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I 카메라를 활용한 공공도서관 이용자의 공간이용행태 분석 연구

Analysis of Space Use Patterns of Public Library Users through AI Cameras

  • 김규환 (인천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 정도헌 (덕성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투고 : 2023.10.25
  • 심사 : 2023.11.13
  • 발행 : 2023.11.30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AI 카메라를 활용한 공공도서관 이용자의 공간이용행태를 분석하는 것이다. AI 카메라의 얼굴 인식 및 추적 기술을 활용하여 이용자의 성별과 연령을 식별하였고 초단위 영상 데이터를 수집·정제하여 이용자의 이동 동선을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여성 이용자가 남성 이용자보다 조금 더 많았고 연령대는 30대가 가장 많았다. 이용자 수는 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증가하다가 토요일과 일요일에 감소하는 경향성을 보였고 오후 14시부터 15시 사이에 이용자 수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자들은 1개 또는 2개 공간만을 주로 이용하였는데 이 때에는 안내데스크를 이용하거나 휴게공간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제분야 서가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가 주제분야 서가를 이용하는 경우보다 약 2배 정도 많았다. 이용자들은 철학(100), 종교(200), 사회과학(300), 순수과학(400), 기술과학(500), 문학(800) 분야들을 주로 이용하였고 이중 문학(800)은 다른 모든 주제분야들과의 연결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용자들을 체류공간의 유사성에 따라 5개 군집으로 묶어본 결과, 군집 간에 이용 목적과 관심 주제분야에 차이가 있어 향후 도서관 서비스 기획에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향후 도서관에서 AI 카메라를 활용한 이용자의 공간이용행태 분석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높은 비용 및 개인정보 보호 문제의 해결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user behavior in library spaces through the lens of AI camera analytics. By leveraging the face recognition and tracking capabilities of AI cameras, we accurately identified the gender and age of visitors and meticulously collected video data to track their movements. Our findings revealed that female users slightly outnumbered male users and the dominant age group was individuals in their 30s. User visits peaked between Tuesday to Friday, with the highest footfall recorded between 14:00 and 15:00 pm, while visits decreased over the weekend. Most visitors utilized one or two specific spaces, frequently consulting the information desk for inquiries, checking out/returning items, or using the rest area for relaxation. The library stacks were used approximately twice as much as they were avoided. The most frequented subject areas were Philosophy(100), Religion(200), Social Sciences(300), Science(400), Technology(500), and Literature(800), with Literature(800) and Religion(200) displaying the most intersections with other areas. By categorizing users into five clusters based on space utilization patterns, we discerned varying objectives and subject interests, providing insights for future library service enhancements. Moreover, the study underscores the need to address the associated costs and privacy concerns when considering the broader application of AI camera analytics in library settings.

키워드

과제정보

본 연구는 인천대학교 2021년도 자체 연구비 지원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참고문헌

  1. Park, Sung Jae (2016). Analysis of library space use patterns to determine its optimum utiliz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3(1), 225-245. https://doi.org/10.3743/KOSIM.2016.33.1.225
  2. Park, Sung Jae (2019). Analyzing library space use patterns in a public library through smartphone Wi-Fi.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6(1), 295-313. https://doi.org/10.3743/KOSIM.2019.36.1.295
  3. Park, Sung Jae (2023). How do library visitors use spaces in a public library?.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57(1), 5-21. https://doi.org/10.4275/KSLIS.2023.57.1.005
  4. Anwar, S., Afriyani, A., Ula, P. S., Safriana, I., Fajri, I., & Ariska, R. (2017). Visitor behavior in the library of Syiah Kuala University based on their visiting time duration. EKSAKTA: Journal of Sciences and Data Analysis, 119-136. https://doi.org/10.20885/eksakta.vol17.iss2.art4
  5. Given, L. M. & Archibald, H. (2015). Visual traffic sweeps (VTS): a research method for mapping user activities in the library space.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37(2), 100-108. https://doi.org/10.1016/j.lisr.2015.02.005
  6. Mandel, L. H. (2010). Toward an understanding of library patron wayfinding: observing patrons' entry routes in a public library.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32(2), 116-130. https://doi.org/10.1016/j.lisr.2009.12.004
  7. Retscher, G. & Leb, A. (2021). Development of a smartphone-based university library navigation and information service employing Wi-Fi location fingerprinting. Sensors, 21(2), 432. https://doi.org/10.3390/s210204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