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론
프로폴리스의 어원은 그리스어의 pro (before)와 도시를 의미하는 polis (city)의 합성어로 꿀벌들이 성벽을 쌓는다는 의미에서 유래되었다[2]. 이와 같은 propolis는 꽃, 잎, 수목 생장점 및 상처부위 등에 미생물의 침입을 막기 위해 식물들이 분비하는 보호물질을 꿀벌들이 채취하여 자신의 침샘 분비물과 혼합시켜 만든 수지성, 점착성 및 고무상의 천연혼합물로서 벌집에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의 침입을 막기 위한 용도로 만들어진 물질이다[4, 7, 27]. 이러한 propolis는 봉교로부터 에탄올, 에테르 및 글리콜 등의 용매를 사용하여 효과적으로 추출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항박테리아 성분은 주로 물과 알코올에 잘 추출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1]. 특히 에탄올 추출법은 다른 추출법에 비하여 flavonoids가 가장 효과적으로 추출되어 많은 연구자들이 널리 사용하고 있는 방법 중의 하나이다[21].
Propolis의 구성성분은 150~180여 개의 휘발성물질과 페놀계 화합물로서 주로 flavones, flavanones 및 flavonols 등과 같은 화합물이다[8, 25].
Propolis는 예로부터 민간 약품이나 상처 및 염증 치료제 등으로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그 효능에 관한 연구 및 개발 등이 활발히 이루어짐에 따라 항산화, 항염증, 항바이러스 및 항암 등[3, 5, 17]이 있는 것으로 밝혀져 의약품뿐만 아니라 피부 치료제 및 화장품의 개발에 응용한 예도 많이 보고되고 있다[15, 22]. 특히 propolis는 독성이 없는 천연 항균성물질로 밝혀지고 안전성이 매우 높은 천연보존료 및 살균제로 개발 가능한 것으로 여겨져[9, 13] 식품분야에서는 식품의 보존성 증진을 위한 식품 포장재료, 건강보조제 및 첨가제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18, 19].
프로폴리스의 활성도는 산지와 그 지역의 수종에 따라서 플라보노이드 성분구성과 함유량이 다르기 때문에 프로폴리스의 특성에도 많은 차이를 나타내며[11, 24, 26], 또한 적용분야가 다른 경우 추출조건 및 추출방법에 따라서 크게 다른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쿠바산 프로폴리스의 항균활성에 대한 연구에서 용매에 대한 침지시간, 온도, 농도, 교반형태 등에 따라 다른 보고[21]를 하고 있으며, Debuyser [6]는 70% 알콜을 사용한 추출물이 대체 의약의 일환으로 병원균 치료에 가장 좋은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특히 Kim [11] 등은 추출농도와 사용 이전의 특성을 구명하는 것은 중요한 사항 중의 하나이며, 현재까지 프로폴리스의 추출을 위한 규격화된 기준이나 표준화된 추출방법에 대한 연구가 거의 없는 실정인 것으로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propolis의 우수성을 더욱더 확립하기 위하여 추출한 propolis를 유용미생물로 발효시킨 발효 propolis를 제조한 다음 그 특성을 규명할 목적으로 먼저 채취한 봉교로부터 에탄올로 propolis를 추출하기 위한 최적 추출조건을 검토하고 추출한 propolis의 기초적인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재료 및 방법
실험재료
본 실험에 사용한 봉교는 경북 영주지역의 영풍양봉에서 구입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냉암소(-20℃)에 보관해 두면서 propolis 추출을 위한 시료로 사용하였다. 봉교로 부터 propolis의 추출방법으로는 초음파추출, 물추출 및 초임계추출 방법 등이 보고되어 있으나 flavonoids가 가장 효과적으로 추출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는 에탄올 추출 방법을 사용하였다[10, 21]. 에탄올을 용매로 propolis를 추출한 후 진공농축기로 농축하여 왁스 성분을 제거한 후 5℃에 냉장 보관하여 두면서 본 실험에 사용하였다.
Propolis 추출조건
봉교로 부터 프로폴리스를 추출할 때 최적 추출조건은 flavonoids 함량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11]. 먼저 진탕 추출법과 정치 추출법을 서로 비교하였다. 즉 봉교 5 g에 10배(w/v) 부피의 70%(v/v) 에탄올 첨가하고 60℃에서 3시간 동안 120 rpm으로 진탕시키면서 추출한 시험구와 정치시켜 추출한 시험구 중의 flavonoids 함량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Propolis 추출시간은 추출하는 시간을 1~5 hr 범위로 변화시키면서 검토하였고, 추출온도의 검토는 propolis를 추출하는 온도를 30~80℃ 범위에서 10℃ 간격으로 변화시키면서 검토하였다. 그리고 에탄올의 최적농도 검토는 용매로 첨가하는 에탄올의 농도를 50~80%(v/v)범위로 변화시키면서 검토하였으며, 에탄올 최적 첨가량의 검토는 봉교에 첨가하는 에탄올의 부피를 5~30배 범위로 첨가하여 propolis를 추출한 다음 동일한 방법으로 검토하였다.
일반 성분 분석
봉교 중의 수분은 105℃ 상압가열건조법, 조단백질은 micro-kjeldahl법, 조지방은 soxhlet 추출법으로 측정하였고 조섬유는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A.O.A.C법), 조회분은 550℃ 직접회화법으로 측정하였으며 그 외 나머지 성분들은 가용성 무질소물로 나타냈다[1].
유리당 측정
유리당은 전처리한 시료를 0.2 μm membrane filter로 여과한 후 HPLC (Agilent 1100 Series, U.S.A)로 분석하였으며[9, 12], 분석을 위한 column은 carbohydrate, 주입량은 20 μl, 유속은 0.6 ml/min, 0.1% H3PO4 용액으로 용출하여 검출은 RI검출기, 표준물질은 glucose, fructose, maltose, sucrose, rhamnose 및 xylose를 사용하였다.
구성아미노산 측정
구성아미노산은 전처리한 시료용액을 0.2 μm membrane filter로 여과한 후 아미노산분석기(Hitachi Amino Acid Analyzer, Japan)로 분석하였다[9, 38]. Column은 Bio 20 peek lithium (200×4.6 mm+Resin pot), 유속은 buffer 20 ml/hr, ninhydrin 20 ml/hr로 하였다. 표준물질은 Sigma사의 특급품을 사용하였다.
총 flavonoid 및 flavonoid 조성
봉교로부터 추출한 propolis 중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시료 1 ml에 90% diethylene glycol 10 ml, 1N NaOH 1 ml를 넣고 37℃에서 1 hr 동안 진탕하여 420 nm 흡광도에서 측정한 다음, qucercetin dihydrate로 검량선을 작성하여 함량을 환산하였다[20, 26]. Propolis에 함유된 각종 flavonoids의 조성분석은 500 ml 분액깔때기에 추출한 propolis 100 ml를 넣고 CHCl3, ethyl acetate (EtOAc) 및 n-butyl alcohol (n-BuOH)를 순차적으로 각각 200 ml씩 첨가하고 강하게 혼합하여 propolis 중의 flavonoids를 용출한 다음 회전진공 농축기로 각 용매를 휘발시킨 후 에탄올에 용해시킨 시료를 0.45 μm membrane filter로 여과하여 HPLC (Agilent 1100 Series, U.S.A)로 분석하였다. Column은 C-18, 주입량은 20 μl로 하고, 용출액(30% acetonitrile in 0.025M KH2PO4)으로 용출하여 검출은 UV 420 nm에서 검출하였다. 표준물질로는 apigenine, kaempferol, quercetin, myricetin, chrysin 및 luteolin을 사용하였다.
통계처리
실험결과는 통계 SAS package (Statistical Analysis System, Version 9.1, SAS Institute Inc., Cary, NC, USA)를 사용하여 각 시료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계산하였고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실시하여 p<0.05에서 유의차를 검정하였다.
결과 및 고찰
진탕과 정치 추출의 영향
천연 상태의 봉교는 밀랍과 수지가 50% 이상 함유하고 끈적끈적한 왁스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는 물질이다. 이러한 봉교로부터 이물질 등의 불필요한 성분 등을 제거하고 균질화하여 저장해 두면서 이하의 프로폴리스 추출을 위한 시료로 사용하였다[22]. 봉교로부터 프로폴리스를 추출할 때 추출조건 및 추출방법에 따라서 크게 다른 특성을 나타낸다는 보고[21]가 있어 먼저 진탕 추출법과 정치추출법 중에서 어느 방법이 효과적인지를 검토하였다. 추출 조건은 봉교 질량의 10배(w/v) 부피에 해당하는 70%(v/v) 에탄올을 첨가하고 60℃에서 6시간 동안 추출하여 flavonoids 함량을 측정하여 Fig. 1에 나타냈다. 그 결과 정치 추출법에서는 6.40 mg/g의 flavonoids가 검출되었으나 진탕 추출은 6.95 mg/g의 flavonoids가 검출되어 진탕 추출법이 정치추출법 보다 약간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연구의 진탕 추출로 얻은 결과는 Jeong [9]등이 50%의 에탄올 농도로 얻은 6.60 mg/g의 flavonoids값 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다.
Fig. 1. Contents of flavonoids in propolis on during shaking and fixed extraction. The data are shown as mean ± SD obtained from three independent experiments (p<0.05).
에탄올 농도의 영향
봉교로부터 프로폴리스를 추출할 때 에탄올 농도가 추출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여 Fig. 2에 나타냈다. 첨가하는 에탄올 농도를 50~80%(v/v) 범위로 변화시키면서 60℃에서 6시간 동안 진탕 추출한 결과, 봉교에 첨가하는 에탄올 농도가 50%, 60%, 70% 및 80%일 때 propolis 중의 총 flavonoids 함량은 각각 6.75, 8.45, 7.45 및 7.75 mg으로 나타나 60%(v/v) 농도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Kim [11] 등은 propolis 추출물 중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알코올 농도가 20~50%까지 높아짐에 따라 그 함량도 증가하였으나 60%와 70%의 농도에서는 약간 감소한 것으로 보고하였다. 그러나 E. coli 등의 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은 70%(v/v)에서 높게 나타나 70%의 에탄올 농도가 최적인 것으로 보고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propolis를 추출할 때 Jeong [9]등과 Lee [12]는 50%, Debuyser [6]은 70%의 에탄올 농도가 최적 농도인 것으로 보고한 내용과는 약간 상의하였다.
Fig. 2. Contents of flavonoids in propolis according to ethanol concentration. The data are shown as mean ± SD obtained from three independent experiments (p<0.05).
추출 시간의 영향
봉교로부터 프로폴리스를 추출할 때 최적 추출시간을 검토하기 위하여 60% 에탄올 농도를 봉교 질량의 10배(w/v) 부피로 첨가하고 60℃에서 추출 시간을 1~5시간 범위로 변화시키면서 진탕 추출한 다음 총 flavonoids 함량을 측정하여 Fig. 3에 나타냈다. 그 결과 추출 시간을 1 hr, 2 hr, 3 hr까지 증가시킴에 따라 flavonoids 함량은 각각6.5, 6.9 및 8.6 mg으로 약간씩 증가하였다. 그러나 3 hr 이상의 추출은 flavonoids 함량변화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못하여 추출 4 hr와 5 hr째에 각각 8.5 mg과 8.4 mg이 검출되어 최적 추출 시간은 3 hr이 적당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Lim [16] 등이 최적 추출시간을 3 hr으로보고한 결과와는 일치하지만, Lee [14] 등은 6 hr 그리고 Kim [9]은 12 hr으로 보고한 결과와는 약간 상이하였다.
Fig. 3. Contents of flavonoids in propolis according to extraction times. The data are shown as mean ± SD obtained from three independent experiments (p<0.05).
추출온도의 영향
봉교로부터 프로폴리스를 추출할 때 최적 추출온도를 검토하여 Fig. 4에 나타냈다. 60% 에탄올을 봉교 질량의 10배(w/v) 부피로 첨가하고 120 rpm으로 진탕하면서 30~80℃ 온도 범위에서 추출한 다음 총 flavonoids 함량을 측정하였다. 추출온도 30℃와 40℃에서는 flavonoids 함량이 6.5 mg/g과 6.8 mg/g을 나타내어 거의 변화가 없었지만 50℃에서는 8.63 mg/g으로 급격하게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60℃, 70℃ 및 80℃에서는 각각 7.70 mg/g, 7.65 mg/g 및 7.40 mg/g이 검출되어 추출 온도는 50℃가 적당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propolis의 최적 추출온도를 Kim 등[9]은 60℃로, Lee [12]는 70℃, Lim [16]은 75℃로 발표한 결과보다는 낮은 온도였다. 그리고 Kim [9] 등은 추출온도가 높아질수록 밀랍의 추출량이 증가하여 propolis의 수율이 떨어지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Fig. 4. Contents of flavonoids in propolis according to extraction temperatures. The data are shown as mean ± SD obtained from three independent experiments (p<0.05).
추출 용매 부피의 영향
봉교로부터 프로폴리스를 추출할 때 용매의 최적 부피를 결정하기 위하여 봉교 5 g에 60% 에탄올을 25 ml, 50 ml, 75 ml, 100 ml 및 150 ml씩 각각 첨가하고 50℃에서 3시간 동안 진탕 추출한 다음 총 flavonoids 함량을 측정하여 Fig. 5에 나타냈다. 60% 에탄올 농도의 부피를 5배에서 15배까지 증가시킴에 따라 flavonoids의 함량은 급격하게 증가하였지만, 그 이상의 첨가는 효과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봉교 질량의 15배(w/v)에 해당하는 75 ml를 첨가하였을 때는 8.65 mg의 높은 flavonoids 함량이 검출되었으나 그 이상의 부피인 100 ml 및 150 ml를 첨가하였을 때는 각각 8.20과 8.00 mg/g으로 flavonoids 함량이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 최적 추출 용매 부피는 봉교 질량의 15배(w/v)가 적당한 것으로 판단된다. Propolis를 추출할 때 최적 용매 부피를 Lee [14] 등은 10배(w/v), Kim [10]은 20배(w/v)가 적당한 것으로 보고한 내용과는 약간 상의하였다.
Fig. 5. Contents of flavonoids in propolis on changes of volumes 60% Ethanol extraction solution. The data are shown as mean ± SD obtained from three independent experiments (p<0.05).
추출회수의 영향
봉교로부터 프로폴리스를 추출할 때 반복 추출회수가 추출되는 flavonoid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여 Fig. 6에 나타냈다. 봉교 5 g에 60% 에탄올 75 ml를 첨가하고 50℃에서 3시간씩 3회에 걸쳐 반복 추출한 다음 각 추출 횟수에 따른 총 flavonoids 함량을 측정하였다. 1회째 추출에서는 8.65 mg/g의 flavonoids가 추출되었고, 2회째에는 7.05 mg/g의 flavonoids가 추출되어 1회째 수율의 약 82%를 얻을 수 있어 추출회수가 flavonoids의 함량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3회째 추출에서는 flavonoids의 함량이 급격히 낮아져 1.50 mg/g의 flavonoids가 검출되어 1회째 수율의 약 17%를 나타내어 봉교로부터 propolis를 추출할 때는 2회까지의 반복추출이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Fig. 6. Contents of flavonoids in propolis according to extraction times. The data are shown as mean ± SD obtained from three independent experiments (p<0.05).
일반성분
봉교의 일반성분을 분석한 결과를 Table 1 나타냈다. 조지방이 79.48%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고 가용성 무질소물 11.1%, 수분 6.32%, 조단백은 1.74%, 회분 0.96% 및 조섬유 0.40% 순으로 나타났다. Jeong [9] 등과 Lee [12]는 조지방이 86.41%인 것으로 보고하였으며, Kim [11] 등은 경주 상주산 봉교를 구입하여 분석한 결과 수분, 조단백, 조지방 및 조회분의 함량이 각각 3.0%, 0.7%, 90.9% 및 0.2%인 것으로 보고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비교해 보면 조지방을 제외한 조단백질 및 조섬유 등의 함량은 비슷한 수준이나 조지방 성분에서 많은 차이를 나타내는 것은 지역의 환경적 요인 뿐만 아니라 추출하는 방법 및 조건에 따라서 propolis에 함유된 수지 및 밀납 성분의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9, 11, 14].
Table 1. Proximate compositions of crude propolis (unit : %)
The data are shown as mean ± SD obtained from three independent experiments (p<0.05).
유리당 함량
Propolis의 최적 추출조건에서 추출한 프로폴리스의 유리당 함량을 HPLC로 분석하여 Table 2에 나타냈다. 유리당 조성은 fructose, sucrose 및 rhamnose가 검출되었으며 그 함량은 각각 5.80, 2.61 및 1.32 mg/g로 나타났다. 그러나 glucose, maltose 및 xylose 등은 검출되지 않았다. Lee [12]는 경남지역에서 채취한 propolis의 유리당 함량을 측정한 결과 sucrose 152 mg%, glucose 114 mg% 및 fructose 6 mg%이 검출되어 maltose와 xylose가 검출되지 않은 것은 일치하였으나 유리당의 함량에서는 본 연구 결과와 약간 차이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환경적인 요인과 화분의 종류 및 채취시기에 따른 영향으로 여겨진다.
Table 2. Contents of free sugars in propolis (mg/g)
- ; Not detected. The data are shown as mean ± SD obtained from three independent experiments (p<0.05).
구성아미노산 함량
봉교 중의 구성아미노산 함량을 분석하여 Table 3에 나타냈다. 구성아미노산의 종류는 glutamic acid를 비롯하여 17종의 아미노산이 검출되었고 아미노산 총함량은 2.49 mg/g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 glutamic acid, aspartic acid 및 leucine의 함량이 각각 0.30, 0.28 및 0.24 mg/g 순으로 높게 검출되어 propolis의 주요 아미노산 성분으로 판단되었으며, cystine과 methionine 함량은 각각 0.03과 0.01 mg/g으로 낮게 나타났다. Jeong [9]등은 경남지역의 봉교를 수집하여 에탄올 농도에 따라 검출되는 아미노산의 종류 및 함량을 분석한 결과 50% 및 70%의 농도에서는 17종의 아미노산이 검출되었으며 lysine 및 glutamic acid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고, 95% 에탄올 농도에서는 15종이 검출되었으며 lysine 및 proline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보고하였다. 또한 Song과 Gil [23]은 아카시아 나무와 밤나무 유래 propolis를 분석한 결과 aspartic acid, proline 및 glutamic acid가 주요 아미노산 성분으로 보고하여 본 연구의 결과와는 약간의 차이를 나타냈다.
Table 3. Structural amino acid contents in crude propolis
The data are shown as mean ± SD obtained from three independent experiments (p<0.05).
총 Flavonoids 조성
프로폴리스에 함유된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의 조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CHCl3, ethyl acetate (EtOAc) 및 n-butyl alcohol (n-BuOH)로 분획하여 HPLC로 분석한 결과를 Table 4에 나타냈다. Table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apigenine, kaempferol, quercetin 및 myricetin 등은 검출되었으나 chrysin 및 luteolin 등은 검출되지 않았다. CHCl3 분획에서 apigenine이 4.91 mg/g crude propolis로 가장 높았고, ethyl acetate (EtOAc) 분획에서는 quercetin이 10.91 mg/g crude propolis로 가장 높게 검출되었다. 그리고 n-butyl alcohol (n-BuOH) 분획에서는 apigenine이 21.43 mg/g crude propolis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Lee [14] 등은 지역별로 봉교에 함유되어 있는 플라보노이드 중 quercetin의 함량이 영월 예천산에서 0.41-0.53%, 중국산은 7.92%로 비교적 높게 함유된 것으로 발표하였다.
Table 4. Contents of flavonoids in propolis of various solvents. (mg/g)
1)-: Not detected. The data are shown as mean ± SD obtained from three independent experiments (p<0.05).
The Conflict of Interest Statement
The authors declare that they have no conflicts of interestwith the contents of this article.
참고문헌
- A.O.A.C. 1984.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4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 Bankova, V. S., De Castro, S. L. and Marucci, M. C. 2000. Propolis: recent advances in chemistry and plant origin. Apidologie 31, 3-15. https://doi.org/10.1051/apido:2000102
- Borrelli, F., Maffia, P., Pinto, L., Ianaro, A., Russo, A., Capasso, F. and Ialenti, A. 2002. Phytochemical compounds involved in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propolis extract. Fitoterapia 73, S53-S63. https://doi.org/10.1016/S0367-326X(02)00191-0
- Chernyak, N. F. 1973. On synergistic effect of propolis and some antibacterial drugs. Antibiotiki 18, 259-261.
- Cizmarik, J. and Matel, I. 1978. Study of the chemical structure of propolis.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4-oxy-3-methoxycinnamic acid from propolis. Apimondia Publishing House 30.
- Debuyser, E. 1984. These pour diplome de docteur en pharmacie, pp. 34-41, In: La propolis, Fac, pharmacie, Nantes, France.
- Grange, J. M. and Davey, R. 1973. Antibacterial properties of propolis (bee glue). J. R. Soc. Med. 83, 259-261.
- Greenway, W., May, J., Scaysbrook, T. and Whatley, F. R. 1990. Identification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of 150 compounds in propolis. Zeitschrift fru Naturforschung 46, 111-121.
- Jeong, C. H., Bae, Y. I., Lee, H. J. and Shim, K. H. 2003. Chemical components of propolis and its ethanolic extracts. J. Kor. Soc. Food Sci. Nutr. 32, 501-505. https://doi.org/10.3746/jkfn.2003.32.4.501
- Kim, B. M. 2007. The effect of propolis concentration on the antibacterial activity. MS. thesi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Korea.
- Kim, C. T., Kim, C. J., Cho, Y. J., Choi, A. J. and Shin, W. S. 2002. Characteristics of propolis extracts from ethanol extraction. Kor. J. Food Sci. Technol. 34, 941-946.
- Lee, H. J. 2004.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propolis extracts and its development for functional foods. Ph.D. disserta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Korea.
- Lee, J. H., Bae, Y. I., Jeong, C. H. and Shim, K. H. 2006. Biological activities of various solvent extracts from propolis. J. Kor. Soc. Food Sci. Nutr. 34, 1-7.
- Lee, S. W., Kim, H. J., Yang, H. J. and Hwangbo, S. 2001. Studies on the flavonoid compositions of Korean propolis. Kor. J. Food Sci. Anl. Resour. 21, 389-394.
- Lejeune, B., Pourrat, A. and Dehmouche, H. 1988. Propolis utilization en democosmetologie. Parfums, Cosmetique, Aromes. 82, 73-77.
- Lim, D. K., Choi, U., Shin, D. H. and Jeong, Y. S. 1994. Antioxidative effect of propolis extract on palm oil and lard. Kor. J. Food Sci. Technol. 26. 622-626.
- Marcucci M. C. 1995. Propolis chemical composition, biological properties and therapeutic activity. Apidologie 26, 83-99. https://doi.org/10.1051/apido:19950202
- Mizuno, M. 1989. Food packaging materials containing as a preservative. Japanese Patent. JP 01 243 973.
- Mizuno, M. 1989. Propolis or its extract-containing resin compositions. Japanese Patent. JP 01 245 058.
- National Food Research Institute. 1990. Food ingredient measurement method for food quality evaluation (2). p.61.
- Obregon, F. A. M. and Rojas, H. N. 1990. Antimicrobial action of alcoholic extracts of propolis. Revists Cubana de Farmacia 24, 34-44.
- Seol, J. W. 2010. AntimicrobiaI activity of propolis extracts and tea tree oil against pathogens relate to acne. Ph.D. disserta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Korea.
- Song, H. N. and Gil, B. I. 2002. Analysis of nutritional composition and phenolic compound in propolis collected from false acacia and chestnut tree in Korea. Kor. J. Food Sci. Technol. 34, 546-561.
- Volpi, N. and Bergonzini, G. 2006. Analysis of flavonoids from propolis by on-line HPLC-electrospray mass spectrometry. J. Pharm. Biomed. Anal. 42, 354-361. https://doi.org/10.1016/j.jpba.2006.04.017
- Walker, P. and Crane, E. 1987. Constituents of propolis. Apidologie 18, 327-334. https://doi.org/10.1051/apido:19870404
- Woo, S. O., Hong, I. P. and Han, S. M. 2015. Comparison of total flavonoids and phenolic contents of propolis collected in Korea. J. Apiculture 30. 293-298. https://doi.org/10.17519/apiculture.2015.11.30.4.293
- Yun, C. G., Cho, S. H., Kim, S. J., Lee, J. H., Jung, G. H., Kim, J. I., So, I. S., Park, Y. H. and Lim, J. H. 2021. Comparison of functional flavonoid components and contents from domestic propolis extracts. J. Sci. Edu. Gifted. 13, 213-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