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How Does the Negative Response to Digital Shadow Work Influence the Continuous Use Intention of Users?: The Moderating Effect of Gratification Delay Ability

디지털 그림자노동에 대한 부정적 반응은 지속사용의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나?: 만족지연능력의 조절효과

  • TingTing Liu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Woong-Kyu Lee (Daegu University,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
  • Joon Koh (Chonnam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Business Administration)
  • Received : 2023.07.17
  • Accepted : 2023.07.28
  • Published : 2023.09.30

Abstract

Digital transformation and the COVID-19 pandemic have facilitated the rapid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non-face-to-face technologies such as self-service technologies (SSTs). This research investigates how motivation factors affect consumers' negative responses to digital shadow work (DSW) in SSTs which decreases their continuous use intention of SSTs. Also, we examine whether the grafication delay ability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s' negative responses to DSW and their continuous use intention of SSTs. By an analysis of usable 450 user respondents via SmartPLS 4.0, perceived benefits was found to significantly influence consumers' negative responses to DSW. Also, consumers' negative responses to DSW can significantly decrease their intention to continue using SSTs. Further, the effect of negative responses to DSW on continuous use intention of SSTs is stronger in case of consumers with low gratification delay ability than in case of consumers with high gratification delay ability. The study findings contribute to providing some strategies for companies operating SSTs by examining the effects of consumer's responses to DSW and gratification delay ability on the continuous usage intention of SSTs.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과 코로나19는 셀프서비스와 같은 비대면 기술의 확산을 가속화해 왔다. 본 연구는 셀프서비스 사용 환경에서 셀프서비스에 대한 지속사용의도를 감소시키는 디지털그림자노동에 대한 부정적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고자 한다. 또한 만족지연능력이 디지털 그림자노동에 대한 부정적 반응과 셀프서비스 지속사용의도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450명의 유효 표본을 가지고 SmartPLS 4.0으로 실증분석한 결과, 지각된 혜택이 디지털 그림자노동에 대한 부정적 반응에 유의한 영향을 끼쳤으며, 이러한 부정적 반응은 셀프서비스 지속이용의도를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또한 디지털 그림자노동에 대한 부정적 반응의 지속이용의도에 대한 효과는 높은 만족지연능력을 가진 사용자보다는 낮은 만족지연능력을 가진 사용자에서 더 강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디지털 그림자노동의 개념과 만족지연능력과 같은 심리적 변수가 어떻게 셀프서비스 지속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봄으로써 셀프서비스 운영기업들의 전략 수립에 기여할 수 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21S1A3A2A02089809).

References

  1. 김유리 (2016). 인지행동 집단미술치료가 취학 전 아동의 만족지연능력과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대학원.
  2. 김현규, 정남호, 부백 (2021). 사용자의 기술준비도가 기업의 셀프서비스기술 정책에 대한 공정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그림자 노동의 관점에서. 관광레저연구, 33(5), 373-394.
  3. 김현규, 정남호, 부백 (2022). 코로나 19 상황에서 고객의 셀프서비스기술에 대한 귀인 경향이 패스트푸드점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그림자노동의 관점을 중심으로. 정보시스템연구, 33(3), 19-129.
  4. 김혜순, 조복희 (2008). 유아의 만족지연능력 및 관련변인 판별분석: 만족지연실험상황을 중심으로. 한국아동학회지, 29(3), 339-356.
  5. 김효정, 이진명 (2020). 셀프서비스 키오스크에 대한 소비자의 저항 및 지속사용의도의 결정 요인. Human Ecology Research, 58(3), 401-416. https://doi.org/10.6115/fer.2020.029
  6. 박상철 (2019). 그림자노동 차원에서 본 IT 사용자의 비밀번호 변경행동 연구. 정보시스템연구, 28(2), 93-107.
  7. 박상철, 김종욱 (2021). 온라인 식료품 소비자의 그림자노동인식이 모바일 쇼핑회피와 전환행동에 미치는 영향. Information Systems Review, 23(4), 165-182.
  8. 박상철, 류성열 (2020). 맥도날디제이션 관점에서 본 SST 사용자의 그림자 노동.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20(1), 99-115.
  9. 박상철, 이웅규 (2019). 문헌고찰을 위한 근거이론방법의 활용: 디지털 환경에서의 그림자 노동 개념 도출. 지식경영연구, 20(2), 183-195. https://doi.org/10.15813/KMR.2019.20.2.009
  10. 박상철, 이웅규, 고준, 류성열 (2020). 디지털기술 환경에서의 그림자 노동 메커니즘 규명 연구. 경영학연구, 49(1), 31-50.
  11. 복소양, 고준 (2021). 디지털그림자노동의 강제성과 대가성 이슈: 공유서비스를 중심으로. 한국EA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39-248.
  12. 복소양, 고준 (2022). 디지털그림자노동(Digital Shadow Work)의 개념화: 강제성과 대가성 이슈를 중심으로. 정보시스템연구, 31(3), 89-108.
  13. 서우종, 원욱연, 홍진원 (2010). SNS웹 사이트의 품질요인이 사용자 만족, 지속적 사용의도 및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 연구. 산업혁신연구, 26(1), 99-132. https://doi.org/10.22793/INDINN.2010.26.1.005
  14. 송중식, 이웅규, 이병훈, 고준 (2022). 애플리케이션 사용자의 사용기간이 디지털그림자노동 유형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연구: LBS 기반 도와줘 앱 서비스를 중심으로. 한국IT서비스학회지, 21(6), 91-106. https://doi.org/10.9716/KITS.2022.21.6.091
  15. 유팅팅, 고준 (2021). 혜택/비용, 그림자 노동에 대한 부정적 태도, 반응행동 간 구조적 관계. 정보시스템연구, 30(2), 79-103.
  16. 이병훈, 고준 (2022). 콜센터 상담원의 기술 스트레스 현상 분석: 디지털그림자노동과 조직시민행동을 중심으로. 지식경영연구, 23(4), 21-41. https://doi.org/10.15813/KMR.2022.23.4.002
  17. 이웅규 (2021). 디지털그림자노동의 분류와 동태성 및 연구방향. 정보시스템연구, 30(1), 105-121.
  18. 이웅규, 조아라 (2022). 메이크업형 디지털그림자노동 사용을 지배하는 기제에 관한 연구: 프로필사진 관리 사례. 정보시스템연구, 31(3), 1-18.
  19. 이웅규, 조아라 (2023). 휴대용 디지털기기 엑세사리 구매과정의 질적 분석: 디지털그림자노동에 의한 해석. 정보시스템연구, 32(1), 85-108.
  20. 이지원 (2020). 기술기반 셀프서비스(TBSS)특성 요인이 태도만족을 매개로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과 Fall-back option의 조절효과. 박사학위논문, 전북대학교 대학원.
  21. 장현용, 박상철, 고준 (2020). 온라인 교육 수용 환경에서 시니어들의 디지털 행동 이해: 근거이론 적용. 지식경영연구, 21(2), 77-100. https://doi.org/10.15813/KMR.2020.21.2.005
  22. 전효아, 김경애, 김상희 (2013). 고객의 관계혜택이 기술기반 셀프서비스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기술 기반 셀프서비스의 유형을 중심으로. 마케팅관리연구, 23(1), 27-49.
  23. 정성용, 김진수 (2018). O2O 서비스의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Information Systems Review, 20(4), 1-23.
  24. Bembenutty, H. (2011). Academic delay of gratific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Self Regulated Learning: New Direction for Teaching and Learning, 126, 55-66. https://doi.org/10.1002/tl.444
  25. Bembenutty, H., & Karabenick, S. A. (1998). Academic delay of gratification. Learning and Individual Differences, 10(4), 329-346. https://doi.org/10.1016/S1041-6080(99)80126-5
  26. Bhattacherjee, A. (2001). Understanding information systems continuance: An expectation-confirmation model. MIS Quarterly, 25(3), 351-370. https://doi.org/10.2307/3250921
  27. Fishbein, M., & Azen, I. (1975).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Reading, MA: Addision-Wesley.
  28. Fornell, C., & Larcker, D. F. (1981).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8(1), 39-50. https://doi.org/10.1177/002224378101800104
  29. Fujita, K. (2011). On conceptualizing self-control as more than the effortful inhibition of impulse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Review, 15(4), 352-366. https://doi.org/10.1177/1088868311411165
  30. Funder, D. C., & Ozer, D. J. (1983). Behavior as a function of the situ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4(1), 107-112. https://doi.org/10.1037/0022-3514.44.1.107
  31. Hoerger, M., Quirk, S. W., & Weed, N. C. (1980).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delaying gratification inventory. Psychological Assessment, 23(3), 725-738. https://doi.org/10.1037/a0023286
  32. Illich, I. (1981). Shadow work. MA: Marion Boyars.
  33. Kim, S. J., Kim, H. J., & Kim, K. (2020). Time perspectives and delay of gratification-The role of psychological distance toward the future and perceived possibility of getting a future reward. Psychology Research and Behavior Management, 653-663.
  34. Kock, N. (2015). Common method bias in PLS-SEM: A full colinearity assessment approach. International Journal of e-Collaboration, 11(4), 1-10. https://doi.org/10.4018/ijec.2015100101
  35. Meuter, M. L., Ostrom, A. L., Roundtree, R. I., & Bitner, M. J. (2000). Self-service technologies: Understanding customer satisfaction with technology-based service encounters. Journal of Marketing, 64(3), 50-64. https://doi.org/10.1509/jmkg.64.3.50.18024
  36. Mischel, W. (1961). Delay of gratification, need for achievement, and acquiescence in another culture. The Journal of Abnormal and Social Psychology, 62(3), 543-552. https://doi.org/10.1037/h0039842
  37. Mischel, W. (2014). The marshmallow test: Understanding self-control and how to master it. Random House.
  38. Osatuyi, B., & Turel, O. (2018). Tug of war between social self-regulation and habit: Explaining the experience of momentary social media addiction symptom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85, 95-105. https://doi.org/10.1016/j.chb.2018.03.037
  39. Porter, M. E. (1980). Competitive strategy. New York: Free Press.
  40. Rose, R. (1991). What is lesson-drawing? Journal of Public Policy, 11(1), 3-30. https://doi.org/10.1017/S0143814X00004918
  41. Rutjens, B. T., & Loseman, A. (2010). The society-supporting self: System justification and cultural world view defense as different forms of self-regulation. Group Processes & Intergroup Relations, 13(2), 241-250. https://doi.org/10.1177/1368430209351703
  42. Ryoo, S. Y., & Park, S. C. (2021).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digital shadow work in mobile shopping apps context. Sustainability, 13(7697), 1-11.
  43. Shi, H. M., & Koh, J. (2022). Digital shadow work in self-service technologies use: How does it influence use emotion and behavior. 2022 Spring KMIS International Conference, 517-523.
  44. Soror, A., Hammer, B., Steelman, Z., David, F., & Limayem, M. (2015). Good habits gone bad: Explaining negative consequences associated with the use of mobile phones from a dual-systems perspective. Information Systems Journal, 25(4), 403-427. https://doi.org/10.1111/isj.12065
  45. Yanaoka, K., Michaelson, L. E., Guild, R. M., Dostart, G., Yonehiro, J., Saito, S., & Munakata, Y. (2022). Cultures crossing: The power of habit in delaying gratification. Psychological Science, 3(7), 1172-1181. https://doi.org/10.1177/09567976221074650
  46. Zang, L., & Feng, Y. (2023).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work engagement in chinese kindergarten teachers: Vocational delay of gratification as a mediator. Frontiers in Psychology, 14, 1-10. https://doi.org/10.3389/fpsyg.2023.1114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