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Impact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Tour Guides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관광가이드의 긍정심리자본 요인이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Seong-ho Yang (Department of Tourism Management Kyonggi University) ;
  • Jae-Woo Choi (Department of Tourism Management and Development Kyonggi University)
  • 양성호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관광경영학과 ) ;
  • 최재우 (경기대학교 관광문화대학 관광개발경영학과 )
  • Received : 2023.05.30
  • Accepted : 2023.06.23
  • Published : 2023.06.30

Abstract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ourism guides, and to provide implications through empirical research to increase the capabilities of tourism guides that are a factor in the performance of planned travel products Design/methodology/approach - This study conducted an empirical survey using the google online questionnaire. It was directly surveyed, distributed, and collected from workers who were or were performing tourism guide duties in Asia and Europe, and 203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The empirical survey was conducted in a self-written manner through a simple random sampling method, and the statistical package was conducted with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using the spss 21.0 program. Findings - First, among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factors, two factors, hope and optimism,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job satisfaction. Second, among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factors, two factors, self-efficacy and optimism,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job satisfaction has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that the research results have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variable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ourism guides, and have laid the foundation for academic research on research topics. In practice, it is expected to increase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tourism guides and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organization's performance by actively supporting and supporting individuals related to the sustainable growth of travel products.

Keywords

References

  1. 강경범 (2015),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긍정심리자본이 주관적 노동인권인식을 통해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호서대학교 대학원
  2. 강상묵 (2010), "호텔기업 종사원 심리적 자본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서비스산업연구, 7(2), 1-12.
  3. 김계수 (2008), 「Amos 16.0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서울: 한나래출판사, 158.
  4. 김권동 (2005), "호텔조직의 서비스지향성이 종사원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영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민경 (2015), "호텔 종사원의 스트레스가 직무소진, 직무만족과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원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대학원
  6. 김영석 (2003), 「사회조사방법론 SPSS WIN 통계분석」 나남출판, 87.
  7. 김영호 (2009), "조직구조가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앙행정기관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8. 김주엽.김명수 (2011), "긍정심리자본이 조직 구성원의 직무만족과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영교육학회, 26(3), 122.
  9. 김현수 (2011), "중소기업 직무특성이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성대학교 지식서비스&컨설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김형섭 (2005), "호텔종사원의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대한관광경영학회, 19(3), 203-225.
  11. 박광천 (2015), "심리적 자본이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동신대학교 대학원
  12. 박권홍 (2001), "긍정심리자본과 리더십 성과", 숭실대학교 대학원
  13. 박민희 (2016), "항공사의 객실승무조직구조와 긍정심리자본이 조직유효성 및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14. 박민희.이재곤.박운서 (2015),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피로도, 개인업적이 직무만족, 직무성과 및 서비스회복에 미치는 영향", 관광경영학회, 19(4), 151-179.
  15. 박보람 (2015), "심리적 자본이 호텔 종사원의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영산대학교 일반대학원
  16. 박선대 (2020), "조직지원인식과 긍정심리자본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조직신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가천대학교 대학원
  17. 박슬기.성오현.이형룡 (2010), "호텔 직원의 심리자본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조직몰입과 조직시민행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대한경영학회, 23(5), 2565-2584.
  18. 박혜미.현성협 (2018), "관광가이드의 라포형성 행동이 관광객의 긍정적 감정과 후속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학회, 42(5), 171-191. https://doi.org/10.17086/JTS.2018.42.5.171.191
  19. 서광열 (2009), "호텔종사원의 직무만족과 고객지향성의 영향관계에서 사회적 유능성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20. 송지준 (2015), 「논문 작성에 필요한 SPSS/AMOS 통계분석방법」, 21세기사.
  21. 오승환 (2015), "사회복지시설의 윤리경영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바람직성의 매개효과를 중심",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17(1), 91-122.
  22. 오영섭.주현식 (2008), "호텔주방종사자의 참여적 작업시스템과 관리자의 셀프리더십이 경영자신뢰,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식경영학회, 11(2), 149-170.
  23. 위경도 (2016), "관광가이드의 역할이 중국 관광객 만족과 관계지속성에 미치는 영향: 여행목적을 조절변수로",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유영심 (2008), "관광가이드의 역할에 대한 만족과 관광지 매력 지각간의 관계", 경기대학교 대학원
  25. 유재익 (2016), "진정성리더십이 조직몰입 및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조직신뢰와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경성대학교 대학원
  26. 윤여산 (2020), "고객불평행동과 직무스트레스가 직무소진,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연구: 관광가이드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대학원
  27. 이강수 (2016), "긍정심리자본이 정서적 몰입과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감성리더십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28. 이경순 (2018), "노인복지시설 요양보호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동방문화대학 원대학교
  29. 이경호 (2018), "호텔 조리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주방유형과 외향성에 따른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이동섭.최용득 (2010), 긍정심리자본의 선행요인과 결과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학회, 경영학연구, 39(1), 1-28.
  31. 이동철 (2012), "조직 내 갈등, 사회적 지지와 직무태도간 관계 및 직무 스트레스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서울특별시 기초자치단체 공무원을 대상으로", 국민대학교 대학원
  32. 이병철.이채익 (2009), "지방공무원의 심리적자본이 직무만족과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정부학회, 13(3), 67-85.
  33. 이상희 (2012), "호텔 비정규직 종사원의 서비스지향성, 조직몰입,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 관계 연구",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이선희 (2005), 「여행업경영개론」, 제2판, 대왕사.
  35. 이성호 (2007), "호텔조직의 서비스지향성, 종사원의 직무만족, 조직몰입과 서비스 제공수준의 관계", 한국관광.레저학회, 19(3), 69-85.
  36. 이승규 (2016),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심리적 자본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직무태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대학원
  37. 이애주.김순하 (2006), "호텔한식당 직원의 교육훈련에 대한 지각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15(5), 119-135.
  38. 이영수 (2008), "직무 적합성과 직무공정성이 자발적 이직에 미치는 영향", 서남대학교 대학원
  39. 이형주 (2015), "관광가이드의 라포형성 행동이 고객 공감 및 고객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방한 중국단체관광객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0. 임규혁 (2011), "조직구성원의 적합성을 통한 긍정심리자본 형성과 조직유효성에 대한 연구: 다수준 접근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1. 장인자 (2018), "직무환경과 보상체계가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 경기대학교 대학원
  42. 전현모.송현주 (2012), "외식기업 종사원의 심리적 자본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조리학회지, 18(4).
  43. 정대용.박권홍.서장덕 (2011), "긍정심리자본과 리더십 성과", 한국경영교육학회, 26(2), 401-428.
  44. 진영협 (2013), "진성리더십이 직무만족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긍정심리자본 및 조직동일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5. 최상필 (2006), "직무특성과 임파워먼트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 관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6. 최익성 (2014), "리더십 유형과 개인 창의성의 관계: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7. 최재우 (2014), "여행사 관리자의 리더십과 종사자의 개인주도성이 심리적자본과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48. 하용규.강상묵 (2011), "호텔 종사원의 심리적 자본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주의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지, 11(9).
  49. 한봉주 (2013), "변혁적 리더십, 진정성 리더십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심리적 자본과 LMX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조직학회보, 10(1), 157-201. https://doi.org/10.21484/KROS.2013.10.1.157
  50. 황혜원 (2014), "직무만족 수준에 따른 기본심리욕구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일동기의 매개효과 검증,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1. Bandura, A. (1997), "Self-efficacy : Thee xercise of control. New York: Freeman. 2000. Cultivate self-efficacy for personal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E.Locke (Ed.)", Handbook of principles of organizational behavior, Oxford, UK: Blackwell, 120-136.
  52. Becker, H. S. (1960), "Note son the concept of commitment",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66(1), 32-40. https://doi.org/10.1086/222820
  53. Bourdieu, P. (1986), "The Forms of Capital", In Richardson, J. G.(Ed.), Handbook of Theory and Research for the Sociology of Education, New York: Greenwood Press.
  54. Cohen, E. H, Ifergan, M and E. Cohen, (2002), A New Paradigm in Guiding : The Madrich as Role Model, Annals of Tourism Research, 29(4), 919-932. https://doi.org/10.1016/S0160-7383(01)00082-2
  55. Hoppock, R. (1935), "Job Satisfaction", New York: Harper.
  56. John & Wong (2001), Case study on tour guiding : professionalism, issues and problems, Tourism Management 22, 51-563.
  57. Larson, M., F. Luthans (2006), Potential added value of psychological capital in predicting work attitudes. Journal of Leadership amd Organization Studies, 13(1), 45-62. https://doi.org/10.1177/10717919070130010701
  58. Locke, E. A. (1976), The Nature and Causes of Job Satisfaction,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Rand-Mcnally, 1297.
  59. Luthans, F., & C. M. Youssef (2007), Emerging positive organizational behavior, Journal of Management, 33, 321-349. https://doi.org/10.1177/0149206307300814
  60. Luthans, F., & Youssef, C. M. (2007),Positive organizational behavior in the workplace: The impact of hope, optimism, and resilience, Journal of Management, 33(5), 774-800.
  61. Luthans, F. (2002), The need for and meaning of positive organizational behavior,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23(6), 695.
  62. Masten, A.S., Reed, M. J. (2002), Resilience process in development, American Psychologist, 56, 227-239. https://doi.org/10.1037/0003-066X.56.3.227
  63. Reilly, R. T. (1982), Handbook of professional tour management. Merton House Publishing Co.
  64. Richardson, G. E. (2022), The meta theory of resilience and resiliency,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58(3), 307-321. https://doi.org/10.1002/jclp.10020
  65. Seligman, M. E. P. (1988), Learned optimism: How to change your mind and your life, New York: Pocket Books.
  66. Seligman, M. E. (1998), Learned Optimism. New York: Pocket Books.
  67. Snyder, C. R. (1994), The psychology of hope: You can get there from here, New York: Free Press.
  68. Stajkovic, A. D. (2006), Development of a Core Confidence-Higher Order Construc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1(6), 1208-1224. https://doi.org/10.1037/0021-9010.91.6.1208
  69. Youssef, C. M. (2007), Luthans, F., Positive organizational behavior in the workplace: The impact of hope, optimism, and resilience, Journal of Management, 33(5), 774-800. https://doi.org/10.1177/01492063073055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