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anagement and Supervision Measures for Virtual Asset Ecosystem

가상자산 생태계 관리・감독 방안

  • Received : 2022.10.04
  • Accepted : 2023.06.30
  • Published : 2023.09.30

Abstract

With the virtual asset market's rapid growth, government regulations on listing and trading procedures are expected. However, specific measures are currently lacking. To ensure stable inclusion in the institutional framework, precise regulations are needed for market development and investor protection. This study compares self-regulatory guidelines of the top domestic virtual asset exchanges with Korea Exchange's Preliminary Listing Examination Standards (2022) to enhance timeliness and relevance. It defines IEO, IPO, and ICO concepts and addresses conflicts of interest in IEO. Analyzing delisted virtual assets, it categorizes issues and classifies listing examination guidelines into formal and qualitative requirements. The study examines self-regulatory guidelines based on continuity, transparency, stability, corporate characteristics, and investor protection criteria, along with five special requirements for virtual assets. Improvement measures include regular disclosures of governance structure, circulation volume, and the establishment of independent audit institutions. This research further analyzes delisting cases, classifies issues, and proposes solutions. Considering stock market similarities, it offers measures based on the institutional framework.

가상자산 시장의 가파른 성장과 함께, 가상자산 상장 및 거래 절차에 대한 정부 차원의 규제가 가해질 전망이나, 구체적인 규제 방안은 부재한 상황이다. 향후 안정적인 제도권 편입을 위해서는 시장 생태계 조성과 투자자 보호를 위한 더욱 구체적인 규제 방안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국내 5대 가상자산거래소의 자체 가이드라인과 한국거래소의 예비상장심사기준(2022)을 비교하였다. 본고에서는 IEO, IPO, ICO의 개념을 정의하고 IEO의 이해상충 문제를 명시하였다. 이후, 규제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실제 상장 폐지된 가상자산의 사례를 분석하고 문제점을 유형별로 분류하였다. 또한 유가증권 시장 상장 심사 가이드라인을 형식적 심사 요건과 질적 심사 요건으로 분류하고, 질적 심사 요건은 기업의 계속성, 경영 투명성, 경영의 안정성, 주식회사 속성 및 투자자 보호 총 네 가지 기준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사례 분석을 통해 얻은 구조적인 문제를 보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방안은 지배 구조 정기 공시, 유통량 정기 공시, 독립 감사 기관 신설 총 세 가지다. 본고는 기존 연구에서 한발 더 나아가 실제 상장 폐지 사례를 분석하고 그 문제점을 유형별로 분류하여 개선안을 제시하였다는 점, 유가증권 시장과 가상자산 시장의 유사성을 감안하여 제도권의 프레임워크를 차용하여 보완책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고동원 (2018). 암호화자산 거래와 제도화 방안. 상사판례연구, 31(4), 291-318. https://doi.org/10.22864/KCCA.2018.31.4.008
  2. 금융위원회 (2023). 토큰 증권(Security Token) 발행·유통규율체계 정비방안.
  3. 기노성 (2020). 가상자산 거래의 법적 쟁점과 규제 방안-시장의 신뢰성 확보를 위한 방안을 중심으로. 금융법연구, 17(1), 67-96.
  4. 김갑래 (2021). 가상자산 거래자 보호를 위한 규제의 기본 방향. 자본시장연구원 이슈보고서, 21-27.
  5. 김갑래 (2022). 국내 ICO 시장과 STO 시장의 당면 과제와 발전 방향. 자본시장연구원 이슈보고서, 22-13.
  6. 김범준, 이채율 (2021). 가상자산거래소에 대한 최근의 규제동향과 개선과제-이용자 보호의 측면을 중심으로. 홍익법학, 22(3), 13-47. https://doi.org/10.16960/JHLR.22.3.202109.13
  7. 김현수 (2022). 가상자산거래소의 민사책임-우리나라와 일본의 최근 판결례를 소재로-. 소비자법연구, 8(4), 15-42. https://doi.org/10.22820/JCL.8.4.202211.15
  8. 김홍기 (2022). 가상화폐의 본질과 가상자산시장의 규제방안. 상사법연구, 41(1), 1-50.
  9. 맹수석 (2021). 가상자산에 대한 제도 개선 방안의 검토-비트코인 등 블록체인기술 기반의 가상자산을 중심으로-. 법학연구, 21(2), 151-180.
  10. 신지혜 (2022). 가상자산의 특성과 법적 규율-블록체인 기반가상자산의 위험성과 규율 방향을 중심으로. 소비자법연구, 8(3), 89-118. https://doi.org/10.22820/JCL.8.3.202208.89
  11. 유양욱 (2022). 가상자산의 유형별 규제방식에 관한 연구. 고려법학, 105, 33-80.
  12. 이지언 (2021). 가상자산거래업, 이해상충 규제의 필요성. 주간금융브리프, 30(16), 13-14.
  13. 전우정 (2019). 암호화폐의 법적 성격과 규제개선 방안-민법상 물건, 금전, 자본시장법상 증권인지 여부 검토. 금융법연구, 16(1), 147-199.
  14. 전인태 (2021). 블록체인 산업 발전을 위한 가상자산거래소 시스템 구축 방안. 글로벌금융리뷰, 2(1), 137-159.
  15. 표춘미 (2021). 블록체인 기반 가상통화(IEO)의 거래소상장 연구. 관리회계연구, 21(3), 91-120.
  16. 홍준호 (2022). 가상자산사업자 신고에 관한 법제도 분석 및 규제 개선 방안 연구-특정금융거래정보의 보고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 및 시행령을 중심으로-. 법이론실무연구, 10(1), 55-75.
  17. KRX (2022). 2022 유가증권시장 상장심사 가이드북.
  18. Anson, M. (2021). Initial exchange offerings: The next evolution in cryptocurrencies. The Journal of Alternative Investments, 23(4), 110-121. https://doi.org/10.3905/jai.2021.1.127
  19. Cuervo, C., Morozova, A., & Sugimoto, N. (2020). Regulation of crypto assets. Fintech Notes, 2019(003).
  20. Cumming, D. J., Johan, S., & Pant, A. (2019). Regulation of the crypto-economy: Managing risks, challenges, and regulatory uncertainty. Journal of Risk and Financial Management, 12(3), 126.
  21. Demertzis, M., & Wolff, G. B. (2018). The economic potential and risks of crypto assets: Is a regulatory framework needed? Bruegel Policy Contribution, 2018/14.
  22. Financial Stability Board. (2022). Regulation, supervision and oversight of crypto-Asset activities and markets.
  23. Inozemtsev, M. I. (2020). Digital assets in the United States: Legal aspects. In International Scientific and Practical Conference (pp. 514-522). Springer, Cham.
  24. Li, J., & Mann, W. (2018). Initial coin offering and platform building. SSRN Electronic Journal, 1-56.
  25. Massad, T. G., & Jackson, H. E. (2022). How to improve regulation of crypto today-without congressional action-and make the industry pay for it. Hutchins Center Working Paper #79.
  26. Nabilou, H. (2019). How to regulate bitcoin? Decentralized regulation for a decentralized cryptocurrency. International Journal of Law and Information Technology, 27(3), 266-291. https://doi.org/10.1093/ijlit/eaz008
  27. 고팍스. https://www.gopax.co.kr
  28. 빗썸. https://www.bithumb.com
  29. 업비트 (2022). 업비트 투자자 보호센터. https://m.upbitca re.com/academy/education/coin/92
  30. 업비트. https://upbit.com
  31. 코빗. https://www.korbit.co.kr
  32. 코인원. https://coinon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