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and Effects of 'Buddy TOC': A Sociability Program for 4- and 5-Year-Old Children through Cooperative Activities

협력 활동을 활용한 4, 5세 유아 사회성 프로그램 「버디톡」의 개발 및 효과

  • Received : 2023.08.14
  • Accepted : 2023.09.21
  • Published : 2023.10.31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ociability program for young children (Buddy TOC), consisting of cooperative activities, and to investigate its effects on children's sociability, such as empathy, self-regulation, and interpersonal skills. Methods: The contents of the program were extract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analysis of previous research. The goodness-of-fit of the drafted program was verified by specialis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hrough a preliminary study. The effects of 'Buddy TOC' were tested based on the selected 5 sessions with regard to children's empathy, self-regulation, and interpersonal skills. Overall, 70 participants (35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35 in the comparison group) were 4-year-olds, and 67 participants (33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34 in the comparison group) were 5-year-olds. The data were analyzed by conducting ANCOVA based on age. Results: Empathy, self-regulation and interpersonal skill of the 4- and 5-year-old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comparison group, and there were sligh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subareas. Conclusion/Implications: The field applicability and importance of 'Buddy TOC' as a sociability program, utilizing cooperative activities for the promotion of young children's social skills, were discussed.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 보건복지부 (2019). 「2019 개정 누리과정」 해설서. 교육부, 보건복지부.
  2. 권효진 (2016). 사회 정서적 보드게임 놀이가 만 4세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대인문제 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성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김영옥, 오숙현 (2001). 유아협동활동의 현장적용: 미술협동작업의 형태와 구성. 양서원.
  4. 김우영, 김영옥 (2014). 명화감상을 활용한 유아의 사회적 기술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유아교육연구, 34(3), 263-290. https://doi.org/10.18023/kjece.2014.34.3.013
  5. 김유경, 손원경 (2006). LT 협동학습이 유아의 자아개념과 자기조절력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15(1), 89-106.
  6. 박교연 (2021). 공감적 소통 프로그램 설계와 교육 효과 분석연구. 상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박미정, 엄정애 (2017). 유아의 자기조절학습능력과 놀이행동 간의 관계. 육아지원연구, 12(3), 25-46. https://doi.org/10.16978/ecec.2017.12.3.002
  8. 서미옥 (2004). 한국판 취학전 아동용 사회적 기술척도(K-SSRS: 교사평정용, 부모평정용)의 타당화 연구. 유아교육연구, 24(2), 223-242.
  9. 손복영 (2017). LT 협동학습을 활용한 배려교육이 유아의 배려행동 및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9), 195-222. https://doi.org/10.22251/jlcci.2017.17.9.195
  10. 신슬아 (2018). 유아 주도적 협동게임이 유아의 주도성과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신유림, 문혁준, 나종혜, 박진옥, 서소정, 신혜영 등 (2019). 놀이지도(4판). 창지사.
  12. 신은수 (1993). 유아교육의 교수방법으로서 협동학습활동이 유아에게 미치는 교육적 효과. 유아교육연구, 13(1), 133-147.
  13. 안부금 (2004). 또래협력에 의한 과학교수방법이 유아의 추론능력에 미치는 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9(2), 45-63.
  14. 안정은, 이효빈, 권연희 (2019). 그림책을 활용한 협동활동이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5(3), 61-81. https://doi.org/10.14698/jkcce.2019.15.03.061
  15. 양새롬, 김성희, 김성현 (2013). 미술요소 중심 협동미술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성, 언어능력, 그리기 표상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문제연구, 31(1), 207-235.
  16. 염연정 (2009). 글없는 그림책을 활용한 협동적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및언어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이수기 (2005). 협동미술활동이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이수진 (2012). 또래협동 신체활동이 유아의 또래유능성과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이슬아, 권석만 (2017). 자기조절의 이론적 접근과 심리장애와의 관계: 경험적 연구에 근거한 객관적 고찰.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6(1), 1-37. https://doi.org/10.22257/kjp.2017.03.36.1.001
  20. 이영애 (2019). 아이의 사회성. (주)DKJS.
  21. 이인원, 최기영 (2006). 또래협동 음악극 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11(3), 77-99.
  22. 이화원, 손은령 (2019). 동화를 활용한 협동적 신체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또래 유능성에 미치는 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6(4), 27-50. https://doi.org/10.22155/JFECE.26.4.27.50
  23. 정하나 (2015). 극화놀이를 통한 유아공감능력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4. 정현정 (2014). 따돌림 동화를 활용한 역할극이 만 4세 유아의 조망수용능력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덕성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5. 조재현, 김영희 (2017). 유아의 사회성발달과 정서발달에 관련된 변인의 메타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4(3), 253-275. https://doi.org/10.22155/JFECE.24.3.253.275
  26. 조주홍 (2019). 만 4세 유아의 협력적 신체활동의 효과적인 운영에 관한 실행연구. 영유아교육:이론과 실천, 4(1), 103-124. https://doi.org/10.20926/ETPIYC.2019.4.1.5
  27. 지성애 (2017). 자기조절에 기반한 유아 사회적 역량 증진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유아교육학논집, 21(6), 309-339.
  28. 천우영 (2016). 교사용 유아 공감능력검사도구의 개발 연구.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9. 최혜진, 김선영 (2015).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 공감능력이 대인관계형성능력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20(5), 323-346.
  30. 푸르니보육지원재단 (2016). 3-4세 푸르니 보육프로그램. 다음세대.
  31. 푸르니보육지원재단 (2019). 5세 푸르니 보육프로그램. 다음세대.
  32. Bodrova, E., & Leong, D. J. (1995). Tools of mind: A Vygotskyian approach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Prentice Hall.
  33. Bronson, M. M. (2000). Self-regulation in early childhood. The Guilford Press.
  34. Carver, C. S., & Scheier, M. F. (2016). Self-regulation of action and affect. In K. D. Vohs & R. F. Baumeister (Eds.), Handbook of self-regulation (3rd ed., pp. 3-23). Guilford Press.
  35. Davis, M. H. (1994). Empathy: A social psychological approach. Brown & Benchmark.
  36. Domitrovich, C. E., Cortes, R. C., & Greenberg, M. T. (2007). Improving young children's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e: A randomized trial of the preschool "PATHS" curriculum. The Journal of Primary Prevent, 28(2), 67-91. https://doi.org/10.1007/s10935-007-0081-0
  37. Gordon, M. (2010). 공감의 뿌리(문희경 옮김). 샨티. (원판 2005).
  38. Gresham, F. M., & Elliott, S. N. (1987). The relationship between adaptive behavior and social skills: Issues in definition and assessment. Th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21(1), 167-181. https://doi.org/10.1177/002246698702100115
  39. Howe, D. (2013). 공감의 힘(이경진 옮김). 지식의 숲. (원판 2012).
  40. Johnson, D. W., & Johnson, R. T. (2013). The impact of cooperative, competitive, and individualistic learning environments on achievement. In J. Hattie & E. Anderman (Eds.), International handbook of student achievement (pp. 372-374). Routledge.
  41. Katz, L. C., & McClellan, D. E. (2001). 어린이들의 사회적 능력 배양: 교사의 역할(홍용희 옮김). 양서원. (원판 2000).
  42. Kostelnik, M. J., Soderman, A. K., Whiren, A. P., Rupiper. M. L., & Gregory, K. M. (2017). 영유아 사회정서발달과 교육(박경자, 김송이, 신나리, 권연희, 김지현 옮김). 교문사. (원판 2015).
  43. Leary, M. R., & Guadagno, J. (2011). The sociometer, self-esteem, and the regulation of interpersonal behavior. In K. D. Vohs & R. F. Baumeister (Eds.), Handbook of self-regulation (pp. 339-354). Guilford Press.
  44. Shaffer, D. R. (2008). Social and personality development (6th ed.). Cengage Learning.
  45. Whitebread, D., Coltman, P., Pasternak, P. D., Sangster, C., Grau, V., Bingham, B., et al. (2009). The development of two observational tools for assessing metacogni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in young children. Metacognition and Learning, 4(1), 463-485. https://doi.org/10.1007/s11409-008-9033-1
  46. Zimmerman, B. J., & Martinez-Pons, M. (1990). Student differences in self-regulated learning: Relating grade, sex, and giftedness to self-efficacy and strategy us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2(1), 51-59. https://doi.org/10.1037/0022-0663.82.1.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