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소아 천식의 한약 치료에 대한 임상연구 동향 - 중의학 무작위 대조군 임상시험을 중심으로

Trends in Clinical Research on Herbal Medicine Treatment in Pediatric Asthma - Focusing on Randomized Controlled Clinical Trials i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 서린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
  • 장수비 (부산대학교한방병원 한방소아과) ;
  • 최봄 (부산대학교한방병원 한방소아과) ;
  • 최봄 (부산대학교한방병원 한방소아과) ;
  • 천진홍 (부산대학교한방병원 한방소아과)
  • Seo Lin (School of Korean Medicine, Pusan National University) ;
  • Jang Subi (Department of Korean Pediatrics, Pusan National University Korean Medicine Hospital) ;
  • Choi Bom (Department of Korean Pediatrics, Pusan National University Korean Medicine Hospital) ;
  • Choi Bom (Department of Korean Pediatrics, Pusan National University Korean Medicine Hospital) ;
  • Cheon Jin Hong (Department of Korean Pediatrics, Pusan National University Korean Medicine Hospital)
  • 투고 : 2023.10.31
  • 심사 : 2023.11.24
  • 발행 : 2023.11.30

초록

Objective This study analyzed randomized clinical trials (RCTs) on pediatric asthma using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TCM) to determine its efficacy and safety. Methods We searched electronic databases in English, Chinese, Japanese, and Korean and evaluated 35 articles published up to December 28, 2022. Based on data from the literature, we analyzed treatments, results, composition of herbal medicine, frequency of medicinal herbs, and decoction. Results TCM for pediatric asthma was compared to supportive therapy, inhaled corticosteroids, and standardized treatments. Of the 35 studies, 32 showed that TCM treatments were effective in alleviating asthma symptoms. Furthermore, TCM treatment was considered safe compared to common asthma treatments. Among the TCM treatments for pediatric asthma, the most frequent decoctions were Gamisaganmahwangtang (加味射干麻黃湯) and Saganmahwangtang (射干麻黃湯). Ephedra Herba (麻黄), Armeniacae Semen (杏仁), Asiasari Radix et Rhizoma (細辛), Belamcandae Rhizoma (射干) were herbs that were frequently used for asthma in TCM decoctions. Conclusion This review showed that TCM is effective in treating pediatric asthma. More clinical RCTs are needed to confirm the efficacy and safety of TCM treatment.

키워드

Ⅰ. Introduction

천식은 소아 청소년에게 흔히 발생하는 기도의 만성 염증성 질환으로 기관지 폐쇄가 특징적이다1). 미국에선 6백만명의 어린이들이 천식을 앓고 있고, 국내의 경우 6세부터 13세 미만의 소아 청소년 천식 유병률은 7.4%∼10.2%로 보고된다1,2). 지속적인 연구와 치료방법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국내 소아 천식 유병률은 과거 1998년 1.7%에서 2021년 2.4%로 꾸준한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3). 그러므로 천식으로 인한 활동의 제한과, 그로 인한 사회적, 정서적 제한으로 발생하는 삶의 질 저하를 막기위해 적극적인 치료와 관리가 필요하다.

천식의 대표적인 증상은 호흡곤란, 기침, 천명 등으로, 기도 과민성 (bronchial hyperresponsiveness)에 의해 기관지가 때때로 좁아져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 기도 과민성은 알레르기 항원이나 자극 물질에 의해 일어나는 기도의 염증성 반응으로, 반응의 정도가 심할수록 중증도가 높아진다고 알려져 있다5). 천식의 치료로 조절 상태에 따른 단계별 치료방침이 제안되는데, 증상에 따라 증상 완화제와 질병 조절제가 사용되고 있다. 증상 완화제로는 속효성 흡입 베타-2 항진제 등이 사용되며, 질병 조절제로는 흡입용 스테로이드제(Inhaled corticosteroids; ICS)가 사용되고 있다6). 그러나 ICS의 지속적인 투여는 급성 천식 증상의 완화에는 효과적이나, 예방과 완치에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7). 또한 ICS의 국소 부작용으로 구인두 캔디다증이나 목소리 변성 등이 있는데, 발생빈도는 각각 전자가 5~10%, 후자가 최대 30%까지 보고되고 있으며, 드물게 상기도 자극에 의한 간헐적 기침이 발생할 수 있다8). 일반적으로 소아에서 저용량 ICS는 심각한 전신 부작용과 관련이 없고 안전하다고하나, ICS 치료 초기 1-2년 동안 성장 속도가 감소할 수 있고, 특히 고용량 ICS 치료를 시행한 소아에서 부신 위기가 발생할 위험이 있기 때문에 주의 깊은 모니터링이 필요하다9).

기존 천식 치료의 한계와 부작용을 한의학적 치료를 통해 보완하고 해결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국내의 경우, 천식의 한의 치료 연구는 마황정천탕 (麻黃定喘湯)에 대한 무작위 대조군 임상시험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CT)10) 외 대체로 전후 비교 연구 (Before-and-after study)였으며, 청상보하탕 (淸上補下湯)이 최다빈도 처방으로 나타났다6). 그 외 기관지천식 증상 완화 목적으로, 자하거 약침11,12)과 도침13)을 활용한 증례가 보고된 바 있다. 그러나 근거수준이 낮은 증례보고가 다수이고 체계적으로 설계된 소아 대상 연구가 부족하다는 한계가 있다. 국외에선 중국과 미국, 유럽 등지에서 소아 천식에 대한 한의학적 치료로 한약, 침구, 추나 등을 이용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중에서 한약 치료에 대한 연구가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14).

한편, 2015년 방 등14)이 소아 천식 치료에 대한 국외의 보완대체의학 임상 연구 동향을 분석한 바 있으나, 이후로도 소아 천식의 한약 치료에 대한 임상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어 최신 연구 동향을 정리해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2014년부터 2022년까지 최근 8년 동안 발표된 중의학(Traditional Chinese medicine, TCM) 논문을 중심으로 소아 천식의 한약 치료에 대한 연구의 최신 동향을 분석하여 향후 연구 및 임상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Ⅱ. Materials and methods

1. 검색원과 검색 전략

검색원으로 영문 데이터베이스는 Pubmed, Excerpta Medica dataBASE (EMBASE)를 사용하였다. 검색한 한국 데이터베이스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전통의학정보포털 (Oriental Medicine Advanced Searching Integrated System, OASIS), 한국학술지인용색인 (Korea Citation Index, KCI)을 사용하였다. 중국 데이터베이스는 중국학술정보원 (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 CNKI)을 사용하였다. 사용한 일본 데이터베이스는 Citation information by National Institute of Informatics (CiNii)이었다.

검색은 2014년부터 2022년 12월 28일까지 출판된 논문을 대상으로 하였고 방 등14) (2015)의 논문과 겹치는 연구는 제외하였다.

검색 전략은 영문 데이터베이스인 Pubmed, EMBASE의 경우 ‘TCM’, ‘Herbal’, ‘Chinese medicine’과 ‘Asthma’의 내용을 포함하도록 검색하였고 연령으로는 AGE의 ‘Child’ (Birth to 18 years)를 선택하고 Article type에선 ‘Randomized Controlled Trial’을 조건으로 수립하였다. 한국 데이터베이스의 검색어로는 ‘소아천식’과 ‘한의학’을 포함하여 설정하였다. 중국 데이터베이스의 검색 전략으로 ‘Asthma’, ‘RCT’, ‘Child’, ‘TCM’, ‘儿童哮喘’, ‘小儿哮喘’, ‘小儿急性’ 및 ‘小儿支气管’이 포함되는 검색어를 설정하였다. 일본 데이터베이스 검색어로는 ‘小児喘息’과 ‘漢方’의 내용이 포함되도록 설정하였다.

2. 문헌 선정 및 제외 기준

연구 대상 문헌의 선정기준으로는 (1) 천식으로 진단받은 생후 6개월부터 18세 이하의 소아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 (2) 한약 치료를 실시한 연구, (3) 임상연구로 한정하였다. 제외기준으로는 (1) 만 18세가 넘는 연구대상자가 포함된 연구, (2) 천식으로 진단받지 않은 연구대상자가 포함된 연구, (3) Clinical study가 아닌 논문, (4) Clinical trial 논문, (5) 통계학적 데이터가 없는 논문, (6) 한약 치료를 사용하지 않은 연구, (7) 한약 외 침, 추나, 뜸 등의 다른 한의학적 중재를 병행한 연구로 설정하였다.

3. 자료 추출 및 분석

총 35편의 문헌을 출판 연도 순으로 정렬하였다. 데이터는 포함된 문헌으로부터 저자, 출판 연도, 표본 수, 성별 및 연령 등 인구집단의 세부 사항과 질병 이환기간, 탕약명 및 치료 방법, 치료 기간, 추적 기간, 치료율, 평가지표, 치료 결과, 이상반응 내용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였다. 또한 치료에 사용된 한약 처방의 구성과, 천식에 활용된 다빈도 처방을 분석하였고, 처방에 사용된 약재들을 빈도 순으로 요약하였다.

Ⅲ. Results

1. 문헌 선정

검색 결과 총 692건의 문헌이 검색되었고, 그 중 29건의 중복된 문헌을 제외하고 제목과 초록을 검토하여 61편의 논문을 선별하였다. 그 후 전문 검토를 통하여 선정기준에 맞지 않는 26편의 문헌을 제외하여 최종적으로 35편의 문헌을 본 연구의 분석대상으로 포함하였다 (Figure 1)

HHSSB3_2023_v37n4_70_f0001.png 이미지

Figure 1. Flow chart of study selection process

2. 연구 설계

선정된 연구는 모두 치료군과 대조군을 비교한 RCT 연구였으며 이 중 한약 치료군과 양약 치료군을 비교한 연구가 3편25,27,35), 한약 치료 및 양약 치료 병용군과 양약 치료를 비교한 연구는 10편15,18,22,24,26,30,41,46-48)이었다. 한약 치료와 양약 치료 및 보조적 치료 병용군과 양약 치료 및 보조적 치료 병용군을 비교한 연구는 20편16,17,19-21,23,28,31-34,36-40,42-45)으로 가장 많은 수를 차지했다. 그리고 한약 치료와 placebo를 비교한 연구가 1편29), 한약 치료와 보조적치료를 비교한 연구가 1편49)이었다.

3. 연구의 특성

연구 대상자의 수는 최소 55명46)에서 최대 224명24)으로 다양했으며, 100명 이상, 200명 미만의 연구는 20편15-20,23,25,27,28,31,32,35,37,39,41-43,47,49)이었고 200명 이상의 연구도 1편24) 포함되어 있었다. 나이는 생후 6개월부터 최대 18세까지 다양한 연령분포를 보였다.

4. 치료방법 및 치료내용

선정된 연구 중 탕약을 사용한 연구가 26편으로 가장 많았고 산제를 이용한 연구가 2편15,26), 과립을 이용한 연구가 7편18,25,29,40,41,46,47) 이었다 (Table 3).

각 연구에서 활용된 처방의 구성 약재들을 살펴보면 마황 (麻黃)이 28회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행인 (杏仁)이 18회, 세신 (細辛)이 12회, 사간 (射干)이 11회, 자완 (紫莞)이 9회, 황기 (黃芪)가 9회로 나타났다 (Table 4).

5. 치료기간

치료기간은 최소 3일에서 최장 24주로 다양했으며 기록이 없는 논문도 1편41) 존재했다. 이들 중 7일 이하의 치료기간을 가진 논문은 10편16,18,20,23,28,40,44,45,48,49), 8일에서 2주까지의 치료기간을 가진 논문의 수는 10편 17,22,27,31,33,36-38,42,43), 3주에서 4주를 치료기간으로 한 논문의 수는 4편19,21,32,46), 그리고 한달 이상 치료한 논문의 수는 10편15,24-26,29,30,34,35,39,47)이었다.

6. 추적 기간

선정된 논문 중에서 추적 기간을 갖고 조사한 연구는 2편15,47)이었다. 2편 모두 3달 이상의 추적 기간을 가졌고 24주 간의 추적을 한 연구는 1편47)이었다.

7. 평가 지표 및 평가 결과

35편의 연구 중 3편15,26,29)을 제외한 32편의 연구에서 총유효율을 평가지표로 사용하였다. 32편의 연구에서 치료군의 총유효율이 대조군의 총유효율에 비하여 높다고 보고하였으며 4편17,18,23,27)의 연구에서 통계적으로 유효하지 않은 결과를 보였다 (p > 0.05) (Table 1).

Table 1. Characteristics of the Included Studies

HHSSB3_2023_v37n4_70_t0004.png 이미지

T: Treatment, C: Control, M: Male, F: Female, BAEA: Biochemical analysis of enzyme activity, C-ACT: Childhood asthma control test, PFT: Pulmonary function test, SE: Side effects, NR: Not reported, TER: Total effective rate, HP: Hospitalization period, CAA: Coughing and asthma alleviation, WAL: Wheezing alleviation in lung, XRTLS: X-ray resolution time of lung shadows, RR: Recovery rate, SPT: Sputum, NA: Nocturnal asthma, RD: Respiratiory distress, RECR: Recurrence rate, IEL: IgE and EOS level, EL: EOS level, SDT: Symptom disappearance time, DS: Daytime symptom, ND: No difference, AA: Asthma attack, AR: Airway resistance, PPO: Partial pressure of oxygen in the blood, PPC: Partial pressure of carbon dioxide in the blood, IFT: Imflammatory facter test

d: day, w: week, m: month, y: year

* : P < 0.05, ** : P < 0.01, ***: P < 0.001, : P > 0.05, : P value is not described

총유효율 외에 생화학적 효소활성도의 분석, 소아의 천식 조절 검사 (Childhood Asthma Control Test, C-ACT), 폐 기능 검사 (Pulmonary Function Test, PFT), 입원기간, 기침 및 천식 완화, 가래 완화, X-ray 음영 소실, 회복률, 천명음, 낮 시간 증상, 야간 천식 증상, 호흡곤란, 재발률, Immunoglobulin E (IgE) 및 호산구 (Eosinophil, EOS), 증상소실 시간, 기도 저항, 혈액 산소 분압, 이산화탄소 분압, 염증시험의 19개의 평가지표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Table 1). 총유효율을 표시하지 않은 3편15,26,29)의 연구를 제외한 모든 연구에서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지표 개선의 유효한 결과를 보였다.

8. 안전성

안전성에 대해서는 14편15,17,26,29,32,35,39,42-48)의 논문이 부작용에 대해 언급하였고 이중 7편15,29,32,35,46-48)의 연구에서는 부작용이 없다고 보고하였다 (Table 1). 나머지 7편17,26,39,42-45)의 연구에서 보고된 부작용으로는 한약 치료와 양약 치료 및 보조적 치료 병용군과 양약 치료 및 보조적 치료 병용군을 비교한 연구에서 한약이 포함된 실험군은 메스꺼움 13건, 불면 13건, 구토 및 복통 9건, 발진 9건, 부정맥 6건, 피부통증 및 홍반 4건, 설사 3건, 미각상실 2건, 어지럼증과 두통 1건, 인후부 불편감 1건, 목쉼 1건, 묽은 변 1건, 진전 1건, 그외 기타 3건이 있었고 대조군에서는 입마름과 목쉼 14건, 불면 10건, 발진 10건, 메스꺼움 9건, 부정맥 4건, 어지럼증과 두통 2건, 인후부 불편감 1건, 복통 1건, 설사 1건, 미각상실 1건, 진전 1건이 있었다17,39,42-45). 한약 치료 및 양약 치료 병용군과 양약 치료를 비교한 연구에서 한약이 포함된 실험군은 Aspartate aminotransferase(AST) 및 Alanine aminotransferase (ALT)의 증가 2건, 악성진행이 1건, 습진 1건이 있었고 양약치료군에서는 기록이 1건 있었지만 환자기준에서 벗어나 제외되었다26).

Table 2. Composition of Herbal Medicine

HHSSB3_2023_v37n4_70_t0001.png 이미지

Ⅳ. Discussion

소아 천식은 전 세계의 어린이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흔하지만 치명적인 질병으로 기도 과민성 및 가역적인 기관지 폐쇄, 만성 기도 염증 등의 특징을 보인다1). 만성적인 기도의 염증으로 여러 가지 다양한 자극에 대한 기도의 반응성이 증가되어 호흡곤란, 천명음, 발작적인 기침 등의 증상이 발생할 수 있고, 증상 조절에 실패하는 경우 급속도로 악화되는 천식 발작이 일어나 호흡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5).

현재 천식 치료는 크게 질병 조절제와 증상 완화제에 기반하여 예방과 조절을 하고 있다. 가장 많이 사용하는 천식 예방 및 치료제는 항염증제로 ICS가 있으며, 이를 기준 치료로 삼고 천식 발작 시기에 투여한다1). 또한 류코트리엔 조절제 역시 항염증 작용을 하며, 염증에 의한 기도의 협착을 막아주어 천식 치료에 도움을 준다1). 또한 이외에도 β 아드레날린성 약물이나 항콜린제 혹은 메틸잔틴계 약물을 사용해 기관지를 확장시켜 호흡곤란이 생기는 것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것이 표준화된 치료로 사용되고 있다50). 그러나 ICS의 경우 골다공증, 부신 기능의 억제, 성장장애나 눈과 피부의 합병증 등의 전신 부작용 우려가 있으며, 소아에서 budesonide 400 μg/일 (또는 동등 효능 용량)을 초과하는 용량의 ICS를 사용할 경우 성장속도가 저하될 수 있다9,51). 현재 천식의 약물 치료는 뛰어난 효과를 보이고 있지만, 앞서 제시한 부작용과 성인이 된 후 재발률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안으로 한약 치료를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52).

천식의 한의학적 치료로 한약, 침, 추나, 첩부 요법 등의 다양한 연구들이 보고되었다14). 기존 연구에서 황기53,54)나 사간55)을 이용한 처방들이나 세신56), 마황10)이 들어간 한약들이 사용되었고, 침을 이용한 치료에서는 폐수 (肺俞, BL13)와 격수 (膈兪, BL17), 대추 (大椎, GV14) 등의 혈위를 이용한 치료가 주를 이루었다14). 이러한 치료를 통해 interleukin (IL)-4, IL-13, Tumor necrosis factor-α (TNF-α), IgE, EOS 등의 수치들이 감소되고, 기도 과민성이나 치료 약물의 사용 감소 등의 실질적인 임상 증상의 개선이 보고되었다57).

방 등14) (2015)은 소아 천식 치료에 대해 국외의 보완대체의학 임상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소아 천식에 한약 치료와 더불어 침 치료, 첩부 요법 등의 치료가 효과적임을 보고하였다. 그런데 현재 소아 천식의 발병률이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3)이고, 2015년 이후로도 소아 천식에 대한 새로운 임상 연구들이 다수 발표되었기에, 소아 천식의 한약 치료에 대한 최근 8년 간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 분석한 35편의 연구에서는 여러 종류의 탕약, 산제 및 과립제를 사용하였으며, 5편25,27,29,35,49)을 제외한 모든 논문에서 치료군에 한약치료를 양약치료 또는 양약 치료 및 보조적 치료와 병용하였다. 35편의 연구 중 32편의 연구에서 천식 치료에 대한 한약치료의 유효성을 보고하였으며, 이를 총유효율의 평가지표를 통해 확인하였다. 한약 치료를 병행하는 경우, 기존의 양약 치료 및 보조적 치료만 사용하는 것보다 유의미한 호전율을 보였고, 면역학적 지표 물질의 유의미한 개선을 보였다. 또한 병용 치료 이외에 한약 단독 치료의 경우에도, 기존 양약 치료에 비해 총유효율 측면에서 보다 유의미한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25,27,35). 또한 한약 치료와 병행했을 경우, 기존의 양약 치료만 시행했을 때보다 재발률이 낮은 것으로 나타나, 한약 치료가 기존 치료를 보다 효과적으로 만들어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18,20). 이를 통해 소아천식 치료에 대하여 기존의 양약 치료나 보조적 치료와 한약 치료를 병행하는 것이 재발률의 감소와 치료 효율 상승 측면에서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위 연구들에서 가장 다빈도로 활용된 처방은 가미사간마황탕 (加味射干麻黃湯)과 사간마황탕 (射干麻黃湯)으로 각각 3회 사용되었으며, 가미소청룡탕 (加味小靑龍湯), 정천탕가감 (定喘湯加減), 마행감석탕가감 (麻杏甘石湯加減), 소청룡탕 (小靑龍湯), 옥병풍산 (玉屛風散)이 각 2회, 그리고 나머지 처방들이 각 1회씩 쓰였다 (Table 3). 가감방의 원방을 기준으로 보면 사간마황탕이 7회, 정천탕이 5회, 마행감석탕이 5회, 소청룡탕이 4회 사용되었다 (Table 3). 사간마황탕은 mucin 분비를 억제하고 호흡기 평활근의 수축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으며58), 정천탕은 哮喘을 치료하고 肺虛로 인한 久喘을 치료할 때 쓰인다고 알려져 있고, IgE 및 비만 세포로 유도되는 천식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었다10,59). 마행감석탕은 ≪傷寒論≫에 “汗出而喘, 無大熱者, 可與麻黃杏仁甘草石膏湯”라고 설명되고 있으며, 말초 혈액의 단핵구 세포와 면역세포의 cytokine을 개선하는 역할이 보고되었다60). 소청룡탕은 解表散寒, 溫肺和痰, 止咳平喘의 효과를 지니며, 말초 혈액의 호산구수와 IgE, T 림프구 개선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61).

Table 3. Frequency of Decoction in Studies

HHSSB3_2023_v37n4_70_t0002.png 이미지

각 연구에서 사용된 한약 처방의 약재별 빈도를 분석한 결과, 가장 많이 사용된 약재는 麻黃으로 총 28회 사용되었다 (Table 4). 마황은 發汗解表藥으로 ephedrine, pseudoephedrine 등을 주성분으로 하며, 교감신경계에 작용하여 항천식 효과, 관상동맥, 뇌, 근육, 피부 및 신장 등의 혈관 이완 작용, 중추신경계 흥분 작용, 발한 및 발열 작용을 갖는다62). 그 다음으로 행인이 18회 사용되었는데, 降氣止咳平喘의 효능이 있어 咳嗽, 胸悶痰多를 치료한다고 알려져 있다. 행인은 chemokine이나 EOS에 대한 억제효과가 있어 기관지 과민이나 기도의 만성 염증성질환에 도움을 준다고 보고되었다63). 그 다음 세신은 12회 사용되었는데, 發汗解表藥으로 祛風散寒, 通竅止痛, 溫肺化飮하는 효능이 있어 두통, 感冒, 鼻塞 등에 사용한다. 세신의 경우 염증 억제와 항산화 반응, 항알레르기 효과 및 혈관 평활근 조절 작용이 알려져 있으며, 천식 증상을 억제하고 면역작용을 갖는 것으로 보고되었다64). 11회 사용된 사간은 祛痰利咽하고 淸熱解毒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분석에 포함된 연구들은 위의 처방들과 구성 약재들이 소아 천식 치료에 효과적임을 대규모 임상 시험을 통해 확인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able 4. Frequency of Medical Herbs Composing Herbal Medicine

HHSSB3_2023_v37n4_70_t0003.png 이미지

한약 치료와 약물치료의 부작용을 비교하기 위해 안전성 평가를 확인한 결과, 보고된 부작용의 증상은 구토와 복통, 목이 쉼 등 경미한 증상이 주를 이루었다. 부정맥이나 진전 같은 증상의 경우, 한약 치료 및 양약치료 병용군과 양약 단독 치료군 모두에서 보고되어 한약 치료 단독으로 인한 부작용이 아님을 알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한약 치료는 양약치료를 사용하지 못하는 소아 천식에 적극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안전성에서도 문제가 없음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첫째, 분석에 포함된 논문이 모두 중국에서 출판되었으며, 타 지역의 경우 대규모 임상실험을 시도한 그룹이 많지 않았다. 호주에서 시행한 연구가 1편65)있었지만 단일 약재를 사용하였으며, 그 외 한약을 이용한 실험은 찾을 수 없었다. 따라서 소아 천식에 대한 한약 치료의 효과를 다인종에 대해 일반화하기 다소 어렵다고 볼 수 있다. 둘째, 각 평가지표들의 기준이 연구마다 약간씩 차이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일부 논문에서는 중요 데이터들을 보고하지 않거나 기준을 벗어난 대상을 부분 제외하는 경우를 보여 신뢰도의 문제가 있는 연구도 있었다29,35).

그럼에도 본 연구에 포함된 논문들은 소아 천식을 대상으로 많은 수의 모집단을 이용한 대규모 임상시험을 수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해당 논문들을 고찰하여 기존 양방 치료에 한약 치료를 병행하는 것이 소아 천식 증상 개선 및 재발률 감소 측면에서 양방 단독 치료보다 효과가 있었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향후 임상에서 소아 천식에 대한 한의학적 치료의 저변 확대를 위해, 체계적이고, 잘 통제된 한의학 임상 연구가 지속적으로 축적되어야 한다고 사료된다.

Ⅴ. Conclusion

본 연구에서 중국, 한국, 영문 데이터베이스 검색을 통하여 선정된 소아 천식에 대한 한약 치료의 무작위 배정 임상연구 35편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한약 치료는 주로 탕약의 형태로 사용되었으며, 가미사간마황탕과 사간마황탕이 각각 3회씩 가장 다빈도로 활용되었다. 사용된 약재의 빈도는 마황이 총 28회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그 다음으로 행인이 18회, 세신이 12회, 사간이 11회, 자완 9회, 황기가 9회로 사용되었다.

2. 32편의 연구에서 치료군이 대조군보다 효과가 좋았으며 이를 총유효율로 계산하여 보고하였으나, 그 중 4편17,18,23,27)의 연구에서 통계적으로 유효하지 않은 결과를 보였다.

3. 한약의 치료효과를 평가하는 주요 지표로 총유효율과 더불어 다양한 지표들이 활용되었으며 이들 지표 역시 한약을 포함한 치료군에서 대조군보다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한약 치료와 양약 치료를 병행하는 것이 소아 천식에 있어서 임상적 활용가치가 높다고 판단된다.

Ⅵ. Acknowledgment

본 연구는 2023년도 부산대학교병원 임상연구비 지원으로 이루어 졌음.

참고문헌

  1. Conrad LA, Cabana MD, Rastogi D. Defining pediatric asthma: phenotypes to endotypes and beyond. Pediatr Res. 2021;90(1):45-51. https://doi.org/10.1038/s41390-020-01231-6
  2. Lee Y, Choi J, Park MR, Kim J, Kim WK, Park YM, Lee SY, Han MY, Chae Y, Ham MI, Lee KJ, Kwon HJ, Ahn K. Analysis of regional prevalence of allergic diseases in Korean school children. Allergy Asthma Respir Dis. 2015;3(1):62-9. https://doi.org/10.4168/aard.2015.3.1.62
  3.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National Health Statistics [Internet].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2021 [Updated 2022 Dec; cited 2023 Jan 1]. Available from: https://knhanes.kdca.go.kr
  4. Hong CE. Textbook of pediatrics, 9th ed. Seoul: Korea Textbook Publishing Co. 2007;926.
  5. Han ER, Choi IS, Lee S, Cho YW. Airway hyper-responsiveness-related aeroallergens in suspected asthma. Korean J Asthma Allergy Clin Immunol. 2007;27(2):105-10.
  6. Park CS, Hong M, Ban JJ, Jeong HS, Choi JY. Review on herbal medications of asthma in domestic clinical research o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J Physiol & Pathol Korean Med. 2018;32(6):361-9. https://doi.org/10.15188/kjopp.2018.12.32.6.361
  7. O'Byrne P, Fabbri LM, Pavord ID, Papi A, Petruzzelli S, Lange P. Asthma progression and mortality: the role of inhaled corticosteroids. Eur Respir J. 2019;54(1):1900491.
  8. Lee JM. Inhaled corticosteroids in asthma. J Korean Med Assoc. 2007;50(10):894-902. https://doi.org/10.5124/jkma.2007.50.10.894
  9. The Korean Academy of Asthma,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 Korean Guideline for Asthma 2021 [Internet]. The Korean Academy of Asthma,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 [Updated 2023 Mar; cited 2023 Nov 22]. Available from: https://www.allergy.or.kr/content/community/post_view.php?bt=28&post_id=2447&page=1
  10. Park SJ, Choi NR, Kim K, Yoo JH, Lee SW, Joo JC. Clinical trial of herbal medicine formula Mahwangjeongcheon-tang on patients with asthmatic symptom: a preliminary study. J Sasang Constitut Med. 2013;25(4):373-83. https://doi.org/10.7730/JSCM.2013.25.4.373
  11. Kim SK, Han JH, Shum YS, Lee JH, Kim EG. The Clinical report of asthmatic patients with CVA by treatment of Homins Placenta aqua-acupuncture. J Pharmacopunct. 2004;7(3):123-9. https://doi.org/10.3831/KPI.2004.7.3.123
  12. Lee SY, Shin KM, Hong JM, Choi SY, Bae KR, Kim HK. The clinical study on the effect of Hominis Placenta pharmacopuncture on asthma. J Pharmacopunct. 2008;11(4):79-86. https://doi.org/10.3831/KPI.2008.11.4.079
  13. Lim KH, Kim KH, Lee JH. A case report of bronchial asthma patient complaining of cough improved with Korean medicine treatment: focusing on acupotomy. 2023;7(1):35-9.
  14. Bang MR, Kim JH, Min SY. The trends in foreign clinical trials for pediatric asthma in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J Pediatr Korean Med. 2015;29(3),1-11. https://doi.org/10.7778/jpkm.2015.29.3.001
  15. Chen XH, Li HJ, Zhang PH, Zhang HH, Guo HY. Treating chronic persistent bronchial asthma children with abnormal myocardial enzyme spectrum by Yupingfeng powder: an efficacy observation. Chin J Integr Med. 2014;34(5):518-21.
  16. An JF, Zhang JL, Liang PB, Zhang JH. Clinical observation on the treatment of cold asthma in children with modified Shegan Mahuang decoction. J Emerg Tradit Chin Med. 2014;23(1):121-2.
  17. Ma J. Clinical study on Yifei Huoxue prescription combined with western medicine in the treatment of acute exacerbation of bronchial asthma in children. J New Chin Med. 2014;46(10):149-51.
  18. Meng Y, Wang YP, Wu ZH. Observation on the efficacy of Shegan Dingchuan decoction in the treatment of asthma syndrome in children with phlegm-heat blocking the lungs. J New Chin Med. 2014;46(08):119-20.
  19. Wen NR, Huang H, Fan YL, Zhang YF. Curative effect observation of Small Qinglong decoction in treatment of cold type of bronchial asthma. Liaoning J Tradit Chin Med. 2015;33(12):2912-5.
  20. Xia HB, Liu HX, Peng XF. Ninety cases of children's bronchial asthma treated with decoction of Rhizoma Belamcandae and Herba Ephedrae. Henan Tradit Chin Med. 2015;35(07):1496-7.
  21. Fu WM, Ding XH, Liu HB. Dingchuan Zhike Decoction in the treatment of cough variant asthma in children and its effect on total serum IgE and EOS in patients. Matern Child Health Care China. 2015;30(31):5367-9.
  22. Wang YH. Observation on the efficacy of Maxing Shigan decoction in the treatment of phlegm-heat type cough variant asthma in children. J New Chin Med. 2015;47(04):196-7.
  23. Fu DZ, Sheng LX. Clinical observation of 78 cases of pediatric acute asthma treated with integrated traditional Chinese and western medicine. J Pediatrics of TCM. 2015;11(01):18-20.
  24. Chen YH, Wang XH, Hu J. Clinical observation of using Jiawei Xiaoqinglong decoction combined with budesonide atomization inhalation to treat 118 cases of pediatric asthma. J Sichuan Tradit Chin Med. 2015;33(03):112-4.
  25. Zhang LW, Reng MX, Xue GC, Shen LN, Xia H, Song YJ, Xia XX. Astragalus granule combined auricular point sticking for cough variant asthma in children. Chin J Integr Med. 2016;36(11):1308-11.
  26. Chan PH, To CY, Chan EY, Li H, Zhang X, Chow PY, Liu PL, Leung SY, Chan CH, Chan KY, Chan JY, Ng JP, Ng DK. A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trial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as an add-on therapy to oral montelukast in the treatment of mild persistent asthma in children. Complement Ther Med. 2016;29:219-28. https://doi.org/10.1016/j.ctim.2016.10.010
  27. Huang SH, Huang Y. Effects of modified Shegan Mahuang decoction on the improvement of lung function and serum LTD4 and NGF inflammatory factor levels in children with asthma. J Chin Med Mater. 2016;39(11):2649-51.
  28. Zhang Q. Clinical observation on the treatment of childhood asthma attacks with integrated traditional Chinese and western medicine. J Emerg Tradit Chin Med. 2016;25(06):1203-4.
  29. Geng Y, Wang W, Zhang J, Bi S, Li H, Lin M. Effects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herbs for tonifying qi and kidney, and replenishing spleen on intermittent asthma in children aged 2 to 5 years old. J Tradit Chin Med. 2016;36(1):32-8.
  30. Cheng Y. Observation on the efficacy of Seretide combined with Shegan Mahuang decoction in the treatment of chronic persistent bronchial asthma. Mod J Integrat Tradit Chin West Med. 2016;25(11):1200-2.
  31. Wen NR, Huang H, Zhang YF. Observation on the curative effect of anti-asthma soup in treating acute exacerbation bronchial asthma. World Chin Med. 2016;11(01):93-6.
  32. Wu YY. Clinical observation on curative effect of Jiawei Shegan Mahuang Tang in treatment of asthma in children and influences on serum MMP-2 and TIMP-1. Chin J Tradit Med Sci & Tech. 2017;24(05):564-6+603.
  33. Wang F, Jia YY, Yang Z, Wang K, Duan HB. Clinical evaluation of modified Shegan Mahuang decoction in the treatment of children with asthma and its effects on serum TGF-β1, NGF, interleukin family and pulmonary ventilation function. J Pediatrics of TCM. 2017;40(08):1969-71.
  34. Zhou TT, Yang XN. Curative observation of using singulair, atomization inhalation budesonide suspension liquid and modified Maxing Shigan decoction combination therapy in the treatment of infantile bronchial asthma. J Sichuan Tradit Chin Med. 2017;35(02):86-8.
  35. Du H, Wang Y, Yu J, Shi Y, Li S, Sun W, Zhang Y, Hu H. Prescriptions from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compared with salbutamol and montelukast for the treatment of pediatric asthma: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 Tradit Chin Med. 2017;37(4):522-9. https://doi.org/10.1016/S0254-6272(17)30159-0
  36. Li L. Clinical effect and immune function of integrated Chinese and western medicine on acute attack of bronchial asthma in children. World Chin Med. 2017;12(01):64-7.
  37. Liu H. Modified Shegan Mahuang decoction combined with aminophylline in the treatment of 57 cases of acute asthma attacks in children. Glob Tradit Chin Med. 2018;11(06):938-40.
  38. Wu J, Li J, Liu YT, Wan MZ. Clinical observation on Xiaoqinglong decoction combined with hormones in the treatment of children with mild to moderate acute asthma. Yunnan Chin Med J. 2018;41(01):74-6.
  39. Zheng ZY, Xu YJ. Effect of modified Dingchuantang on airway function, induced phlegm indexes and inflammatory factors in children with cough variant asthma of wind heat attacking lung syndrome. Chin J Exp Tradit Med Formul. 2019;25(13):87-92.
  40. Cui HQ, Shang LL. Clinical effects of Kechuanping granules in adjuvant therapy for bronchial asthma attack in children and its effect on the level of leukotriene. Chin Pediatr Integr Tradit West Med. 2019;11(06):483-7.
  41. Hao XL. Study on the curative effect of Qingfei Dingchuan method and relieving asthma in the treatment of children with acute attack of asthma and improving respiratory function in children. World Chin Med. 2019;37(03):101-3.
  42. Cai CS, Wang AM, Fang F, Ye L. Clinical efficacy of modified Maxing Shigan decoction combined with montelukast sodium in children with bronchial asthma. Chin Arch Tradit Chin Med. 2020;38(10):255-8.
  43. Shi HY, Xu L, Hao OM. Effect of modified Maxing Shigan decoction on T lymphocyte subsets, inflammatory factors and intestinal flora in children with acute exacerbation of bronchial asthma. Hebei J TCM. 2020;42(04):567-71.
  44. Zhang XX, Guan YN, Luo Y. Clinical observation on the treatment of heat asthma syndrome in children with asthma attacks by Xiaoer Zhike Dingchuan decoction combined with Pulmicolingshu aerosol inhalation. J Emerg Tradit Chin Med. 2020;29(04):692-4.
  45. Han GX, Shan YS, Han X. Clinical study on modified Maxing Shigan Tang combined with aerosol inhalation of terbutaline and budesonide for acute attack of bronchial asthma in children. J New Chin Med. 2020;52(13):32-5.
  46. Song GH, Peng MH, Zhang Y, Yu SP, Guan ZW, Sun MM. Clinical efficacy of modified Xiaoqinglong decoction on children with chronic sustained bronchial asthma and its influence on IL-6,IL-10 and SIgA. Liaoning J Tradit Chin Med. 2020;38(09):5-9.
  47. Wan J, Yu Z, Sun MT, Yang XZ. Clinical efficacy on Erchentang combined with Sanzi Yangqintang in treatment of cough variant asthma in children with phlegm evil accumulation lung syndrome. Chin J Exp Tradit Med Formul. 2021;27(10):58-63.
  48. Gong ZZ, Zhang S, Wang DJ, Zhang B, Wang P. Clinical study on Dingchuan Tang combined with nursing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bronchial asthma at acute exacerbation. J New Chin Med. 2021;53(09):157-60.
  49. Luo WJ, Chen M, Wang WB. Effectiveness of Zhixiao decoction in children with bronchial asthma, and its effect on serum levels of IL-13, IL-6, and IL-17. Trop J Pharm Res. 2022; 21(2):367-74. https://doi.org/10.4314/tjpr.v21i2.20
  50. Choi EJ. Latest research trends in asthma [Internet]. Biological Research Information Center; 2020 [Updated 2020 Sep; cited 2023 Jan 1]. Available from: https://www.ibric.org/myboard/read.php?Board=report&id=3606
  51. Janjua S, Schmidt S, Ferrer M, Cates CJ. Inhaled steroids with and without regular formoterol for asthma: serious adverse events.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19;9(9):CD006924.
  52. Seo H, Song HS, Yang SB. A case of Jaeumganghwa-tang and Gyeongok-go Korean medicine treatment for asthma patients. J Int Korean Med. 2022;43(3):493-501. https://doi.org/10.22246/jikm.2022.43.3.493
  53. Li S, Wang Y, Shi Y, Yu J, Sun W, Hu H, Zhang Y. Regulatory effects of stage-treatment with established Chinese herbal formulas on inflammatory mediators in pediatric asthma. J Tradit Chin Med. 2013;33(06):727-32. https://doi.org/10.1016/S0254-6272(14)60004-2
  54. Han JY, Cui JP. Effect of Biantong Huangqi ointment combined with western medicine on the recurrence of children's bronchial asthma. Chin J Integr Tradit Med. 2011;10:1346-8.
  55. Chen ZX, Hu GH. Effect of modified Shegan Mahuang decoction on cytokines in children patients with cough and variant asthma. Chin J Integr Tradit Med. 2010;30(2):208-10.
  56. Hwang WS, Chung KJ, Ju CY, Hong JP, Lee JS, Jung HJ, Rhee HK, Jung SK. The clinical effects of Socheongryong-tang in asthmatic patients. Korean J Orient Int Med. 2002;23(4):651-60.
  57. Du H, Wang Y, Shi Y, Yu J, Sun W, Zhang Y. Effect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on inflammatory mediators in pediatric asthma. Mediators Inflamm. 2016;2016:5143703.
  58. Sim SH, Lee JI, Jung YJ, Suh WG. The effects of Saganmahwang-tang and prescription C on airway mucin secretion. Korean J Orient Int Med. 2006;27(2):295-304.
  59. Son CG, Seol IC. The experimental study of Jungchun-tang on allergies. J Korean Med. 2003; 24(3):495-501.
  60. Park GB, Park YC. Effects of Mahaenggamseok-tang-gagambang on immune cells and cytokines in OVA-induced asthmatic mice. J Physiol & Pathol Korean Med. 2009;23(3):590-8.
  61. Hwang WS, Jung HJ, Ju CY, Lee JS, Lee KK, Rhee HK, Jung SK. A Study on changes in blood eosinophil, serum IgE and T lympocyte subpopulation after Sochongryongtang to asthmatic 9atients. J Int Korean Med. 2002;23(1):83-9.
  62. Shin YS, Jeong JK, Lee SI. An analysis of clinical studies on Mahwang-tang. J Herb Formul Sci. 2019;27(1):87-100.
  63. Ju CY, Jung HJ, Jung SK, Rhee HK. Armeniacae Amarum Semen contributes to the chemotaxis of eosinophils and secretion of chemokines in A549 human epithelial cells. J Int Korean Med. 2006;27(1):208-20.
  64. Jo SE, Kang JH, Lee H. The Immuno-modulatory effect of root of Asarum sieboldii Miq. water extract on OVA-induced asthma. J Acupunct Res. 2016;33(1):23-36. https://doi.org/10.13045/acupunct.2016003
  65. Qasemzadeh MJ, Sharifi H, Hamedanian M, Gharehbeglou M, Heydari M, Sardari M, Akhlaghdoust M, Minae MB. The effect of Viola odorata flower syrup on the cough of children with asthma: A double-blin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 Evid Based Complementary Altern Med. 2015;20(4):287-91. https://doi.org/10.1177/21565872155848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