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knowledgement
본 논문은 2022년도 고신대학교 교내학술연구비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DOI QR Code
This study aimed to empirically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ing attitudes of parents of immigrant children and adolescents and their Korean culture Acceptance Attitude(KCAA) for living in Korean society. Additionally, the study sought to demonstrat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on this relationship. A survey was conducted with 126 immigrant children and adolescents from 16 districts in Busan Metropolitan City. The survey was conducted online using Google Forms. Due to the difficulty in securing respondents among immigrant children and adolescents, a combination of snowball and random sampling methods was used.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arenting attitudes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self-esteem of immigrant children and adolescents. This suggests that when parents exhibit an authoritative style with high demands and responsiveness, children and adolescents are more likely to have higher self-esteem. Second, self-esteem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KCAA. This finding confirms that self-esteem, which is the emotional feeling of how valuable one is, is crucial for the KCAA, which is necessary for adapting to Korean society. Third, self-esteem ha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s and the acceptance of Korean culture. This result demonstrates that without self-esteem, this model cannot be establish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s and the acceptance of Korean culture.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e activation of various parenting support programs and the integrated implementation of diverse interventions necessary for the growth proces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본 연구는 이주배경 아동·청소년이 한국사회에 살아가기 위한 하나의 조건인 한국문화수용태도와 부모의 양육태도와의 관계를 검증하고 이들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 16개 구·군 이주배경을 가진 아동·청소년 126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방법은 구글폼을 활용한 온라인 서베이의 형태로 실시되었다. 이주배경 아동·청소년 응답자 확보의 어려움으로 인해 표집은 눈덩이·임의표집방법을 병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로 첫째, 부모의 양육태도는 이주배경 아동·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모의 양육태도가 높은 요구 및 반응을 보이는 권위적 태도를 보일 때 아동·청소년이 보다 높은 자아존중감을 가질 수 있음을 뜻한다. 둘째, 자아존중감은 한국문화수용태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는 한국사회 적응에 필요한 한국문화수용태도가 결국 자신이 얼마나 소중한가를 정서적으로 느끼는 자아존중감에 중요한 영향을 미침이 확인된 것이다. 셋째, 부모의 양육태도와 한국문화수용태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은 완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모의 양육태도와 한국문화수용태도에서 자아존중감이 없이는 이 모형자체의 성립이 어려움을 입증하는 결과이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다양한 양육지원 프로그램의 활성화, 아동·청소년의 성장과정에 필요한 다양한 개입이 통합적으로 이루어질 것 등을 제언하였다.
본 논문은 2022년도 고신대학교 교내학술연구비에 의하여 연구되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