, 처우개선 어려움 극복해야 한다[16][23]고 하였다.

2.3 Institutional factors of cooperatives

장애인 협동조합 운영자의 제도적 요인에 대해 첫째, 협동조합을 설립 및 운영에 정부·지자체의 행정지원에 관한 질문에 협동조합 교육, 컨설팅 20명(100%), 둘째, 협동조합을 설립 및 운영에 정부·지자체의 재정지원에 관한 질문에 없음 16명(80%), 셋째, 협동조합의 지속적인 운영과 성장에 정부·지자체에 필요한 지원에 관한 질문에 임차료 지원 12명(60%)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제도적인 요인 결과에서 정부나 지자체의 행정지원은 협동조합 교육, 컨설팅 지원을 받으나, 재정지원은 없으며, 지속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임차료 지원, 금융지원, 인력지원이 정부나 지자체의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선행연구에서 스포츠협동조합의 자생력을 키우고 강화하기 위한 간접적인 지원이 필요하다[22]. 현재 일부 지자체의 경우 광역조례 혹은 기초조례를 통해 사회적 경제조직의 설립 및 운영을 지원하며, 협동조합 기본법, 사회적기업 육성법을 기초로 지역사회 내 일자리 창출을 도모[27]해야 하며, 법인체로 보건복지부, 교육부, 문체부 등의 공모사업과 소상공인시장 진흥공단의 협업화사업 및 시설자금 조달과 협동조합 활성화 자금 등의 외부 자금을 활용할 수 있으며, 지자체의 협업화 사업으로 영역을 확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22]고 하였다.

2.4 Possibility of development of disabled sports cooperatives

장애인스포츠협동조합의 발전 가능성에 대해 첫째, 지도자나 장애인 가족이 장애인스포츠협동조합 설립에 관한 질문에 필요하다, 긍정적이다, 가능하다 16명(80%), 둘째, 장애인체육 발전을 위한 대안으로 장애인스포츠협동조합에 관한 질문에 좋은 대안, 영역 확대, 도움이 된다, 장애인체육의 발전에 긍정적, 15명(75%), 셋째, 협동조합 운영 경험을 토대로 장애인스포츠협동조합의 장점에 관한 질문에 답변으로 장애인체육 활성화 12명(60%), 넷째, 장애인 스포츠협동조합을 설립에 가장 중요한 점과 유의 사항에 관한 질문에 지속적이고 명확한 사업모델 및 방향 12명(60%), 마지막 장애인스포츠협동조합을 통해 장애인스포츠 활성화 가능성에 관한 질문에 가능성 있다 16명(80%)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인스포츠협동조합의 설립은 긍정적으로 필요하고 가능하며, 장애인체육의 발전에 좋은 대안으로 영역 확대로 장애인체육의 활성화, 공동체 활동, 돌봄서비스 향상, 시간 확대, 보호자의 삶의 질 향상의 장점이 있다. 장애인 스포츠협동조합을 설립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이고 명확한 사업모델 및 방향, 조합원의 단합, 운영자의 전문성이 중요하며, 명확한 계획과 장애인에 대해 잘 알고 있다면 장애인 스포츠협동조합을 통해 장애인스포츠의 활성화는 가능하며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선행연구에서 돌봄의 사회화가 진전되며 정부가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지원하던 사회서비스의 형식에도 변화가 일어났다. 돌봄 제공의 다원화 경향 속에서 협동조합 또한 새로운 역할자로 등장했다[28]고 하였고, 스포츠협동조합을 통한 사회서비스 등을 민간 참여를 확대할 수 있다. 즉, 창업 활성화를 통한 일자리 확대, 물가안정, 경제안정 등의 경제적 효과와 취약계층 및 노인, 장애인, 다문화 가족 등에게 일자리와 사회서비스를 제공하고, '일을 통한 복지'에 이바지하는 사회적 경제효과를 거둘 수 있다[29]고 하였다.

IV. Conclusions

본 연구는 스포츠 복지향상과 장애인 생활체육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 장애인스포츠 협동조합의 가능성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문헌 고찰과 장애인 생활체육 지도자와 장애인 협동조합 운영자를 대상으로 질문법 조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장애인체육지도자는 최적 임금의 보수로 경제적으로 불안정하고, 장애인 지도와 행정업무에 따른 과도한 업무와 부족한 지도자 수와 시설의 노후화, 제한적인 지도환경이며, 정부의 지원 또한,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나 참여자는 프로그램의 만족으로 긍정인 변화가 되어 지도자와 참여자와 가족과의 관계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직은 협동조합의 인식이 부족하나 지도자나 장애인 가족이 협동조합을 설립하면 장애인체육의 활성화와 정보공유, 공동체 활동, 경비 절약과 돌봄서비스 향상으로 시간 확대로 프로그램과 보호자의 삶의 질의 향상 등의 장점을 통해 장애인체육의 발전을 위한 영역 확대로 지도자와 장애인 가족에 도움과 혜택이 있을 것이다.

둘째, 장애인스포츠협동조합은 법인설립, 공동체 사업, 장애인 일자리 제공 및 평생 케어 등의 설립 동기로 법인의 대표성 및 단체성, 보조 재원 이외 매출, 국가지원사업 참여 등의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장애인스포츠협동조합을 설립하기 위해서는 뜻이 맞는 5인 이상의 발기인이 정부나 지자체의 교육, 컨설팅의 지원을 받고 전문경영과 자금조달 능력, 사업 및 업무추진력이 필요하며, 조합원과의 마찰과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민주적인 의사 결정과 규약 및 회칙을 준수하고 회의나 토론으로 설득하며, 투명성에 입각한 사업추진과 적법한 절차와 역할분배, 집행부의 명확하고 투명한 정책으로 적법한 절차와 소통과 사업 진행 상황 공유를 통해 협동조합을 민주적으로 운영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장애인스포츠협동조합의 자생력을 위해서는 지자체의 광역조례 혹은 기초조례를 통해 사회적 경제조직의 설립 및 운영에 지원과 협동조합 기본법, 사회적기업 육성법을 기초로 하는 지역사회 내 일자리 창출 사업 등을 활용과 법인체로 보건복지부, 교육부, 문체부 등의 공모사업과 소상공인시장 진흥공단의 협업화 사업 및 시설자금 조달과 협동조합 활성화 자금 등의 외부 공적자금을 활용하고 지자체의 협업화 사업으로 영역을 확장해야 한다.

장애인스포츠협동조합은 지속적이고 명확한 사업모델 및 방향으로 조합원의 단합과 운영자의 전문성이 중요하며 명확한 계획과 장애인에 대해 잘 알고 있다면 장애인 스포츠협동조합을 통해 스포츠 복지향상과 장애인스포츠의 활성화는 가능할 것이다.

이와 같은 결론을 바탕으로 후속 연구의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장애인과 관련된 다양한 협동조합을 본 조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스포츠와 관련된 협동조합은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이러한 원인은 지도자나 스포츠와 관련된 종사들의 인식 부족이다. 스포츠협동조합의 현황, 국내외사례 등의 후속 연구를 통해 스포츠협동조합의 인식과 필요성을 인지하면 스포츠 분야의 영역 확대와 학문적인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논의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스포츠협동조합을 통해 장애인뿐만 아니라 취약계층, 노인, 장애인, 다문화 가족 등이 다양한 스포츠 영역에서 스포츠 복지를 누릴 수 있도록 정부 주도적인 스포츠에서 민간 주도적인 스포츠가 될 수 있는 스포츠협동조합과 관련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ACKNOWLEDGEMENT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NRF-2020S1A5B5A17090938)

참고문헌

  1. Ministry of Health and Uelfare "Statistical Information Report on Survey on the Status of the Disabled," 2018. https://www.mohw.go.kr
  2. Ministry of Health and Uelfare "Press Release : Registered Disabled People: 2,653,000 People, 5.2% of the Total Population," Apr. 2023. https://www.mohw.go.kr
  3. Hea kyung Oh and Eun Ryoung Paik,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Subjective Quality of Life of the Disabled Persons -the Physically Disabled Persons in the Seoul Area-," Journal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Vol. 13, No. 2, pp. 157-181, 2003.
  4. Dong kook Shin, "A Study on the Experience in Maternal Care of Mothers of Child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Participate in the Cooperative Childcare," Baekseok University, Feb. 2019.
  5. Won bong Jang, "The Role of Social Enterprises in the Social Service Sector,"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Vol. 162, No. 0, pp. 42-56, 2010.
  6. Tae-Young Sim, Ki-Yong Park,"The Effects of Intellectually Disabled Children's Participation in Swimming Class with Parents on Parent-Child Relationship Satisfaction,"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Vol. 54, No. 3, pp. 617-627, 2015.
  7.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9 survey on sports for disabled people," 2019. https://www.mcst.go.kr
  8. Won Ick Song,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Coping Strategy and Job Burnout of Sport and Leisure Instructors,"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Vol. 47, No. 1, pp. 263-269, 2008.
  9. Tae Ho Park, "Research on Holistic Care Measures to Increase Social Adaptability of Developmentally Disabled People," Presbyterian Theologic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Feb. 2018.
  10. Hyo Sung Lee, Green Ko, "Care for the Individuals with Disability-Focusing on Care Sufficiency and Service Us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4, No. 8 pp. 207-219, 2014. DOI : 10.5392/JKCA.2014.14.08.207
  11. Mi Ok Kim, Go Eun Kim, Min Ah Jung, "The Effects of Support Environment in Service Agencies on the Challenging Behavior Support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Journal of Disability and Welfare, Vol. 40, No. 40, pp. 237-262, 2018. DOI : 10.22779/kadw.2018.40.40.237
  12. Myeong Sook Yoon, Eun Ah Park, Su Yeon Choi, "Moderating Effect of Social Discrimination Between the Relationship Care Giving and Quality of Life Among Family Members with Mental Disorder," Journal of Disability and Welfare, Vol. 0, No. 21, pp. 91-112, 2013. DOI : 10.22779/kadw.2013..21.91
  13. Sang Kyung Kang, Chang Min Yoo, "Guardianship among Care-givers'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ir Care-burden," Journal of Disability and Welfare, Vol. 43, No. 43, pp. 37-59, 2019. DOI : 10.22779/kadw.2019.43.43.37
  14. Jeong Seon Park, Ga Hyun Sohn, "An Exploratory Study on Social Cooperative for the Caregiving Families with Severely Disabled," Korean Academy of Social Welfare and Law, Vol. 10, No. 3, pp. 79-119, Nov. 2019. DOI : 10.35589/SWLJ.2019.10.3.79
  15. Seon Mee Hong, Junhee Jeon, Kyung Hee Ha, "A Case Study on Life Change of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Through Community Care," Journal of Disability and Welfare, Vol. 55, No. 55, pp. 169-197, 2022. DOI : 10.22779/kadw.2022.55.55.169
  16. Yu Seong Jo, "Self-creating Care Services and Jobs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Journal of Future Social Work Research, Vol. 14, No. 1, pp. 129-165, 2023. DOI : 10.22836/kaswpr.2023.14.1.129
  17. Young kyun Sim, "Development of the Educational Qualification Scale for the Adapted Sports Instructor," Dankook University, Feb. 2016.
  18. H. G. Jo,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hention According to The Working Environment of a Disabled Sports Leader: Focusing on Sports Leaders for the Disabled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Korea National Sport University, July. 2021.
  19. Kyo man Koo, "Field experience and Conflict of Sports for All Instructor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Vol. 0, No. 72, pp. 399-412, 2018. DOI : 10.51979/KSSLS.2018.05.72.399
  20. Korea Social Enterprise Promotion Agency, Coop Cooperative, Cooperative Establishment Status, Available from: https://www.coop.go.kr, Feb. 15. 2022
  21. Jung Dong Kim, Young Mee Kim and Moon Sook Lee, "The Possibility of Sport Leaders Cooperative Model Promote Life Sport,"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9, No. 6, pp. 363-372, 2021. DOI : 10.14400/JDC.2021.19.6.363
  22. Jeong Dong Kim, "Alternatives to Promote the Sport Cooperatives of Korea,"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Feb. 2016.
  23. Jin Hwa Shin, "A Q-methodological Study on Improving the Treatment of Non-Regular Physical Education Instructor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July. 2014.
  24. Yeon Taek Kwon, Won Chul Bing, "A Qualitative Search for the Improvement of Field Utilization and Welfare of Sports Leaders," The Korean Journal of Sport, Vol. 18, No. 2, pp. 135-150, 2020. DOI : 10.46669/kss.2020.18.2.013
  25. Kyoung Hwan Cho, Jeong Beon Park, Yang Hun Jung, "A Plan for Development of the Public Sports Facilities for Parasports Welfare,"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Vol. 62, No. 3, pp. 445-465, May. 2023. DOI : 10.23949/kjpe.2023.5.62.3.28
  26. I. S. Shin, G. S. Choi, G. P. Choi, Cooperative Management Theory, Agricultural Cooperative Management Institute Agricultural Cooperative College, July. 2011.
  27. Eu Gene Choi, "Analyzing the Impact of Local Bylaws on the Vitalization of Korean Co-operatives,"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Local Administration, Vol. 31, No. 2, pp. 299-326, 2017. DOI : 10.22783/krila.2017.31.2.299
  28.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Cooperative Models in the Social Service Field," Dec. 2015. https://www.moef.go.kr
  29.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Easy to Find Practical Law,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a Cooperative," https://www.easylaw.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