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노후산업단지의 비혁신형 도시산업 집적지 형성에 관한 연구: 서울온수산업단지를 사례로

A Study on the Non-Innovative Formation of Urban Industrial Agglomeration in an Old Industrial Complex: A Case of Seoul Onsu Industrial Complex

  • 정혜윤 (강원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인하대학교 소상공인 경제생태계 연구센터)
  • Hyeyoon Jung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Research Center for Small Businesses Ecosystem, Inha University)
  • 투고 : 2023.09.23
  • 발행 : 2023.09.30

초록

서울온수산업단지는 준공한 지 50년이 넘은 노후산업단지로, 산업단지 기반시설과 공장 건축물의 노후화가 진행중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서울온수산업단지에는 기계 산업 중심의 도시산업 집적이 발생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노후산업단지의 물리적 시설 노후화와 산업 집적 특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서울온수산업단지의 정체성을 도출하는 데에 있다. 연구 결과, 서울온수산업단지는 수도권에 집중된 거래 네트워크, 소필지화로 인한 영세기업의 입주, 소음 유발 공정의 허용, 고숙련 기술자 확보 용이성에 따라 도시산업 집적이 강화되고 있다. 그러나 이 집적은 산업단지 생산기능의 약화, 입주기업의 제한된 혁신성, 수도권 기계 산업경쟁력 약화에 따른 비혁신적 특성이 공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종합하면 서울온수산업단지의 정체성은 '비혁신형 도시산업 집적지'로, 수도권 중심의 기계 산업 네트워크에 기반한 비혁신적 집적이 발생하고 있는 노후산업단지이다.

The Seoul Onsu Industrial Complex, having been completed over 50 years ago, is an old industrial complex, with deteriorating infrastructure and factory buildings. Despite this, there's a current urban industrial agglomeration centered on the machinery industry in the Seoul Onsu Industrial Complex. This study aims to holistically analyze the physical deterioration of facilities in the aging industrial complex and the characteristics of industrial agglomeration to derive the identity of the Seoul Onsu Industrial Complex.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the complex is seeing an enhanced urban industrial agglomeration due to the influx of small-scale businesses resulting from concentrated trade networks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plot subdivision, permission for noise-producing processes, and the ease of securing highly-skilled technicians. However, this agglomeration coexists with a weakening of the complex's production function, limited innovativeness of resident companies, and non-innovative features resulting from weakened competitiveness in the metropolitan machinery industry. In summary, the identity of the Seoul Onsu Industrial Complex is a 'Non-Innovative Urban Industry Agglomeration', an old industrial complex, witnessing non-innovative agglomeration based on a machinery industry network centered in the metropolitan area.

키워드

참고문헌

  1. 권규상.강호제.박소영, 2018, 일자리 창출을 위한 도시형 제조업 집적지역 재생 전략: 인쇄업을 중심으로, 국토정책 Brief 658, pp.1-8. 
  2. 김묵한.박회석.장윤희, 2013, 온수산업단지 활성화 방안 연구용역, 서울연구원. 
  3. 김영수.홍진기.허문구.김정홍.최준석.김영민.장철순.류승한.강호제.김주훈, 2015, 노후산업단지 리모델링 종합계획 연구, 국토연구원.산업연구원. 
  4. 김용창.이후빈.권규상, 2013, "집적경제 요소로서 장소기반 신용이점: 서울 도심부 중부시장을 사례로," 국토지리학회지 47(2), pp.183-200. 
  5. 김주훈.변병설, 2018, "노후산업단지 재생사업 추진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1(2), pp.192-211.  https://doi.org/10.23841/EGSK.2018.21.2.192
  6. 김한울.이새롬.김종훈.이종민.유지영.윤형석.강명은.이지은, 2023, 2021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7. 김홍주.김륜희.김소연, 2020, 노후산업단지재생사업 활성화구역 사업모델 연구, LH토지주택연구원. 
  8. 류승한.김석윤.김형철, 2018, 산업단지 개발 50년: 성과와 과제, 국토정책 Brief, 686, pp.1-8. 
  9. 박광진, 2021, 노후산업단지 재생관점에서 도시첨단산업단지 평가지표 개발 연구,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도시지역개발경영학과 도시개발경영전공 박사학위논문. 
  10. 박용규.정성훈, 2012, "지역산업 클러스터의 세계적-지방적 연결성을 위한 주요 요소들,"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5(4), pp.642-659.  https://doi.org/10.23841/EGSK.2012.15.4.642
  11. 서연미.김용환, 2015, 대도시 공업용지 변화와 관리정책 방향, 국토연구원 국토정책 Brief, 498, pp.1-8. 
  12. 양원탁, 2018, "노후산업단지의 경쟁력 결정 요인 분석,"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2(1), pp.18-35.  https://doi.org/10.23841/EGSK.2019.22.1.18
  13. 이종호.이철우, 2008, "집적과 클러스터: 개념과 유형 그리고 관련 이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1(3), pp.302-318.  https://doi.org/10.23841/EGSK.2008.11.3.302
  14. 이철우, 2013, "산업집적에 대한 연구 동향과 과제: 한국지리학 연구를 중심으로," 대한지리학회지 48(5), pp.629-650. 
  15. 이희연, 2018, 경제지리학 제4판, 파주: 법문사. 
  16. 장철순, 2007, 노후산업단지 재정비 실행방안 연구, 건설교통부. 
  17. 장철순.서태성.류승한.강호제, 2011, 공공과 민간의 참여를 통한 산업단지 재생사업의 효율적 추진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18. 전상곤.공철.김용민, 2011, 동남권 산업집적(industrial agglomeration)이 지역경제 발전에 미치는 영향 및 정책과제, 한국은행 경남본부. 
  19. 전지혜.이철우, 2017, "클러스터 적응주기 모델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0(2), pp.189-213.  https://doi.org/10.23841/EGSK.2017.20.2.189
  20. 정선화, 2020, 영화산업의 자본조달과 지식축적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1. 정성훈, 2019, "한국 산업위기지역에 대한 정책적 진단과 처방,"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2(3), pp.237-245.  https://doi.org/10.23841/EGSK.2019.22.3.237
  22. 정혜윤, 2023a, 비혁신형 도시산업 집적지 형성에 관한 연구 ‑서울온수산업단지를 사례로‑ , 강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3. 정혜윤, 2023b, 비혁신형 도시산업 집적지 형성에 관한 연구 ‑서울온수산업단지를 사례로‑, 대한지리학회 2023년 연례학술대회 발표논문집(2023.06.24.), p.75. 
  24. 조혜영 외, 2014, 노후산업단지 구조고도화사업의 추진 현황과 활성화 방안, 한국산업단지공단. 
  25. 진정규.허재완, 2014, "산업단지 쇠퇴요인에 대한 실증연구 ‑전국 일반산업단지를 대상으로‑," 국토계획, 49(8), pp.49-61. 
  26. 최막중.남진.양승우.우명제.남기범.백운수.여춘동, 2015, 서울특별시 준공업지역 재생과 활성화 방안, 2030 준공업지역 종합발전계획 ‑온수산업단지 재생과 활성화 방안‑, 서울특별시. 
  27. 한국산업단지공단, 2023, 인포그래픽으로 보는 전국 산업단지(2023년 6월). 
  28. 허문구.임종인, 2012, "혁신잠재력과 기반인프라 분석을 통한 노후산업단지 경쟁력 강화 방안 ‑'산업단지 활력지수'를 중심으로‑," 지역개발연구, 44(2), pp.75-96. 
  29. 홍병곤, 2020, 노후산업단지 재생사업 평가기준 개발, 충북대학교 환경.도시공학과 도시계획 및 설계학 전공 경관도시공학과 박사학위논문. 
  30. 홍진기, 2009, 산업단지 구조고도화 사업의 효율적 추진 방안, KIET 산업경제분석 2009년 2월, pp.61-70. 
  31. 한국산업단지공단, 2023, 전국산업단지통계(2022년 4분기 기준). 
  32. Burger, M. J., van Oort, F., Frenken, K. and van der Knaap, B., 2009, "Networks and economic agglomerations: Introduction to the special issue," Tijdschrift Voor Economische en Sociale Geografie, 100(2), pp.139-144.  https://doi.org/10.1111/j.1467-9663.2009.00524.x
  33. Glaeser, E. L., Kallal, H. D., Scheinkman, J. A. and Shleifer, A., 1992, "Growth in Cities,"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100(6), pp.1126-1152.  https://doi.org/10.1086/261856
  34. Grabher, G, 1993, The Weakness of Strong Ties; the Lock-In of Regional Development in the Ruhr Area, in Grabher, G.(ed), The Embedded Firm: On the Socioeconomics of Industrial Networks, London: Routledge, pp.255-277. 
  35. Hassink, R., 1997, "What distinguishes 'good' from 'bad' industrial agglomerations?," Erdkunde, 51(1), pp.2-11.  https://doi.org/10.3112/erdkunde.1997.01.01
  36. Hoover, E. M., 1937, Location Theory and the Shoe and Leather Industries, Cambridge, MA:Harvard University Press. 
  37. Marshall, A., 1920, Principles of Economics, 8th Edition, London: Macmillan. 
  38. Martin, R. and Sunley, P., 2011, "Conceptualizing Cluster Evolution: Beyond the Life Cycle Model?" Regional Studies, 45(10), pp.1299-1318.  https://doi.org/10.1080/00343404.2011.622263
  39. Ohlin, B., 1933, Interregional and international Trade,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40. Porter, M. E., 1990, The Competitive Advantage of Nations, Basingstoke: MacMillan. 
  41. Potter, A. and Watts, H. D., 2011, "Evolutionary agglomeration theory: increasing returns, diminishing returns, and the industry life cycle," Journal of Economic Geography, 11(3), pp.417-455.  https://doi.org/10.1093/jeg/lbq004
  42. Quigley, J. M., 1998, "Urban Diversity and Economic Growth," Journal of Economic Perspectives, 12(2), pp.127-138.  https://doi.org/10.1257/jep.12.2.127
  43. Saxenian, A., 1994, Regional Advantage: Culture and Competition in Silicon Valley and Route 128,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44. Scott, A. J., 1988, New Industrial Spaces, Pion, London.
  45. Segal, D., 1976, "Are There Returns to Scale in City Size," The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58(3), pp.339-350.  https://doi.org/10.2307/1924956
  46.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s://www.law.go.kr/ (최종열람일: 2023년 9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