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Selection of the Joseon's Royal Placenta Chambers for Successive Registration in World Heritages Listings

조선 왕실 태실의 세계유산 등재 대상 선정에 대한 고찰

  • Received : 2022.12.31
  • Accepted : 2023.08.18
  • Published : 2023.09.30

Abstract

The World Heritage Subcommittee of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which examine The World Heritage Subcommittee of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which The World Heri The World Heritage Subcommittee of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which examined the Placenta Chamber of King Sejong's Princes applied for the world heritage priority list in 2020 recommended expanding it to the royal placenta chambers of Joseon distributed nationwide for successive registration instead of registering the Seongju placenta chamber only. On account of that, the issue of selecting items has become one of the important topics to be discussed in the registration of world heritages. Accordingly, this researcher investigated the subjects of successive registration based on such conditions as excellent universal value, heritage protection and management, authenticity, and completeness among the real estate cultural properties demanded by the UNESCO World Heritage Committee. First, 22 placenta chambers, the real estate cultural properties designated as cultural properties and protected and managed by the state and local governments, are subject to it. Second, it seems that placenta chambers that can be restored through research and historical investigation and become designated as cultural properties can additionally be added. Third, items such as the Seosamneung Royal Tombs built by Lee Wang-jik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or Seongjong Placenta Chamber relocated as an example to realize the completeness of Joseon's Royal Placenta Chambers can be included as well. Meanwhile, many of the items designated as cultural properties are not in the original location, and they can be divided into those that were relocated for the intentions of the Japanese Empire and those that were not. Therefore, the researcher insists that it is necessary to select and add items with which we can understand the historicity in the relocation of placenta chamber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also to quickly designate those that have not been designated as cultural properties yet. Therefore, regardless of designation as cultural heritage, local governments must promote both restoration and designation and strive to include them in the list of successive registration of world heritages grounded on thorough historical investigation. Moreover, to add them to the list of successive registration of world heritages,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nd local governments should promote continuous research and genuine restoration of individual placenta chambers.

2020년 세계유산 우선 등재 목록으로 신청된 세종대왕자 태실을 검토했던 문화재청 세계유산분과 위원회는 성주태실의 단독 등재 방식이 아닌 전국적으로 분포한 조선 왕실 태실로 확대하여 연속유산으로 등재하는 방안을 권고했다. 이에 따라 일부 자치단체에서는 세계유산 연속유산 대상에 해당 지역의 태실이 포함될 수 있는지가 중요한 화두로 대두되었다. 그래서 본 연구자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가 요구하는 부동산 가운데 탁월한 보편적 가치, 유산의 보호와 관리, 진정성, 완전성의 조건을 토대로 연속 등재 대상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다음 세 가지를 등재 대상으로 선정할 것을 제안하였다. 첫째, 문화재로 지정되어 국가와 자치단체에서 보호와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는 부동산 문화재인 태실 22개소가 그 대상이 된다. 둘째, 유산의 진정성과 완전성 논리를 확보하기 위해 가봉태실로 한정하고, 연구조사와 학술고증을 통해 복원과 문화재 추가 지정이 가능한 태실을 그 대상으로 본다. 셋째, 조선 왕실 태실의 완전성을 갖추기 위해 일제강점기 이왕직에 의해 조성된 서삼릉과 표본으로 이설한 성종태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문화재로 지정된 대상이라 할지라도 원래의 위치가 아닌 것이 많으며, 이 가운데에는 일제의 의도에 따라 이설된 것과 그렇지 않은 것으로 구분된다. 따라서 연구자는 일제강점기 태실 이설에 대한 역사성을 이해할 수 있는 대상을 선별하여 추가하고, 문화재로 지정되지 않은 대상도 서둘러 지정해야 한다고 보았다. 따라서 기초자치단체에서는 문화재 지정 여부와 관계없이 철저한 고증을 바탕으로 복원과 지정을 추진하여 세계유산 연속유산 등재 대상 목록에 포함되도록 노력해야 한다. 또한 문화재청과 기초자치단체에서는 세계유산 연속유산 등재 대상에 포함되기 위해 개별 태실에 관한 지속적인 조사연구와 진정성 있는 복원을 추진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文宗實錄」.
  2. 「宣祖修正實錄」.
  3. 「世宗實錄」.
  4. 교남문화유산, 2017, 「사적 제444호 성주 세종대왕자태실 보존관리계획 보고서」, 성주군.
  5. 대동문화재연구원, 2012, 「성주 태종.단종태실 학술(지표)조사 결과보고서」.
  6. 동원건축사사무소, 2015, 「명봉리 조선왕실 태실유적 복원 기본설계 및 종합정비 계획」I, 예천군.
  7. 문화재위원회, 2020, 「2020년도 문화재위원회 제1차 세계유산분과 위원회 회의록」.
  8. 문화재청, 2019, 「세계유산협약 이행을 위한 운영지침」.
  9. 박재관, 2022, 「성주 세종대왕자 태실의 세계유산 잠정목록 등재 추진과정과 과제」, 「태봉.태실의 세계유산 가치성 연구」, 경기문화재연구원.
  10. 성림문화재연구원, 2014, 「예천 명봉사 조선왕조 태실(문종.장조) 유적」, 예천군.
  11. 심현용, 2010, 「성주지역 태실과 생명문화관 전시방안」, 「세종대왕자태실 생명문화관 컨텐츠 및 전시 방향 모색을 위한 전문가 초청 학술세미나」, 성주군.
  12. 예천군, 2015, 「명봉리 조선왕실 태실유적 복원 기본설계 및 종합정비 계획」I.
  13. 淸州大學校博物館 淸原鄕土文化硏究會, 1997, 「淸原 山德里 胎室 發掘調査 報告書」.
  14. 한빛문화재연구원, 2019, 2020, 「(보물 제1976호) 서산 명종대왕 태실 및 비: 정밀실측조사보고서」, 충청남도 서산시.
  15. 호연건축문화유산연구원, 2018, 「영천 인종태실 학술조사 보고서」, 영천시.
  16. 국립문화재연구소 편, 1999, 「서삼릉태실」, 국립문화재연구소.
  17. 국립문화재연구소 편, 2008, 「조선왕실의 태봉」, 국립문화재연구소.
  18. 김희태, 2021, 「조선왕실의 태실」, 휴엔스토리.
  19. 예천박물관 편, 2021, 「예천의 태실과 조선시대 태실문화」, 민속원.
  20. 전주이씨대동종약원 편, 1999, 「조선의 태실」I.II.III.
  21. 김만중, 2001, 「강릉 모전리 정복태실비와 성종의 자녀에 대하여」, 「박물관지」 7, 강원대학교박물관.
  22. 김영진, 1994, 「충주 경종태실 소고: 변작과 복원을 중심으로」, 「박물관보」 7, 청주대학교박물관.
  23. 김영진, 1997, 「청원 산덕리 태실 발굴조사 보고」, 「박물관보」 10, 청주대학교박물관.
  24. 김태일, 2012, 「조선 초기 왕실의 태실 연구: 경북 성주지역 태실 21기를 중심으로」, 「백악논총」 7, 동방대학원대학교 출판부.
  25. 박대윤, 2010, 「조선 성종 태봉의 풍수지리적 특징 비교: 초장지와 이장지를 중심으로」, 「한국학연구」 33,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6. 박대윤, 2012, 「조선시대 국왕태봉의 풍수적 특징 연구」, 「한국문화」 59, 서울대학교규장각 한국학연구원.
  27. 박채은, 2008, 「성종대왕과 후궁 명빈김씨: 경숙옹주 태실과 관련하여」, 「울산문화연구」 1, 울산문화연구회.
  28. 박충환, 2015, 「인류학의 비교문화론적 관점에서 본 장태문화(藏胎文化)」, 「嶺南學」 28,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9. 심현용, 2001, 「울진지역 태실에 관한 시고」, 「고문화」 57, 한국대학박물관협회.
  30. 심현용, 2004, 「광해군태실에 대하여」, 「강원문화사연구」 9, 강원향토문화연구회.
  31. 심현용, 2005, 「대구 광해군태실 고」, 「향토문화」 20, 대구향토문화연구소.
  32. 심현용, 2005, 「성주 세종대왕자 태실 연구」, 「박물관연보」 2, 강릉대학교박물관.
  33. 심현용, 2006, 「조선시대 아기태실비의 양식과 변천」, 「미술자료」 75, 국립중앙박물관.
  34. 심현용, 2010, 「조선왕실 태실석함의 현황과 양식변천」, 「문화재」 43(3), 국립문화재연구소.
  35. 심현용, 2012, 「조선 단종의 가봉태실에 대한 문헌.고고학적 검토」, 「문화재」 45(3), 국립문화재연구소.
  36. 심현용, 2014, 「조선 초 영주 소헌왕후 태실의 조성과 구조 복원」, 「영남고고학」 68, 영남고고학회.
  37. 심현용, 2015, 「조선시대 태실에 관한 고고학적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38. 윤석인, 2000, 「조선왕실의 태실석물에 관한 일연구: 서삼릉 이장 원 태실을 중심으로」, 「문화재」 33, 문화재관리국.
  39. 윤석인, 2010, 「조선왕실 태항아리 변천 연구」, 「고문화」 75, 한국대학박물관협회.
  40. 이재완, 2013, 「경북 예천지역 태실에 관한 일고찰」, 「고궁문화」 6, 국립고궁박물관.
  41. 이재완, 2016, 「예천지역 왕실의 태실조성과 지역사적 의의」, 「문화재」 49, 국립문화재연구원.
  42. 최호림, 1985, 「조선시대 태실에 관한 일연구」, 「한국학논집」 7, 한양대학교한국학연구소.
  43. 홍성익, 1998, 「강원지역 태실에 관한 연구」, 「강원문화사연구」 3, 강원향토문화연구회.
  44. 홍성익, 2004, 「원주시 대덕리 태실에 대하여」, 「강원문화사연구」 9, 강원향토문화연구회.
  45. 홍성익, 2008, 「홍천 공작산 정희왕후 태실지 위치비정」, 「강원문화사연구」 13, 강원향토문화연구회.
  46. 「기호일보」.
  47. 「경북일보」.
  48. 「경인일보」.
  49. 「충청타임즈」.
  50. 문화재청 www.cha.go.kr(검색일 2022.11.30.).
  51. 예천박물관 https://www.ycg.kr/open.content/museum/(검색일 2022.1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