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박제표본 제작방법에 따른 휘발성유기화합물 방출 특성 연구

Study on VOCs Emission Characteristic of Taxidermied Mounting Techniques

  • 오정우 (국립문화재연구원 자연문화재연구실) ;
  • 정용재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문화재수리기술학과)
  • OH Jungwoo (Natural Heritage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CHUNG Yongjae (Dept. of Heritage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Graduate School of Cultural Heritage)
  • 투고 : 2023.02.10
  • 심사 : 2023.05.25
  • 발행 : 2023.06.30

초록

박제표본과 같은 생물학적 물질은 다양한 산이나 휘발성물질을 방출할 수 있다. 박제표본에 사용되는 보존제와 제작재료, 제작방법에 따라 발생하는 유기화합물의 방출 특성에 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박제표본에서 발생하는 유기화합물을 알아보기 위해 재료별 표본, 수장고 표본을 대상으로 열화 실험하였다. 오계를 대상으로 나프탈렌과 붕사를 보존제로 사용하고, 대패톱밥, 신문지, 폴리스틸렌폼을 몸심재료로 사용하여 제작한 표본과, 동물수장고에서 수장하고 있던 오계 박제표본(2015년도)을 고온환경(50℃)과 고습환경(95%)에 각각 2주간 열화 실험하였다. 박제표본의 열화 실험결과 고습환경보다 고온환경에서 발생하는 유기화합물의 농도가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 보존제로는 나프탈렌을 사용한 표본에서 벤젠, 톨루엔, 자일렌과 p-디클로로벤젠이 검출되어 나프탈렌이 주요 유기화합물을 방출하는 요인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대패톱밥, 신문지, 폴리스틸렌폼을 사용한 표본에서도 유기화합물이 검출되 재료의 열화로 인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재료별 표본에서 암모니아가 검출되었는데 부패가 진행되어 검출된 것으로 보이며, 특히 고온열화에서 붕사를 사용한 표본이 나프탈렌을 사용한 표본보다 암모니아가 약 9배 높게 측정되었다. 이는 고온환경이 나프탈렌의 승화성을 가속시켜 살충·방충효과로 생물학적 피해를 예방한 결과라 판단된다. 나프탈렌은 발암 가능성 물질로 보존제로 사용할 경우 적정 사용관리가 필요하며, 박제표본은 제작기법에 따라 다양한 유기화합물이 방출할 수 있기 때문에 제작재료와 보존제 등의 조건에 따라 체계적인 보존관리방안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Biological materials, such as stuffed specimens, can release various acids or volatiles. There has been no research carried out on the emission characteristics of organic compounds generated from the preservatives used in taxidermy specimens or associated manufacturing materials and methods. Therefore, in order to identify the organic compounds generated from taxidermy specimens, a degradation experiment was conducted on specimens for each material and for storage specimens. To produce Ogye chicken specimens, naphthalene and borax were used as preservatives, and planer sawdust, newspaper, and polystyrene foam were used as the core body materials. The deterioration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2 weeks in a high-temperature environment(50℃) and a high-humidity environment (95%), with an Ogye chicken specimen (year 2015) kept in an animal storage facility. Results indicated that the concentration of organic compounds generated by the specimen in the high-temperature environment tended to be greater than that in the high-humidity environment. The preservatives benzene, toluene, xylene, and p-dichlorobenzene were detected in the specimens using naphthalene, confirming that naphthalene is a major organic compound release factor, and the specimens that used sawdust, newspaper, and polystyrene foam also exhibited organic compounds. This appears to have been due to degradation of the material. In addition, ammonia was detected in the specimens for each material due to decay. In particular, the specimens using borax at high temperature were subject to approximately 9 times higher rates of ammonia-related deterioration than the specimens using naphthalene. These results can be considered to result from the prevention of biological damage through insecticidal effects by accelerating the sublimation of naphthalene in a high-temperature environment. Naphthalene is a potentially carcinogenic substance, and when used as a preservative, proper use management is required. Taxidermy specimens can release various organic compounds depending on the manufacturing techniques used, so a systematic preservation management plan is required that depends on conditions such as the applicable manufacturing materials and preservative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기현.김용휘.임문순.박신영.홍윤정.최병선, 2006, 「음식물의 부패에 의한 악취발생 특성 및 미생물을 이용한 부패악취저감 연구」, 「한국환경분석학회지」, 9(2), pp.74~83.
  2. 김윤신.노영만.윤형훈.이철민.김기연.김종철.전형진.심인숙.이소민.김선덕.신병철, 2007, 「일부 지역의 박물관내 실내공기 오염물질의 분포 특성 실태조사」, 「한국실내환경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4, pp.209~292.
  3. 김일규.서용수.이주현, 2009, 「박물관 환경 분석을 통한 동산문화재 영향인자에 대한 연구」, 「대한환경공학회지」, pp.811~816.
  4. 박현수.이선우.차순우.홍승철.김화용.이종협, 2002, 「[하일라이트] 휘발성유기화합물 (VOCs)의 관리-배출량 산정 및 관리용 소프트웨어」, 「News & Information for Chemical Engineers」, 20(5), pp.498~503.
  5. 박현주.김조천.박병대.박강남, 2006, 「건조목재의 모노테르펜 배출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대기환경학회지」, 22(1), pp145~151.
  6. 배영동, 1998, 「박물관의 다종화와 전시방법의 다양화」, 「고문화학회지」, 52, pp.229~251.
  7. 오정우.이성경.강정훈.정용재, 2019a, 「자연사 표본 보존을 위한 박제기술의 유형분석」,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p.328.
  8. 오정우.이성경.현보라.손석준.정은영.공달용, 2019b, 「국내 박제술의 도입과 박제의 역할」, 「지질과학기술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p.140.
  9. 유지아.조하진.한예빈.이현주.이상진.정용재, 2015, 「플라스틱 작품 포존을 위한 열화 특성 연구」, 「보존과학회지」, 31(2), pp.87~94. https://doi.org/10.12654/JCS.2015.31.2.01
  10. 이민재.김시원.성지훈.유수정.장서영.강태구, 2019, 「음식물 부패 측정 용기 개발」, 「대한전기학회」, 워크샵, pp.143~144.
  11. 이병규.김행아, 2005, 「소형전기로를 이용한 플라스틱류 소각시 발생하는 VOCS 농도분석」, 「한국대기환경학회지」, 20(6), pp.759~771.
  12. 이병규.조정범, 2002, 「600℃에서 제지류 소각시 발생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 농도분석 연구」, 「한국환경과학회지」, 11(10), pp.1109~1116. https://doi.org/10.5322/JES.2002.11.10.1109
  13. 이정주.김신도.부문자, 1996, 「박물관 실내공기질 변동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위생학회지」, 22(4), pp.43~48.
  14. 이창진.조준오, 2010, 「한국 국립자연사박물관 설립 방안 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33(6), pp.656~670.
  15. 이희정.강대일, 2013, 「박제 표본의 보존환경에 따른 유해가스 방출 특성연구」, 「보존과학회지」, 29(4), pp.389~394. https://doi.org/10.12654/JCS.2013.29.4.09
  16. 전주현.김수향.선우영.신준섭.황인수.황나경, 2014, 「국내.외 실태 및 사례분석을 통한 생활소비재 VOCs 함유기준(안) 마련」,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p.64.
  17.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0, 「국립 자연사박물관 전시콘텐츠 연구」, 「크리홍보(주)」, p.146.
  18. Barbara, Z., C.S. John, H. Gregory, W.G. Alan, and R.P. William, 1996, 'Volatile organic compounds up to C20 emitted from motor vehicles; measurement methods', Atmospheric Environment 30(12), pp.2269~2286. https://doi.org/10.1016/1352-2310(95)00116-6
  19. Graham, L.U.C.I.E., 2014, 'A different approach for treating skin loss on taxidermy. In: /ICOM Committee for Conservation', 17th Triennial Conference, pp.15~19.
  20. Kim, M., H. Lee, and Y.C. Park, 2021, 'Colorimetric Sensing Behavior of Curcumin Printed on Paper and Cotton Fabric',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65(4), pp.260~267. https://doi.org/10.5012/JKCS.2021.65.4.260
  21. Lee, J.Y. and D.A. Lane, 2009, 'Unique products from the reaction of naphthalene with the hydroxyl radical', Atmospheric Environment 43(32), pp.4886~4893. https://doi.org/10.1016/j.atmosenv.2009.07.018
  22. Martellini, T., Berlangieri, C., Dei, L., Carretti, E., Santini, S., Barone and A. Cincinelli, 2020, 'Indoor level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t Florentine museum environments in Italy', Indoor air 30(5), pp.900~913. https://doi.org/10.1111/ina.12659
  23. Parmela B. and Hatchfield, 2002, 'Pollutants in the museum environment; Sources of pollutants in the museum environment', Archetype Publications, p.5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