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조선왕실 현판 글자의 금색 안료와 재현 실험 연구

Pigments in the Letters of Hanging Boards of the Joseon Royal Court and Reproduction Experiments

  • 이혜연 (국립고궁박물관 유물과학과) ;
  • 이민혜 (국립고궁박물관 유물과학과) ;
  • 이희승 (국립고궁박물관 유물과학과)
  • LEE Hyeyoun (Collection Management Division,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
  • LEE Minhye (Collection Management Division,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
  • LEE Heeseung (Collection Management Division,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 투고 : 2022.03.31
  • 심사 : 2023.08.16
  • 발행 : 2023.09.30

초록

조선왕실의 현판은 궁궐, 종묘 등 왕실과 관련된 건물에 걸어 건물의 위계와 성격을 나타낸다. 현판은 조선왕실 의궤에 제작 방법이나 재료 등을 기록하고 있어 당시 제작기술이나 재료 변화를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이다. 그러나 현재 남아 있는 현판은 전각의 화재나 전란 등으로 여러 차례 개·보수 되면서 원형과 재료가 변화되었다고 추정된다. 조선왕실의 현판은 어제·어필 현판이 많아 검은색 바탕에 금색 글자로 이루어진 형태가 주요하다. 본 연구는 조선왕실 현판 중 금색 글자로 추정되는 44점을 대상으로 글자에 남아 있는 안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글자 표면에 남아 있는 금색 안료의 현재 상태와 검출된 구성성분에 따라 분류하였다. 글자 안료의 분석 결과 금(Au) 성분이 주요하게 검출된 현판은 양각 24점과 음각 5점이며, 양각 15점은 황동(Cu, Zn) 성분이 주요하게 검출되었다. 황동 성분이 검출된 현판 중 일부는 금색 안료가 아닌 청록색 안료만 남아 있는 상태이다. 황동 안료는 문헌에 기록이 없고 현재 단청 안료로 사용하고 있지 않아 황동 안료의 적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재현실험을 실시하였다. 재현실험은 재료의 한계로 황동안료의 적용 유무와 사용 방법을 확인하기 어려웠으나 앞으로 황동 안료의 사용 시기와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Hanging boards of the Joseon royal court are hung on buildings related to the royal family, such as palaces and Jongmyo Shrine, to show the hierarchy and character of the building. In addition, the manufacturing method and materials are recorded in the royal protocols of the Joseon Dynasty, so it is an important material for studying the manufacturing method and material changes at that time. However, the hanging boards were restored several times due to fire or war, and it is presumed that there is a change in the original form and material of the hanging boards. In particular, many hanging boards of the Joseon royal court were written with calligraphy by kings, so there are many forms consisting of gold letters on a black background. This study tried to analyze the pigments remaining in the letters of 44 of the Joseon royal hanging boards, which are presumed to be gold letters, and to find out the changes in the hanging board production method and materials by referring to the analysis results. The letters of the hanging boards studied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urrent state of the gold pigment and the detected componen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character pigments, 24 embossing techniques and 5 intaglio techniques were mainly detected with gold (Au), but 15 embossing techniques were detected with brass (Cu, Zn). Only blue-green substances, not gold pigments, remain in some of the hanging boards in which brass components were detected. A reproduction experiment was conducted because the pigments of the brass component were not recorded in the literature and were not currently used as Dancheong pigments. In the reproduction experiment, it was difficult to confirm the application and use of brass pigments due to the limitations of materials, but it is judged that research on the timing and method of using brass pigments is needed in the future.

키워드

참고문헌

  1. 국립고궁박물관, 2020, 『조선왕실의 현판 I』, pp.294~325.
  2. 국립고궁박물관, 2021, 『조선왕실의 현판 II』, pp.483~467.
  3. 국립고궁박물관, 2022, 『조선의 이상을 걸다 궁중현판』, p.10.
  4. 국립문화재연구소, 1999, 『각자장』, pp.53~66.
  5. 국립문화재연구소, 2009, 『금박장』, 민속원, pp.11~13.
  6. 김지은.유지아.한예빈.정용재, 2016, 「전통 편금사에 사용된 붉은 접착제 특성 연구」, 『보존과학회지』 32(1), pp.43~49. https://doi.org/10.12654/JCS.2016.32.1.05
  7. 문화재청, 2015, 『궁궐현판 고증고사』, p.44.
  8. 서태수.변윤섭.김영순.박윤창.김동표, 2001, 『안료화학』, (주)학술정보, p.116.
  9. 송동현, 2009, 「조선시대 궁궐 건축의 현판구성과 상징성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p.32.
  10. 양웅열, 2021,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선조·인조·숙종의 御製·御筆 현판의 게판과 형태」, 『藏書閣』 45別冊, 한국학중앙연구원, pp.7~43.
  11. 유지아.김지은.한예빈.이상현.정용재, 2014, 「전통 편금사 복원 및 재현을 위한 재료 특성 비교 연구」, 『보존과학회지』 30(3), pp.307~315. https://doi.org/10.12654/JCS.2014.30.3.06
  12. 이규경, 2008, 『오주서종박물고변』, 학연문화사, p.73.
  13. 장기인.한석성, 2004, 『丹靑』, 보성각, p.150.
  14. Jonathan Thornton, 2000, 「All That Glitters is not Gold: Other Surfaces that Appear to be Gilded」, 『Gilded Metals History, Technology and Conservation』, The American Institute for Conservation of Historic and Arttistic Works, Archetype Publication, pp.307~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