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자녀가 있는 여성 활동가들의 일·생활 경험과 요구 : B지역 여성단체 및 풀뿌리 여성조직의 활동가를 중심으로

Work and Life Experiences and Demands of Women Activists with Children : A Focus on Activists in Women's Organizations and Grassroots Women's Organizations in Area B

  • 김미영 (숙명여자대학교 가족자원경영학과) ;
  • 박미석 (숙명여자대학교 가족자원경영학과)
  • Kim, Mi Young (Dept. of Family & Resource Management, Sookmyung Women's University) ;
  • Park, Mee Sok (Dept. of Family & Resource Management, Sookmyung Women's University)
  • 투고 : 2023.06.27
  • 심사 : 2023.08.17
  • 발행 : 2023.08.31

초록

본 연구는 시민단체 활동가로서 살아가고 있는 자녀가 있는 여성들의 일과 다른 생활에서의 경험을 이해함으로써 그들의 지속가능한 일하는 삶의 조건은 무엇인지를 제시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B 지역에서 활동하는 자녀가 있는 여성 활동가 10명을 대상으로 초점집단면접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여성 활동가들이 활동하는 조직의 특성부터 여성 활동가로서의 다양한 경험, 자신의 일을 지속하기 위해 필요한 사회적 지원까지 이해할 수 있었다. 따라서 사회적으로 여성 활동가들의 노동에 대한 인식 변화부터 활동가들이 일을 지속할 수 있는 사회인프라 구축까지 다양한 측면에서의 고민이 이루어져야 하고 자녀가 있는 여성 활동가들을 위한 처우 개선 범위는 단순히 인건비로 한정되기보다는 더 확대될 필요가 있으며 그들이 일하는 조직의 특성과 요구를 고려한 다층적인 교육과 컨설팅이 제공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시민사회 여성 활동가들의 일·생활 경험과 요구를 통해 그들의 일하는 삶을 이해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고 여성 활동가들을 위한 사회적 지원의 범위를 생각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향후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조금 더 다양한 여성단체와 풀뿌리 여성조직에서 활동하는 여성 활동가들의 욕구를 파악하고 추가적인 분석과 논의를 담아내야 할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sustain the work of women activists with children by examining their work and life experiences and demands. This study focused on community-based institutions whose purpose was to spread gender equality and address gender issue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0 women activists working for women's organizations and grassroots women's organizations. By analyzing their interview responses, five topics were derived: the main activities and statuses of the women's organizations and grassroots women's organizations, the motivations for activities, the positive activity experiences that led to life as an activist, the factors that made it difficult to work, and the social support necessary to continue as an activist. The study results show that the work and life experiences and demands of civil society women activists provide the basis for understanding the lives of and scope of social support for women activists compared with women with jobs protected and supported by formal institutions. However, further analysis and discussion are required to identify the needs of more diverse women activists through continuous research in the future.

키워드

참고문헌

  1. 강경란(2013). 여성단체 활동가들의 풀뿌리 여성운동 조직경험 분석. 성공회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김복태.김은경.조경호(2016). 해외 여성정책 추진체계 조사연구.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3. 김복태.박성정.장윤선.하현상(2018). 양성평등 실현을 위한 여성NGO 현황 분석 및 활성화 지원방안.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4. 김복태.하현상(2020). 여성NGOs의 역량에 대한 탐색적 연구: Salamon의 4P역량을 중심으로. 한국공공관리학보, 34(1), 195-224. https://doi.org/10.24210/KAPM.2020.34.1.009
  5. 김선미.김소영(2010). 살기 좋은 마을의 거점에 관한 사례연구: 마을도서관과 아파트입주자대표회의의 가족친화적 활동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4(1), 73-96.
  6. 김양희(2017). 성주류화 관점에서 본 한국 ODA 사업의 실행. 한국정책학회보, 26(1), 95-120.
  7. 김은경(2008). 여성정책 거버넌스 유형에 대한 분석. 아시아여성연구, 47(1), 67-101.
  8. 김은경(2015). 젠더와 개발에 있어서 WID/GAD, 성 주류화 접근방식에 대한 고찰: 동남아시아 개도국에 대한 다자개발기구의 성평등 원조사례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아시아여성연구, 54(2), 137-172.
  9. 김이경(2022). A소비자생활협동조합 노동의 이중구조와 여성 활동가의 위치. 한국협동조합연구, 40(4), 7-31.
  10. 김희경(2017). 여성NGO의 역할과 조직의 자율성 간의 관계 연구. 여성연구, 95(4), 193-233. https://doi.org/10.33949/TWS.2017..4.006
  11. 김희경.이경숙(2014). 서울시 여성NGO 현황분석 및 지원방안. 서울시 여성가족재단 연구사업보고서.
  12. 문은미(2020). 울산지역 풀뿌리 여성소모임 실태조사 및 활성화 방안 연구. 울산: (재)울산여성가족개발원.
  13. 박은하(2020). 젠더거버넌스 운영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고찰-젠더거버넌스 행위자의 참여경험을 중심으로. 여성학연구, 30(2), 109-146. https://doi.org/10.22772/PNUJWS.30.2.202010.109
  14. 박인숙.이재림(2022). 초등학생 자녀를 둔 취업모의 일가족.양육 갈등 및 향상 유형: 다양한 예측 요인과 심리적 결과.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26(2), 19-36. DOI: 10.22626/jkfrma.2022.26.2.002.
  15. 박주희(2019). 사회적경제와 사회재생산: 공동체 증진형 협동조합에서 여성 활동가들의 실천전략과 과제. 가정과삶의질학회 학술발표대회 자료집, 49-54.
  16. 박혜미(2018). 경력 여성활동가의 일(삶) 전환 경험 연구. 서울시NPO지원센터 ''2018 활동가역량강화지원사업 <활력향연>''보고서.
  17. 서창록.이연호.곽진영(2002). 거버넌스와 개념: 거버넌스의 개념과 쟁점에 관한 소고. 김석준 외. 거버넌스의 정치학. 서울: 법문사. 3-34.
  18. 송혜림.유아랑(2013). 돌봄노동의 사회적 지원 정책을 통해 본 일-가정 양립 실태에 대한 연구 : 학령전기 자녀를 둔기혼취업여성의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7(4), 101-125.
  19. 안태윤.황해동(2012). 경기도 여성단체 활동현황 및 활성화 방안 연구. 경기: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20. 여성가족부(2023.1.25). 「제3차 양성평등정책 기본계획(2023~2027)」 및 국가 성평등지수 발표.
  21. 유영수(2023.2.12). 경기도여성가족재단, '2023년 경기 젠더공감 풀뿌리 활동 지원사업' 단체.소모임 모집. 경인매일. https://www.kmaeil.com/news/articleView.html?idxno=385798.
  22. 이수연(2019). [국제리뷰] 유엔여성차별철폐협약 40년과 한국사회의 성평등. 젠더리뷰, 52, 54-63.
  23. 이영롱.명수민(2014). 한국 청년세대의 사회적 노동 경험: 2010년대 청년들의 자기 서사와 노동 서사를 중심으로. 서울시 청년일자리허브 연구/조사 사업 결과보고서.
  24. 이영안(2020). 여성단체 역량강화 및 활성화 방안: 수원시를 중심으로. 한국정책연구, 20(4), 139-162.
  25. 이재경.김보화(2015). 2, 30대 비혼 여성의 결혼 전망과 의미. 한국여성학, 31(4), 41-85.
  26. 이정수(2013). 풀뿌리 단체의 여성 참여 활성화 방안 : 여성활동가의 욕구조사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7. 임혜경.김민혜(2018). 경기지역 여성 풀뿌리 소모임 성장 및 역량강화 방안 연구. 경기: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28. 정광연(2023.1.15). 서울시, '성평등기금 공모사업' 실시... 총 8억원 지원.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30113000980.
  29. 차경희.김경신(2017). 구술 생애사를 통해 본 여성 활동가들의 여성주의 정체성 형성과정. 젠더와 문화, 10(1), 191-225.
  30. 최영미.임민욱(2017). 경기성평등백서(2016). 경기: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31. 행정안전부(2023.3.31). 비영리민간단체 등록현황. https://mois.go.kr/frt/a01/frtMain.do.
  32. Braun, V. & Clarke, V.(2006). Using thematic analysis in psychology. Qualitative Research in Psychology, 3(2), 77-101. https://doi.org/10.1191/1478088706qp063oa
  33. European Institute for Gender Equality.(2023). Social Partners.
  34. ILO.(2023). https://www.ilo.org/integration/themes/mdw/WCMS_189392/lang-en/index.htm.
  35. The Conversation.(2017). Women's NGOs are changing the world - and not getting credit for it. https://theconversation.com/womens-ngos-are-changing-the-world-andnot-getting-credit-for-it-883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