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cientific Study on Clepsydra of Changgyeonggung Palace, National Treasure for Diagnosis on State of Conservation

국보 창경궁 자격루 누기의 보존상태 진단을 위한 과학적 조사

  • YOU Harim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 Center,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LEE Jaesung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 Center,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YU Jia (Research Division of Conservation Scienc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JO Hanui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 Center,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PARK Younghwan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 Center,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RYU Dongwan (Inorganic Conservation Team, YeoUi Cultural Heritage Institute)
  • 유하림 (국립문화재연구원 문화재보존과학센터) ;
  • 이재성 (국립문화재연구원 문화재보존과학센터) ;
  • 유지아 (국립문화재연구원 보존과학연구실) ;
  • 조하늬 (국립문화재연구원 문화재보존과학센터) ;
  • 박영환 (국립문화재연구원 문화재보존과학센터) ;
  • 유동완 (여의문화유산(주) 무기물보존팀)
  • Received : 2022.05.18
  • Accepted : 2023.08.18
  • Published : 2023.09.30

Abstract

Some of the metal cultural heritage that make up a considerable proportion of Korea's cultural heritage have been installed and displayed outdoors due to their own functions, roles, and scale. Therefore, more diverse and complex damages can occur outdoors than they are in a stable environ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mbine accurate diagnosis and systematic survey methods in order to utilize basic data obtained from research results as data for the long-term and continuous conservation management as well as to do the research to diagnose the conservation status of outdoor cultural heritage. The clepsydra(hereinafter referred to as Jagyeongnu) of Changgyeonggung Palace, the National Treasure has been installed and displayed outdoors since it was manufactured. Though regular conservation and maintenance of the Jagyeongnu have been carried out, damage still occurred. Therefore, the scientific research on Jagyeongnu to diagnose the state of conservation was conducted prior to the full-scale conservation treatment. First, the state of conservation was investigated with an examination of basic data, macroscopic inspections and past records of repair history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research. More detailed examinations were also conducted through the 3D scan, surface pattern investigation, and color difference analysis, and the analysis on materials and contaminants were conducted through P-XRF, FT-IR, and Py-GC/MS. The scientific research reveals that squalane and silicone oil have been applied in the past for conservation treatment and directly exposed to outdoor environmental factors, which caused damage to Jagyeongnu and contaminants such as dust adhered thickly to its surface, accelerating severe damage. A greater incidence of damage was found around the part with relatively high exposure effect, which corresponded with the tendency identified by grouping color difference data. As a result of integrating various research methodologies to diagnose the state of conservation and secure basic data, the causes and types of damage were identified. Furthermore, the process of obtaining digital data to be utilized in various ways, and the color difference analysis presenting visible damage as scientific data and identifying the tendency of damage patterns were confirmed to have been effective.

우리나라 문화유산에서 상당한 비중을 이루는 금속문화재 중 일부는 고유 기능과 역할, 규모 등으로 인해 야외에 설치·전시되고 있다. 그렇기에 안정적 환경에서보다 다양하고 복합적인 훼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야외 설치 문화유산의 보존상태 진단을 위한 조사뿐만 아니라 조사 결과로 확보한 기초 자료를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보존관리의 데이터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진단과 체계화된 조사법을 접목할 필요가 있다. 제작 당시부터 야외에 설치·전시된 국보 창경궁 자격루 누기는 지속적인 보존관리에도 손상이 발생하여, 전면적인 보존처리에 앞서 보존상태 진단을 위한 과학적인 조사를 실시하였다. 먼저 조사 목적에 따라 제원 및 육안조사, 과거 보수이력 조사를 통해 보존상태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3D 스캔과 표면 문양 조사, 색차 분석을 통한 정밀조사와 P-XRF, FT-IR, Py-GC/MS 분석으로 재질과 오염물을 분석하였다. 과학적 조사 결과에 대한 검토를 통해 과거 보존처리 과정에서 사용된 스쿠알란(squalane)과 실리콘 오일(silicone oil)이 야외 환경 요인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어 손상이 발생하였으며, 그 위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두텁게 고착되어 오염이 심화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대적으로 노출 영향이 높은 부분을 중심으로 손상의 발생 정도가 큰 것이 확인되었으며, 이는 색차 데이터를 그룹화(grouping)하여 파악한 경향성과 일치하였다. 이처럼 보존상태를 진단하고 기초자료를 확보하는데 다양한 조사법을 접목한 결과 발생한 손상 원인과 양상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조사에서는 다양하게 활용 가능한 디지털 데이터의 확보 과정과 가시적으로 확인되는 손상을 과학적 데이터로 제시하고 손상 양상 등의 경향성을 파악할 수 있는 색차 분석이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안휘준, 2005, 『동궐도 읽기』, 한국문화재보호재단, p.193.
  2. 김윤신.박태술.문정숙.이상복.이용현, 2000, 「대기 중 금속부식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한국대기환경학회, pp.279~280.
  3. 남문현, 1989, 「세종 자격루의(自擊漏) 시스템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사학회지』, 한국과학사학회 11(1), pp.19~38.
  4. 이재효.김성균.남문현, 2006, 「보루각 자격루 연구(I): 漏器」, 『건국기술연구논문지』, 건국대학교 산업기술연구원 31, pp.64~74.
  5. 남문현, 1998, 「自擊漏의 水位制御 方式에 대한 歷史的 考察」, 『건국기술연구논문지』 23, 건국대학교 산업기술연구원, pp.91~103.
  6. 김창석.황선도, 2005, 「액상 실리콘 고무를 이용한 유물 복제」, 『보존과학회지』 17,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pp.95~101. https://doi.org/10.1080/09535310500034358
  7. 황정순, 2006, 「자연환경에 의한 야외 청동물 부식성에 관한 연구」, 한서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8. 유하림, 2020, 「국보 제 229호 창경궁 자격루 누기 표면에 고착된 오염물 제거 방법 연구」, 『보존과학회지』 37(2),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pp.101~119.
  9. 유하림, 2021, 「창경궁 자격루 누기(국보) 보존처리」, 『학술 심포지엄 발표논문집』, 국립문화재연구고 문화재보존과학센터, pp.49~63.
  10. 김윤신.박태슬.문정숙.이상복.이용현, pp.2000, 「대기 중 금속부식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대기환경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한국대기환경학회, pp.279~280.
  11. 백승현, 2022, 「3D 스캔을 적용한 행정박물 보존관리 및 활용에 관한 연구」, 중부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2. 안아영, 「문화유산 3차원(3D) 디지털 기록의 보존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김명호.홍영근.이정근, 「Cu-Sn 합금의 미세조직 및 음향특성에 미치는 Sn 함량의 영향」, 『한국주조공학회지』 21(2), 한국 주조공학회, pp.135~140.
  14. 허일권.안송이.윤은영, 2014, 「평창 수다사지 청동금고 주조기법과 보수 방식」, 『박물관보존과학』 15, 국립중앙박물관, pp.4~25. https://doi.org/10.1038/scientificamericanmind0714-15
  15. S.V. Manoj, C,D. Mishra, M. Sharma, A.Rani, R.Jain, S,P. Bansal, K,S. Gupta., 2000. 「Iron, manganese and copper concentrations in wet precipitation and kinetics of the oxidation of SO2 in rain water at two urban site, Jaipur and Kota, in Western India」, 『Atmospheric Environment』 34(26), pp.4479~4486. https://doi.org/10.1016/S1352-2310(00)00117-5
  16. David A. Scott., 1991, 『Metallography and Microstructure of Ancient and Historic』, p.120.
  17. Lyndsie Selwyn., 2004, 『Metals and Corrosion』, p.55.
  18. Popa, O., Babeanu, N.E., Popa, I., Nia, S. and Dinu-Parvu, C.E., 2020, 「Methods for Obtaining and Determination of Squalene from Natural Sources」, 『Hindawi』 2015(367202), BioMed Research International, pp.1~16. https://doi.org/10.1155/2015/367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