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다문화 청소년에 대한 부모 지지가 진로 태도 결정성에 미치는 영향: 이중문화 수용 태도의 매개효과

Effect of Parental Support for Multicultural Youth on Career Attitude Determinism: Mediating Effect of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

  • 정인숙 (서정대학교 글로벌융합복지학부)
  • In-Suk Jeong (Global Convergence Welfare at Seojeong University)
  • 투고 : 2023.10.12
  • 심사 : 2023.10.25
  • 발행 : 2023.10.31

초록

본 연구는 급변하는 다양한 환경 속에서 미래 한국 사회의 성장 동력이 될 다문화 청소년의 진로 태도 결정성을 확인하고, 다문화 청소년에 대한 부모 지지가 진로 태도 결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다문화 청소년의 경우에는 출생하면서 노출되는 이중문화에 대한 혼란으로 일반 청소년과 비교하면 부모 지지와 진로 태도 결정성에서 더 많은 어려움을 경험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문화 청소년의 부모 지지가 진로 태도 결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중문화 수용 태도가 매개하는지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한국청소년정책연 구원에서 실시한 다문화 청소년 패널(MAPS) 8차 연도의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연구 대상은 고등학교 2학년 다문화 청소년 총 1,229명이 참여하였다. 자료의 분석을 위하여 SPSS 18과 AMOS 17.0을 활용하였으며 빈도분석, 기술 통계분석, 상관관계 분석, 경로 모형 적합도 검증, 경로 모형 계수, 매개효과 검증을 시행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 청소년의 부모 지지와 진로 태도 결정성을 향상하는 통합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determination of the career attitude of multicultural youth, which will be the growth engine of Korean society in the future, and to determine the effect of parental support for multicultural youth on career attitude determination. Multicultural adolescents experience more difficulties in parental support and career attitude determination than ordinary adolescents due to confusion over biculturalism exposed at birth. Therefore, this study confirmed the effect of parental support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on career attitude determination and verified the effect of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 To this end, data from the 8th year of the Multicultural Youth Panel (MAPS) conducted by the Korea Youth Policy Institute were used, and a total of 1,229 multicultural teenagers in the 2nd year of high school participated in the study. For data analysi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path model suitability verification, path model coefficient, and mediating effect verification were conduc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it was intended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an integrated program that improves parental support and career attitude determination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키워드

참고문헌

  1. 출입국 외국인 정책본부(2022), 국제결혼 이민자 수
  2. 통계청(2022), 다문화 청소년 학업 중단율, 국내 체류 외국인의 수.
  3. 행정안전부(2020), 다문화 가정 자녀의 수.
  4. 우안순(2020), "부모의 긍정적, 부정적 양육 태도가 다문화 청소년의 학업중단 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중문화 수용 태도 및 우울감의 매개효과", 한세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5. 김효선(2020), "어머니의 한국어 능력 수준이 다문화 청소년의 진로 결정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 사회적 위축, 진로 장벽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6. 김지선(2012),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일탈현상과 대응방안". 원광대학교 경찰학 연구소, 경찰학 논총, Vol.7, No.2.
  7. 강 화(2018),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문화 적응 스트레스와 심리적 부적응의 관계-적응유연성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호남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8. 신종임(2010), "대학생의 부모 지지와 자아 정체감이 진로 미결정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9. 김현철.모상현.오성배.김선희.백송이(2015), "다문화 청소년 종단조사 및 정책 방안 연구 III: 총괄보고서". 한국청소년연구원 연구보고서, pp, 1-332.
  10. 최선애(2017), "다문화가정 고등학생의 진로교육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성윤희, 장은영(2020), "다문화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진로 결정성의 관계: 진로장벽을 통한 자존감의 조절된 매개 효과". 진로교육 연구, 33(1), pp,43~64.
  12. 이래혁, 이재경(2021), "다문화 청소년의 이중문화 수용태도가 진로결정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취동기를 통한 성별의 조절된 매개효과", 학교사회복지 (Journal of School Social Work) Vol.55, pp.53-78. https://doi.org/10.20993/jSSW.55.3
  13. 노충래.홍진주(2006), "이주노동자 자녀의 한국사회 적응실태 연구", 한국아동복지학회, 한국아동복지학, Vol.-, No.22.
  14. 김서정(2019),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문화적응 전략과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변화에 따른 잠재계층 분류 및 적응 탐색",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5. 이은경(2019), "농촌 지역 다문화가정 중학생의 부모 양육 태도, 자율적 학급풍토, 이중문화 역량, 학업탄력성과 학습몰입의 구조적 관계", 서울대학교, 산업인력개발 HRD
  16. 김도연, 양정혜, 양수진(2012), "초등학교 실과교과서의 다문화 관련 내용분석".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0, No.4.
  17. 김충기(1999), "진로 발달 접근을 통한 진로 계획에 관한 연구". 한국진로교육학회, 진로교육 연구, Vol. 10 No.-.
  18. 전경숙, 임양미, 양정선, 이의정 (2010), "경기도 다문화가정 청소년 생활실태와 지원방안 연구",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19. 이기학.한종철(1997), "진로태도 측정에 관한 연구 1",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1997, No.1.
  20. 육주홍(2019), "다문화 청소년의 이중문화 경험이 진로 결정에 미치는 영향; 부모님의 진로지도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국내 석사.
  21. 김영미.현안나(2020), "다문화 청소년의 맥락적 요인과 진로장벽, 진로결정수준의 구조적 관계 및 성별간 다집단분석",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학교사회복지, Vol.0, No.49.
  22.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2018), "다문화청소년 종단 조사 및 정책방안 연구 I 총괄보고서", 세종: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