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스마트팜의 현주소와 미래

  • 임희성 (농어촌연구원 스마트기반연구부) ;
  • 이철성 (농어촌연구원 스마트기반연구부) ;
  • 황원재 (농어촌연구원 스마트기반연구부) ;
  • 이규상 (농어촌연구원 스마트기반연구부)
  • Published : 2023.09.30

Abstract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연구는 농림축산식품부의 재원으로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의 농업기반 및 재해대응기술개발사업(321070-4)과 환경부의 재원으로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의 가뭄대응 물관리 혁신기술개발사업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습니다(2022003610002)

References

  1. 김태완. (2019) ICT 기반 스마트팜 온실 현황과 전망. 한국통신학회지(정보와통신), 36(3), 3-8.
  2. 최영찬, 장익훈. (2019) 4차 산업혁명시대의 스마트팜. 한국통신학회지(정보와통신), 36(3), 9-16.
  3. 이명훈, 여현. (2015)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팜 단계별 분석. 한국통신학회
  4. 서윤정. (2016) 한국의 스마트농업 현황과 주요과제. 세계농업 제 195호
  5. 이종원. (2016) 해외 스마트농업의 사례. 세계농업 제 185호
  6. 최창열. (2022) 국내 농업경쟁력 강화를 위한 스마트팜 3.0 전략에 대한 연구. e-비지니스연구, 23(4), 43-59.
  7. 농림축산식품부,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2021년 스마트팜 현황조사 및 성과분석 요약보고서'
  8. 농림축산식품부,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2021년 스마트팜 현황조사 및 성과분석 요약보고서'
  9. '현장과 민간 중심, 농업생산의 30% 스마트농업 전환', 농업생명정책관실 농산업정책과, 2022. 10.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