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조선시대 주요 의료 관련 쟁점과 관심사 - 시행법령을 중심으로

Major Medical Issues and Interests in the Joseon Dynasty - Focusing on Enforcement Laws

  • 박훈평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원전의사학교실)
  • PARK Hun-pyeong (Dept. of Medical Classics & Medical History, College of Korean Medicine, Dong Shin University)
  • 투고 : 2023.04.10
  • 심사 : 2023.04.24
  • 발행 : 2023.05.31

초록

Through this paper, all the provisions of the enforcement statutes stipulated in the Joseon's law code were investigated and major medical issues and interests in the Joseon Dynasty wer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eriod reviewed in the text are as follows. The early Joseon Dynasty is divided into three periods. First of all, Joseon filled the gap in the law with the active acceptance of the Ming Dynasty's law code, Daemyeongrul, which conformed to Confucian virtue. Next, the completion of Gyeonggukdaejeon was an opportunity to prepare the basis for Joseon's medical laws. Lastly, from the late 15th century to the 16th century, the existing medicine promotion measures and emphasis on hyangyak(domestic herb) continued. it can be said that Joseon's politicians needed a medical policy based on Confucian virtues and maintained state-led promotion policies, but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other alternative to try newly by reflecting the limitations and failures of the policy. The late Joseon Dynasty is also divided into three periods. First of all, the period from the late 16th century to the early 18th century was marked by the growth of families in technical positions. The era of King Yeongjo can be said to be the period of reorganization of medical related laws. Finally, the period after the late 18th century is a period of passive regulation and supplementation. Lastly, the revision of the actual medical law was not made or reflected in era of King Jeongjo. In the case of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policy shifted from state-led to families in technical positions. However, in the 19th century, the weakening of the royal authority led to the weakening of the overall administrative system of the country, and the pharmaceutical policy had to be limited.

키워드

참고문헌

  1. 경석현. 「조선 영조 대 천문학겸교수의 운용과 활동 양상」. 조선시대사학회. 2019;91:113-153.
  2. 국수호. 「세종과 세조연간의 의학교과서 변화에 대한 고찰」. 한국의사학회지. 2022;35(1):59-67. https://doi.org/10.15521/JKMH.2022.35.1.059
  3. 김대기. 「중국 원대 의료관원의 선발과 관리」. 의사학. 2017;26(3):455-502.
  4. 김백철. 「조선 후기 영조대 법전정비와 속대전의 편찬」. 역사와 현실. 2008;68:189-236.
  5. 김백철. 「조선 후기 정조대 법제 정비와 대전통편 체제의 구현」. 대동문화연구. 2008;64:337-382.
  6. 김백철. 탕평시대 법치주의 유산. 파주:경인문화사. 2016:95-96, 126-130.
  7. 김백철, 「법치국가 조선의 탄생」. 2판. 서울:이학사. 2017:146-147.
  8. 김택민, 하원수 주편. 「천성령 역주」. 서울:혜안. 2013:479.
  9. 동양학연구소. 「경국대전주해」. 서울:단국대학교출판부. 1979:10.
  10. 박광준. 「조선왕조의 빈곤정책」. 서울:문사철. 2018:342-343.
  11. 박병호. 「한국에 있어서의 법과 윤리도덕」. 저스티스. 1992;25:80-85.
  12. 박병호. 「근세의 법과 법 사상」. 서울:진원. 1996:429-430.
  13. 박훈평. 「19세기 후반 전의감 의학생도에 대한 고찰」. 한국의사학회지. 2013;26(1):1-7. https://doi.org/10.15521/JKMH.2013.26.1.001
  14. 박훈평. 「조선시대 의관직 심약에 대한 고찰」. 한국의사학회지. 2015;28(2):59-72. https://doi.org/10.15521/JKMH.2015.28.2.059
  15. 박훈평. 「조선시대 지방 의생 제도에 대한 고찰」. 한국의사학회지. 2016;29(1):1-9. https://doi.org/10.15521/JKMH.2016.29.1.001
  16. 박훈평. 「조선시대 의학교과서 연구」. 한국의사학회지. 2016;29(2):1-16. https://doi.org/10.15521/JKMH.2016.29.2.001
  17. 박훈평. 「조선 후기 중앙군영의 군진의학 제도 연구」. 한국의사학회지. 2022;35(1):1-11. https://doi.org/10.15521/JKMH.2022.35.1.001
  18. 박훈평. 「조선 후기 내의원 의관의 직임과 인사」. 한국의사학회지. 2022;35(1):45-57. https://doi.org/10.15521/JKMH.2022.35.1.045
  19. 박훈평, 이정현, 남성우, 변일구, 구자훈. 「조선의 의료제도」. 대전:한국한의학연구원. 2022:1-983.
  20. 손홍렬. 「한국중세의 의료제도연구」. 서울:수서원. 1988:103-114.
  21.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고려시대 율령의 복원과 정리」. 서울:경인문화사. 2009:36, 335, 423, 692-696.
  22. 이경록. 「조선 전기 감초의 토산화와 그 의미」. 의사학. 2015;24(2):423-455.
  23. 이경록. 「조선 초기 성리학적 의료관과 의료의 위상」. 의료역사연구. 2018;1(1):9-37.
  24. 이경록. 「조선 초기 의료진흥정책의 전개」. 연세의사학. 2020;23(1):7-36. https://doi.org/10.35276/YJMH.2020.23.1.7
  25. 정긍식. 「조선의 법치주의 탐구」. 파주:태학사. 2018:19-39, 74-75.
  26. 조원. 「여말선초 원제국 법전 지정조격 활용과 그 의미」. 포은학연구. 2022;29(1):91-120. https://doi.org/10.22866/POEUN.2022.29..91
  27. 조지만. 「조선시대의 형사법」. 서울:경인문화사. 2007:200-201.
  28. 최이돈. 「조선 초기 향리의 지위와 신분」. 2010;110:55-94.
  29. 국사편찬위원회(2016-2020). 조선시대 법령자료 DB(2022.12.15.)
  30. 강위빙(1874). "惠局志" 규장각 원문 검색 서비스(2023.4.25.)
  31. 고사경, 김지(1395). "大明律直解" 조선시대 법령자료(2023.4.25.)
  32. 서종옥, 김약로, 이종성, 이일제, 김상성(1746). "續大典" 조선시대 법령자료(2023.4.25.)
  33. 실록청(1413-1935). "朝鮮王朝實錄" 국사편찬위원회. 조선왕조실록 DB (2022.12.15.)
  34. 예조(1794). "特敎定式" 조선시대 법령자료 DB(2023.4.25.)
  35. 윤은보(1543). "大典後續錄" 조선시대 법령자료 DB(2023.4.25.)
  36. 이극중(1492). "大典續錄" 조선시대 법령자료 DB(2023.4.25.)
  37. 이익, 윤지완, 최석정(1698). "受敎輯錄" 조선시대 법령자료 DB(2023.4.25.)
  38. 조두순, 김병학(1865). "大典會通" 조선시대 법령자료 DB(2023.4.25.)
  39. 조현명(1739). "新補受敎輯錄" 조선시대 법령자료 DB(2023.4.25.)
  40. 최항, 노사신, 서거정(1484). "經國大典" 조선시대 법령자료 DB(2023.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