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Jeonghyesa Temple reconstructed at Yesan by Mangong and the meaning of the creation of the stone standing Avalokiteśvara statu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일제강점기 만공(滿空)의 예산 정혜사 중창과 석조관음보살입상 조성의 의미

  • Lee Jumin (Cu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 Received : 2022.07.07
  • Accepted : 2023.01.18
  • Published : 2023.03.30

Abstract

This paper deals with the stone standing Avalokitesvara statue in Jeonghyesa Temple that was created by Mangong in 1924. The stone standing Avalokitesvara statue of Jeonghyesa Temple is the earliest extant Buddha statue produced by Mangong, and symbolism was given to Jeonghyesa in the process of its reconstruction. So far, there has been no study that has approached ideas and beliefs through Buddhist studies led by Mangong and specific relics. In order to proceed with this study, Mangong's legal words and anecdotes and newspaper article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were used to trace the dynamics of Jeonghyesa and Sudeoksa during Mangong's reign,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btained from the creation of the large Bodhisattva statue and the meaning of its location. In addition, an interview was attempted with the descendants of master, who were in charge of the sculpture at the time, to confirm the exact construction period and the list of craftsmen. It is judged that the stone standing Bodhisattva statue of Gwanchoksa Temple has been influenced by the double covering and square crown seen in the standing stone statue of Avalokitesvara Bodhisattva of Jeonghyesa Temple, the large hands compared to the body, the proportion between the head and the body, and the sense of enormity felt in the body like a stone pillar. Therefore, we looked at how the standing stone Bodhisattva statue of Gwanchoksa Temple, which was produced in the early Goryeo Dynasty, could have influenced the creation of the Bodhisattva statue in the modern period. A multilateral analysis was attempted on how the image of the Gwanchoksa Bodhisattva statue, which was used as a symbol representing Chungcheongnam-do in the Chosun Exposition held in 1929 and the visit to Gwanchoksa Temple, which began with the laying of the railroa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as used from the viewpoint of the succession and transformation of the style. With this study as an opportunity, it is hoped that the understanding of the prehistoric Mangong representing the modern period and the horizon of Korean Buddhist sculpture research in the modern period will be broadened.

본 논문은 만공이 1924년에 조성한 정혜사 석조관음보살입상에 대해 다루고 있다. 정혜사 석조관음보살입상은 만공이 제작한 현존하는 가장 이른 시기의 불상으로, 정혜사가 중창되는 과정에서 상징성이 부여된 작품이다. 지금까지 만공이 주도한 불사와 구체적 유물을 통해 사상과 신앙에 접근한 연구는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만공이 남긴 법어와 일화 및 일제강점기 신문기사 등을 활용하여, 만공이 주석하던 시기 정혜사와 수덕사의 역학 관계를 추적하고 대형 보살상 조성으로 얻은 효과와 그 조성 위치가 갖는 의미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당시 조각을 담당했던 석장 후손과의 면담을 시도하여 정확한 공사 기간과 장인의 명단을 확인하였다. 정혜사 석조관음보살입상에서 보이는 이중보개와 방형보관, 신체에 비해 크게 표현된 손, 두부와 신체의 비례, 석주(石柱)와 같은 체구에서 느껴지는 괴량감 등은 관촉사 석조보살입상에서 영향을 받은 것으로 판단하여 고려 초기에 제작된 관촉사 석조보살입상이 어떻게 근대기 보살상 조성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었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일제강점기 철도 부설을 계기로 시작된 관촉사 참배와 1929년에 개최된 조선박람회에서 충남을 대표하는 상징으로 활용된 관촉사 보살상의 이미지가 양식의 계승과 변용이라는 관점에서 어떻게 활용되었는지 다각적인 분석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를 계기로 근대기를 대표하는 선사 만공에 대한 이해와 근대기 한국 불교조각 연구의 지평이 넓어지길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논산시, 2017, 「논산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 정밀실측조사보고서」, p.186.
  2. 문화재청.불교문화재연구소, 2008, 「한국의 사찰문화재-경상북도II-1」, p.442.
  3. 문화재청.불교문화재연구소, 2009, 「한국의 사찰문화재-경상남도I-2」, p.405.
  4. 문화재청, 2014, 문화재위원회(근대문화재분과) 제5차 회의자료, p.159.
  5. 부여군, 2018, 「부여 대조사 석조미륵보살입상 정밀실측조사보고서」, p.258.
  6. 성보문화재연구원, 2007, 「韓國의 佛畫 13: 金山寺 本末寺篇」, p.82.
  7. 성보문화재연구원, 2007, 「韓國의 佛畫 17: 法住寺 本末寺篇」, p.163.
  8. 성보문화재연구원, 2007, 「韓國의 佛畫 22: 桐華寺 本末寺篇(下)」, p.32.
  9. 성보문화재연구원, 2007, 「韓國의 佛畫 29: 龍珠寺 本末寺篇(下)」, p.54.
  10. 서울역사박물관, 일제강점기, 「朝鮮博覽會紀念寫眞帖」, 1929.
  11. 서울역사박물관, 2011, 「운현궁 생활유물IX」, pp.62~63.
  12. 古鏡 감수, 申恩英 역주, 2016, 「金魚 金容日燮의 年譜」, p.110.
  13. 滿空門待會 編, 1983, 「(滿空法語) 보려고 하는 자가 누구냐」, 도서출판 妙光, p.103.
  14. 만공 월면 선사, 2016, 「滿空法語 나를 생각하는 자가 누구냐」, 비움과 소통, p.100.
  15. 최선일 외, 2016, 「관촉사사적기」, 온샘, pp.247~263.
  16. 최선일 편, 2018, 「덕숭총림 수덕사 본말사 문헌집」上, 온샘, p.87.
  17. National Geographic Society, 1924, The National Geographic Magazine Volume 46 Number 4, p.356.
  18. 김광식, 2015, 「우리 시대의 큰스님」, 인북스, pp.34~42.
  19. 김경집, 2009, 「만공의 선학원 활동과 선풍 진작」, 「경허.만공의 선풍과 법맥」, 조계종출판사, pp.135~170.
  20. 金英希, 2009, 「金容 日燮(1900-1975)의 佛敎彫刻 硏究」,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83~84.
  21. 김종명, 2004, 「만공의 선사상-특징과 역할-」, 「종교연구」 34, pp.208~209. https://doi.org/10.1002/biuz.200490062
  22. 金春實, 2012, 「韓國 如來像의 着衣 形式 변천」, 「중원문화연구」 제18.19집, pp.285~320.
  23. 박해당, 2001, 「만공의 법맥」, 「德崇禪學」 3, pp.135~176. https://doi.org/10.24112/ijccpm.31416
  24. 宋殷錫, 2001, 「朝鮮後期 佛菩薩像의 着衣法」, 「조선후기조각전」, 호암미술관, pp.106~107.
  25. 송은석, 2021, 「慶州 南山 三陵溪 第2寺址 石造佛坐像의 服制와 着衣法」, 「美術史學」 41, pp.23~26. https://doi.org/10.14769/jkaahe.2021.02.41.7
  26. 신은영, 2016, 「향유와 보호의 역설-'은진미륵'의 근현대 역사 경험」, 「미술사논단」 42, pp.107~130. https://doi.org/10.14380/AHF.2016.42.107
  27. 申恩英, 2016, 「金魚 金容日燮의 「年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139.
  28. 오경후, 2009, 「경허.만공의 법맥과 한국불교에 미친 영향」, 「경허.만공의 선풍과 법맥」, 조계종출판사, pp.277~313.
  29. 유근자, 2017, 「묵담스님과 담양 용화사 불교조각」, 「묵담 대종사, 그의 선.교.율」, 묵담대종사문도회, pp.415~416.
  30. 이덕진, 2001, 「만공이 현대 한국선에 미친영향」, 「德崇禪學」 3, pp.177~227.
  31. 이덕진, 2009, 「만공 스님의 수행 가풍과 간화선의 진작」, 「경허.만공의 선풍과 법맥」, 조계종출판사, pp.171~235.
  32. 이은윤, 2000, 「滿空의 禪世界와 미래문명의 비전」, 「德崇禪學」 2, pp.143~182.
  33. 이재헌, 2001, 「만공선사와 독립운동」, 「德崇禪學」 3, pp.103~133.
  34. 이현희, 2000, 「편삼 착의법 연구」, 「문물연구」 4, pp.165~190.
  35. 정광호, 1989, 「近代 韓日佛敎 關係史 硏究: 日帝의 植民地政策과 관련하여」,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103.
  36. 최병헌, 2009, 「근대 한국불교의 선풍 진작과 덕숭총림」, 「경허.만공의 선풍과 법맥」, 조계종출판사, pp.19~35.
  37. 최선일.태진, 2016, 「논산 관촉사 석불의 시기별 존명(尊名) 인식의 변천」, 「관촉사사적기」, 온샘, pp.247~263.
  38. 崔宣一, 2020, 「공주 마곡사 명부전 불상 연구」, 「美術資料」 98, pp.140~141.
  39. 崔宣一, 2020, 「보응문성 작 정읍 약수암 소조관음보살좌상 연구」, 「불교미술사학」 30, pp.100~101.
  40. 최성은, 1997, 「당말오대와 요대의 원통형 고관 보살상에 대한 일고찰: 고려초기 고관형 보살상과 관련하여」, 「강좌미술사」 9, p.9.
  41. 효탄, 2001, 「만공의 선사상」, 「德崇禪學」 3, pp.59~101.
  42. 황인규, 2009, 「근대 비구니의 동향과 덕숭총림 비구니들」, 「경허.만공의 선풍과 법맥」, 조계종출판사, pp.239~275
  43. 黃貞洙(泰震), 1998, 「鏡虛.滿空의 禪思想 硏究-德崇山門 形成을 中心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불교학과 박사학위, pp.1~208.
  44. 東亞日報, 1926.09.02.
  45. 朝鮮中央日報, 1933.07.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