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조직침묵 연구 동향 및 향후 연구 과제: 국외 연구의 개념 및 국내 연구의 실증변수들을 중심으로

The Research Trends and Future Studies on Organizational Silence: Focusing on Concepts of International Studies and Variables of Domestic Research

  • 박찬우 (충남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 ;
  • 박지성 (충남대학교 경영학부)
  • Chanwoo Park (School of Busines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Jisung Park (College of Business Administr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23.08.31
  • 심사 : 2023.09.21
  • 발행 : 2023.09.30

초록

Purpose - This study examines previous research on organizational silence for several decades since the concept of organizational silence was firstly suggested in 2000. In this study, based on previous studies on organizational silence published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journals from 2010 to 2022, research trends were analyzed, issues were derived, and future research was suggested. Design/methodolgy/approach - The authors searched relevant keywords such as organizational silence, employee silence, employee voice and so on in the domestic as well as international academic database. 63 domestic papers were found, and based on these articles, we analyzed the research trends. Findings - Similar variables were proven with only different contextual samples without any originality in the theoretical perspective. Moreover, studies o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each type of organizational silence and the occurrence of organizational silence over time were also insufficient. In addition, because research on public organizations was limited to police officers and public officials, future research is needed to investigate more different organizational situations. Furthermore, other variables such as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leadership factors were also relatively unexplored. Based on these limitations, future research is needed to consider more diverse demographics, Korean cultural factors,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nd the patterns changes in time.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 This study suggests limitations as well as future directions by summarizing the previous research on organizational silence which is an emerging issue in global societies and the organizational management filed.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석영, 김상희 (2018), "서비스종업원의 침묵이 고객지향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고객만족경영연구, 20(4), 71-108.  https://doi.org/10.34183/KCSMA.20.4.4
  2. 강제상, 고대유 (2014), "공공조직 내 침묵현상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경험적 연구 : 해양경찰조직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 23(2), 243-274.  https://doi.org/10.22897/KIPAJN.2014.23.2.009
  3. 강제상, 고대유 (2014), "공공조직의 문화가 조직침묵에 미치는 영향", 한국행정학보, 48(2), 1-25. 
  4. 강제상, 고대유 (2014), "한국적 조직침묵의 개념과 측정도구 검증", 한국인사행정학회보, 13(1), 141-159. 
  5. 강종구, 정경수, 김동현 (2014), "체육조직의 비인격적 감독 심리.적 계약위반 및 조직침묵의 구조관계", 한국 체육과학회지, 23(6), 385-398. 
  6. 고대유 (2019), "감성리더십 인식이 조직침묵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방행정학보, 16(3), 1-18. 
  7. 고대유 (2014), 조직문화 인식이 조직침묵에 미치는 영향 (국내박사학위논문), 서울: 경희대학교. 
  8. 고대유, 강제상 (2017), "한국의 행정문화를 적용한 침묵현상의 개념화와 측정도구 개발: 순응적 침묵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51(4), 29-55.  https://doi.org/10.18333/KPAR.51.4.29
  9. 고대유, 강제상, 김광구 (2015), "공공조직의 침묵현상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조직냉소주의를 통한 자기효능감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49(1), 1-28. 
  10. 고대유, 강제상, 김광구 (2015), "조직공정성과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 대한 조직침묵의 매개효과 분석", 한국행정연구, 24(1), 223-261.  https://doi.org/10.22897/KIPAJN.2015.24.1.008
  11. 고대유, 김도윤 (2016), "공공조직 내 조직정치지각이 조직침묵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26(4), 81-109. 
  12. 고대유, 김도윤 (2022), "침묵 현상의 확장으로서 조직적 침묵의 이론 유형화 모색: 빅데이터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31(1), 109-140.  https://doi.org/10.33900/KAPS.2022.31.1.5
  13. 고대유, 김도윤, 이호규 (2021), "조직침묵이 내부고발의지에 미치는 영향: 조직동일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문화와 정치, 8(3), 143-170. 
  14. 고대유, 김정식 (2020), "조직침묵이 구성원의 부패의향에 미치는 영향: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공공관리학보, 34(4), 153-175.  https://doi.org/10.24210/KAPM.2020.34.4.007
  15. 고대유, 이호규, 김도윤 (2019), "권위주의와 집단주의 인식이 침묵에 미치는 영향: J시의 경찰과 기초지자체 조직 간 비교", 행정논총, 57(2), 107-138.  https://doi.org/10.24145/KJPA.57.2.4
  16. 곽원준, 유재원, 신호철, 이진복 (2014), "부하의 친사회적 침묵에 미치는 카리스마적 리더십의 영향: 부하 성숙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중소기업연구, 36(2), 265-284. 
  17. 권예진, 최애경 (2017), "조직의 윤리풍토와 상사지원인식이 비서의 침묵행동에 미치는 영향", 비서학 논총, 26(1), 155-179.  https://doi.org/10.35605/jss.2017.04.26.1.155
  18. 권혁기 (2017), "진성리더십과 상사에 대한 신뢰, 조직침묵, 이직의도, 반생산적 과업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집, 22(4), 131-147. 
  19. 김도경, 이환의, 김인신 (2017), "호텔 종사원의 조직정치지각이 혁신행동과 조직침묵에 미치는 효과", 관광레저연구, 29(3), 131-145.  https://doi.org/10.26840/JKI.29.4.131
  20. 김도영, 엄상용, 김영훈 (2016), "군 조직 구성원의 조직침묵이 이직의도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국방정책연구, 31(4), 191-215.  https://doi.org/10.22883/JDPS.2016.31.4.007
  21. 김동현, 손승연 (2020), "권위주의적 리더십이 조직침묵에 미치는 영향: 상대적 박탈감의 매개효과와 성장욕구강도의 조절효과", 리더십연구, 11(3), 67-93. 
  22. 김수희, 최애경, 마크 누펠드 (2017), "상사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이 구성원의 침묵에 미치는 영향", 비서학 논총, 26(2), 175-201.  https://doi.org/10.35605/jss.2017.09.26.2.175
  23. 김영선 (2012), 중간 관리자의 의견 개진 행동 유형과 관계의 질, 역할 태도가 의견 개진 행동에 미치는 영향 (국내석사학위논문), 서울: 서울대학교. 
  24. 김영중, 윤동환 (2017), "외식산업 종사원의 조직침묵과 반생산적 과업행동 및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고용형태의 조절효과 검증", 관광학연구, 41(9), 25-39.  https://doi.org/10.17086/JTS.2017.41.9.25.39
  25. 김정수, 김정식 (2018), "팀 구성원의 아이디어 창출과 실행 간의 관계", 인적자원관리연구, 25(5), 55-79.  https://doi.org/10.14396/jhrmr.2018.25.5.55
  26. 김창수, 현병환 (2022), "밀레니얼 세대의 조직정치지각이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조직침묵의 매개효과", 대한경영학회지, 35(10), 1983-2012.  https://doi.org/10.18032/kaaba.2022.35.10.1983
  27. 김호선, 조윤직 (2020), "경찰조직 내 조직침묵의 결정요인: 직급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54(2), 151-181.  https://doi.org/10.18333/KPAR.54.2.151
  28. 문정남 (2022), "조직정치지각, 조직침묵, 조직냉소주의 간 관계연구: 호텔기업을 중심으로", 호텔리조트연구, 21(2), 25-43. 
  29. 박성수 (2015), "경찰기동대원의 침묵.냉소와 이직의도 관계", 경찰학논총, 10(1), 55-86.  https://doi.org/10.16961/POLIPS.2015.10.1.55
  30. 박이레, 이혁규, 김태형 (2022), "공공조직 내에서의 조직정치가 정부성과에 미치는 영향: 조직침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조직학회보, 18(4), 37-70.  https://doi.org/10.21484/KROS.2022.18.4.37
  31. 박종철 (2013), "호텔종사원의 상사의 리더십에 따른 침묵현상이 조직몰입,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저널, 27(2), 235-255. 
  32. 박준현, 신상명 (2018), "학교조직에서 교사의 조직정치지각과 LMX가 조직침묵에 미치는 영향", 교육정치학연구, 25(3), 1-30. 
  33. 박준현, 신상명 (2018), "학교조직에서 조직공정성, 조직시민행동, 조직침묵의 구조적 관계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36(3), 177-201. 
  34. 박지혜, 오홍석 (2019), "조직구성원 침묵행동의 사회구조적 선행요인", 인사조직연구, 27(2), 1-29.  https://doi.org/10.26856/kjom.2019.27.4.1
  35. 박지혜, 김민정, 오홍석 (2021), "침묵이 금일 때: 친사회적 침묵행동이 자기효능감 및 리더-구성원 교환관계에 미치는 영향 연구", 경영학연구, 50(2), 405-437.  https://doi.org/10.17287/kmr.2021.50.2.405
  36. 사숙수, 정수진 (2018), "조직침묵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산업경제연구, 31(2), 445-473.  https://doi.org/10.22558/jieb.2018.04.31.2.445
  37. 신규희, 이종학, 이수범 (2012), "호텔.외식업체 종사원의 조직침묵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호텔경영학연구, 21(4), 133-152. 
  38. 오석영, 조혜나, 정혜윤 (2020), "조직학습관점에서 본 조직 침묵", 기업교육과 인재연구, 22(3), 319-349.  https://doi.org/10.46260/KSLP.22.3.12
  39. 유란희, 유은지, 송현진 (2022), "리더-구성원 교환관계와 조직시민행동 압력이 공무원의 부정적 행태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사행정학회보, 21(3), 1-35. 
  40. 윤선영 (2016), 문화가치와 리더십이 조직 내 수직적 및 수평적 관계의 발언과 침묵에 미치는 영향 (국내박사학위논문), 서울: 한국외국어대학교. 
  41. 윤선영, 권석균 (2015), "발언과 침묵: 리더십의 영향과 조직효과성", 인사조직연구, 23(3), 43-71. 
  42. 윤선영, 권석균 (2016), "조직 내 수평적 관계와 수직적 관계에서 종업원의 발언과 침묵", 글로벌경영연구, 28(3), 65-85. 
  43. 윤연숙, 조민호 (2022), "여행기업의 조직문화가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 구성원의 조직침묵에 미치는 영향", 관광진흥연구, 10(1), 29-49.  https://doi.org/10.35498/kotes.2022.10.1.29
  44. 이만희, 전기석 (2021), "군대조직문화에서 리더신뢰, 직무특성, 자아효능감 및 회복탄력성이 조직침묵에 미치는 영향", 문화와 융합, 43(1), 881-900. 
  45. 이병량 (2017), "관료의 침묵과 자기 정당화", 한국정책연구, 17(3), 64-82. 
  46. 이왕로, 최석봉 (2020), "종업원의 부정적 성과 및 행동에 대한 리더의 피드백과 창의적 성과: 창의적 문제해결능력과 침묵행동의 매개효과", 산업경제연구, 33(4), 1089-1111.  https://doi.org/10.22558/jieb.2020.8.33.4.1089
  47. 이운룡, 백양숙, 박호환 (2019),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이 조직침묵과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영학회 융합학술대회, 1411-1447. 
  48. 이지은, 오상진 (2020), "공유리더십이 지식은폐에 미치는 영향: 지식공유와 조직침묵의 매개효과", 대한경영학회지, 33(7), 1193-1220. 
  49. 임재강, 권용섭 (2015), "경찰관의 진성 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과 조직침묵에 미치는 영향", 한국공안행정학회보, 24(2), 215-242. 
  50. 임정인, 손영우 (2016), "군 초급간부의 관계갈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인적자원관리연구, 제23권 제1호, 303-321.  https://doi.org/10.14396/jhrmr.2016.23.1.303
  51. 전무경, 박지환 (2022), "냉소와 침묵 그리고 반생산적 과업행동: 조직정치지각의 조절된 매개효과", 인적자원개발연구, 25(3), 77-115.  https://doi.org/10.24991/KJHRD.2022.09.25.3.77
  52. 전영욱, 김진모, 황영훈 (2017), "리더의 윤리적 행동과 직무자율성, 업무부담이 조직침묵에 미치는 영향", HRD연구, 19(3):73. 
  53. 전호성, 송해덕 (2018), "조직침묵, 직무몰입, 조직공정성, 이직의도 간 구조적 관계연구", HRD연구, 20(2), 87-112.  https://doi.org/10.18211/KJHRDQ.2018.20.2.004
  54. 정소연, 유태용 (2018), "역할스트레스와 종업원 침묵행동 간 관계에서 심리적 주인의식의 매개효과와 상사지원인식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31(2), 433-457. 
  55. 정현선, 하헌경, 박동건 (2010), "조직 침묵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조직 냉소주의를 통한 자기 효능감의 매개된 조절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3(1), 89-104. 
  56. 조아름, 유태용 (2014), "종업원 침묵행동과 상사지원인식, 절차공정성인식의 관계에서 침묵동기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7(2), 291-315. 
  57. 조용현, 장준호 (2016), "상사의 체면손상행동과 조직침묵의 관계에서 상호작용 불공정성의 매개효과", 인문사회과학연구, 0(51), 95-111.  https://doi.org/10.17939/hushss.2016..51.005
  58. 진윤희 (2021), "지방공무원의 조직정치지각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조직침묵의 매개효과와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분석", 사회과학연구, 37(3), 27-49.  https://doi.org/10.15820/KHJSS.2011.37.3.002
  59. 최사라, 정은성, 양동민 (2022), "의료관광기관의 비인격적 감독, 조직침묵, 혁신저항의 영향관계", 대한경영학회지, 35(10), 1843-1867.  https://doi.org/10.18032/kaaba.2022.35.10.1843
  60. 최선규, 지성구 (2012), "상사의 행동특성이 구성원의 심리적 안전감, 침묵과 친사회적 발언행동에 미치는 영향",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36(4), 99-123. 
  61. 탁제운, 김종훈, 신제구 (2018), "윤리적 리더십이 심리적 계약위반과 체념적 침묵행동에 미치는 영향: 참여적 의사결정의 조절된 매개효과", 기업경영연구, 25(5), 159-186.  https://doi.org/10.21052/KCMR.2018.25.5.08
  62. 탁제운, 김종훈, 신제구 (2019), "참여적 의사결정이 방어적 침묵행동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계약위반의 매개효과와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산업교육연구, 38, 23-44. 
  63. 한주원 (2018), "조직공정성 및 조직정치지각이 구성원의 조직냉소주의, 혁신저항,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비서.사무경영연구, 27(3), 109-133.  https://doi.org/10.35605/jss.2018.09.27.3.109
  64. 허명숙, 천면중 (2017), "구성원 침묵, 학습관성, 지식공유 비열의 간의 관계에 관한 실증연구", 지식경영연구, 18(4), 31-62.  https://doi.org/10.15813/KMR.2017.18.4.002
  65. 홍영옥, 강재완, 이형룡 (2014), "호텔기업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이 조직침묵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계약위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관광학연구, 38(6), 189-207. 
  66. Bowen, F. and K. Blackmon (2003), "Spirals of Silence: The Dynamic Effects of Diversity on Organization Voice", Journal of Management Studies, 40: 1393-1417.  https://doi.org/10.1111/1467-6486.00385
  67. Brinsfield, C. T. (2013), "Employee Silence Motives: Investigation of Dimensionality and Development of Measures",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34(5), 671-697.  https://doi.org/10.1002/job.1829
  68. Creed, D. (2003), "Voice Lessons: Tempered Radicalism and the Use of Voice and Silence", Journal of Management Studies, 40(6): 1503-1536.  https://doi.org/10.1111/1467-6486.00389
  69. Herzberg, F. (1966), "Work and the Nature of Man", Cleverland, OH: World. 
  70. Hirschman, Albert O. (1970), "Exit, Voice and Loyalty", Cambridge, Mass.: Harvard University Press. 
  71. Hobfoll, S. E. (2001), "The Influence of Culture, Community, and the Nested-self in the Stress Process: Advancing Conservation of Resources Theory", Applied Psychology, 50, 337-370.  https://doi.org/10.1111/1464-0597.00062
  72. Holton, J. A. and G. Grandy (2016), "Voiced Inner Dialogue as Relational Reflection-on-Action: The Case of Middle Managers in Health Care", Management Learning, 47(4), 369-390.  https://doi.org/10.1177/1350507616629602
  73. Janis, I. L. and L. Mann (1977), "Decision Making: A Psychological Analysis of Conflict, Choice, and Commitment", New York: Free Press. 
  74. Janis, I. L. (1982), "Groupthinking: Psychological Studies of Policy Decision and Fiascoes(2nd ed.)", Boston: Houghton Miffin. 
  75. John, S. P. and K. Manikandan (2019), "Employee Silence: A Meta-analytic Reivew", International Journal of Indian Psychology, 7(1): 354-366. 
  76. Katz, D. and R. Kahn (1978), The Social Psychology of Organization(2nd ed.). NY: Wiley. 
  77. Kish-Gephart, J. J., D. A. Harrison and L. K. Trevino (2010), "Bad Apples, Bad Cases or Bad Barrels? Meta-Analytic Evidence about Sources of Unethical Decisions at Work",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5:1-31.  https://doi.org/10.1037/a0017103
  78. Knoll, M. and R. Van Dick (2013), "Do I Hear the Whistle…? A First Attempt to Measure Four Forms of Employee Silence and Their Correlates", Journal of Business Ethics, 113(2): 349-362.  https://doi.org/10.1007/s10551-012-1308-4
  79. Korsgaard, M. A., L. Roberson, and R. D. Rymph (1998), "What Motivates Fairness? The Role of Subordinate Assertive Behavior on Manager's Interactional Fairnes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3(5), 731. 
  80. Milliken, F. J., E. W. Morrison and P. F. Hewlin (2003), "An Exploratory Study of Employee Silence: Issues that Employees Don't Communicate Upward and Why", Journal of Management Studies, 40(6): 1453-1476.  https://doi.org/10.1111/1467-6486.00387
  81. Moasa, H. (2013), "Struggling for Organizational Identity: Employee Voice and Silence", Procedia-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92: 574-581.  https://doi.org/10.1016/j.sbspro.2013.08.720
  82. Mojtaba Nik Aeen, Reihaneh Zarei and Hasan Zarei Matin (2014), "Do the Organizational Rumors Emphasize the Influence of Organizational Silence over Organizational Commitment?", Journal of Social Issues and Humanities. 2(1): 88-93. 
  83. Morrison, E. W. and F. J. Milliken (2000), "Organizational Silence: A Barrier to Change and Development in a Pluralistic World",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5: 706-725.  https://doi.org/10.2307/259200
  84. Noelle-Neumann, E. (1974), "The Spiral of Silence: A Theory of Public Opinion", Journal of Communication, 24, 43-51.  https://doi.org/10.1111/j.1460-2466.1974.tb00367.x
  85. Organ, D. W. (1988), "A Restatement of the Satisfaction Performance Hypothesis", Journal of Management, 14: 547-557.  https://doi.org/10.1177/014920638801400405
  86. Panahi, B. (2019), "Meta-analysis of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Organizational Silence Phenomenon in Iran", Management Studies in Development and Evolution, 28: 85-107. 
  87. Peirce, E., C. A. Smolinski and B. Rosen (1998), "Why Sexual Harassment Complaints Fall on Deaf Ears", Academy of Management Executive, 12(3), 41-54.  https://doi.org/10.5465/ame.1998.1109049
  88. Pinder, C. C. and K. P. Harlos (2001), "Employee Silence: Quiescence and Acquiescence as Response to Perceived Injustice", In G. R. Ferris (Ed.). Research in Personnel and Human Resources Management, 20: 331-369.  https://doi.org/10.1016/S0742-7301(01)20007-3
  89. Rosen, S. and A. Tesser (1970), "On Reluctance to Communicate Undesirable Information: The Mum Effect", Sociometry, 33, 253-263.  https://doi.org/10.2307/2786156
  90. Schlenker, B. R. and M. F. Weigold (1989), "Self-Identification and Accountability", Impression Management in the Organization, Hillsdale: 21-43. 
  91. Vakola, M. and D. Bouradas (2005),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Organisational Silence: an Empirical Investigation", Employee Relations, 27(5): 441-458.  https://doi.org/10.1108/01425450510611997
  92. Van Dyne, L., S. Ang and I. C. Botero (2003), "Conceptualizing Employee Silence and Employee Voice as Multidimensional Constructs", Journal of Management Studies, 40(6), 1359-1392.  https://doi.org/10.1111/1467-6486.00384
  93. Wang, Y. D. and H. H. Hsieh (2013), "Organizational Ethical Climate,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Employee Silence: A Cross-Level Investigation", Human Relations, 66(6): 783-802.  https://doi.org/10.1177/0018726712460706
  94. Whiteside, D. B. and L. J. Barclay (2013), "Echoes of Silence: Employee Silence as a Mediator between Overall Justice and Employee Outcomes", Journal of Business Ethics, 116(2): 251-266.  https://doi.org/10.1007/s10551-012-1467-3
  95. Williams, K. D. (2001), "Ostracism: The Power of Silence", New York: Guilford. 
  96. Williams, K. D., W. J. Shore and J. E. Grahe (1998), "The Silent Treatment: Perceptions of Its Behaviors and Associated Feelings", Group Processes and Intergroup Relations, 1, 117-141.  https://doi.org/10.1177/136843029801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