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건축예술'적 관점에서 살펴본 북한 공동살림집의 복합성

Urban Communal Housing in North Korea from an Artistic Point of View

  • 투고 : 2023.04.15
  • 심사 : 2023.10.14
  • 발행 : 2023.10.31

초록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multilayered nature of the formal aspects of communal house architecture in North Korea. It is said that Kim Jong Il, who emerged as a successor after the mid-1970s, brought about a change in the architecture, leading the construction of a sculptural communal house on Gwangbok Street in 1989, and wrote The art of architecture (1992), which theorized architecture as an object of art. Therefore, it is widely perceived that the communal house was transformed from a simple form of living function to an artistic architecture with the rise of Kim Jong Il. This study, however, argues that this change was the result of an internal evolution in North Korean architecture, rather than a simple change in the position of an individual in power. It seeks to move away from the dichotomy that divides the communal house into two periods: the "KimIl-sung period," in which the communal house was laid out in a simple form to provide mass supply and a socialist lifestyle, and the "Kim Jong-il period," in which the communal house took on an artistic form, such as the Gwangbok Street communal house, in the early years of reconstruction. In the 1950s and 1960s, before KimJong-il's arrival, the communal house form was not simply a flat arrangement, but a three-dimensional and sculptural consideration of the effect on the cityscape.

키워드

과제정보

이 성과는 정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9R1G1A1100167)

참고문헌

  1. Gunsoo Shin, Inha Jung, Appropriating the socialist way of life: the emergence of mass housing in post-war North Korea, in Journal of Architecture, 21(2):159-180
  2. 김영복, 「문수동 광장 및 주요 가로 건축계획」, 「건축과건설」, 1965년, 6호, 23-24쪽.
  3. 김유전, 「그이는 건축가들의 자애로운 스승」, 「조선건축」, 1995 4호, 5-7쪽.
  4. 김지향, 「광복거리살림집건축형성」, 「조선건축」, 1990 3호, 78-79쪽
  5. 김정일, 「건축예술론」, 조선로동당출판사, 1992
  6. 리순건, 백완기, 「주택 소구역 계획」, 1963년, 국립건설출판사
  7. 리순건, 「구획의 건물 배치에 제기되는 문제」, 「건축과건설」, 1959 3호, 18-19쪽
  8. 리재선, 「주택소구역의 건축구성」, 「건축과건설」, 1967 8호, 27-29쪽.
  9. 리현덕(편집), 「주체건축의 대화원 3」, 문예출판사, 1990
  10. 미셀 푸코, 장진역 역, 「저자란 무엇인가?」, (김현편, 「미셸 푸코의 문학비평」), 문학과 지성사, 1990
  11. 리형, 「건축의 영재」, 「천리마」, 1985년 7호(24-25쪽) 및 8호(41-43쪽)
  12. 배세혁, 궁석철, 「해방후 년대별 우리나라 살림집의 건축마감장식 및 마감색변화발전의 특징」, 「조선건축」, 2013년 4호, 49-50쪽
  13. 서명수, 「20세기 후반 북한 건축의 '주체건축'에 대한 비평적연구-「건축예술론」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018, vol.34, no.6, 통권 356호
  14. 전만길, 「전환의 시발점」, 「조선건축」 1993 4호, 4-7쪽.
  15. 정인하, 김민아, 「평양 광복거리 신도시의 단지계획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019, vol.35, no.10, 통권 372호
  16. 최웅술, 「건축적다양성보장문제의 독창적인 해결」, 「조선건축」 2006 4호, 33-37쪽
  17. 평양시 도시 설계 연구소 세부 계획실, 「모래터형성계획」, 「건축과건설」, 1965년 6호, 23-24쪽
  18. 한제선, 「8.15 해방 후 건축 건설의 공업화에서 달성한성과(주택, 공동 건물 건설)」, 「건축과건설」, 1960 8호, 14-17쪽
  19. 한창석, 「평양시 가로 구성에 대한 나의 의견」, 「건축과건설」, 1959년 4호, 39-42쪽
  20. 「고층 주택 설계에서 제기되는 몇 가지 문제(1)」, 「건축과건설」 1960, 1호 25-26쪽
  21. 「광명백과사전」, 백과사전출판사, 2011
  22. 「도시건축구성에 대한 몇가지 생각」, 「건축과건설」, 1967년 3호, 28-31쪽
  23. 「조선대백과사전」, 백과사전출판사, 1995
  24. 「평양의 모습」, 「조선건축」 1995 4호, 9-15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