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urvey of Status of Operation and Students' Perception about the Theory-focused and Practice-focused Online Classes in Engineering Colleges: Based on the Implementation of Online Class in Response to COVID-19

공과대학의 이론 및 실험·실습 원격수업 운영현황 조사 및 학생 인식 탐색: COVID-19 대응 운영 중심으로

  • Kim, Dasom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Dankook University) ;
  • Lee, Young He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Dankook University)
  • 김다솜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
  • 이영희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 Received : 2023.06.19
  • Accepted : 2023.08.31
  • Published : 2023.09.30

Abstract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operation status and the students' perception for both theory-focused and practice-focused online class in engineering college that were implemented in responses to COVID-19. For this purpose of the study, the survey including the open-ended questions were conducted to the 147 students in college of engineering in 2021 at one of the universities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The survey were analyzed by SPSS 26.0 and the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while the most students were satisfied with the operation of online classes that were implemented in response to COVID-19, many students were unsatisfied with the practice-focused online class. Also,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the level of students' satisfaction for some factors of online class operation in terms of the students' background.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me parts of students' satisfaction in terms of the background of students. specifically, males students were more satisfied with the supports of teaching assistant in online classes than female students and the junior and senior levels of students are more satisfied with the teaching strategies of online classes than freshman and sophomore year students. Third, the level of students' satisfaction was different in terms of the types of online platforms as well as the methods of communication between students and professors. Finally, even though the students in the college of engineering understand the benefits in the online classes, they indicated the limitations and difficulties for participating in practice-focused online class and demanded the improvement of the operation for the online lab classes. The further research needs to b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operation for online lab and practice classes in college of engineering.

Keywords

References

  1. 권성연(2011). 온라인 학습에서 사회적 실재감과 학습자 특성, 토론효과 및 학습효과 인식, 만족도와의 관계 연구. 교육과학연구, 42(3), 55-82.
  2. 김건희(2021). COVID-19에 따른 전면 원격강의 전후 미디어리터러시, 그릿의 차이와 자기조절학습능력 영향요인. 조형미디어학, 24(1), 272-279.
  3. 김남미(2020). 이공계열 대상 실시간 원격 발표 수업의 운영. 리터러시연구, 11(6), 311-339.
  4. 김미은 외(2020). 코로나 19로 인한 온라인 강의 대체가 간호대학생의 학습동기, 교수와 학생의 상호작용 및 온라인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7), 519-541.
  5. 김병희.정미애.김언진(2021). COVID-19 상황을 맞은 대학생의 온라인 수업에 대한 만족도와 효과성.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5), 767-780.
  6. 김지심.강명희(2010). 기업 이러닝에서 학습자가 인식한 교수실재감과 학습실재감, 학습효과의 구조적 관계 규명. 아시아교육연구, 11(2), 29-56.
  7. 김진희.이혜원(2016). 대학 Flipped Classroom 환경에서 교수실재감과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이 인지된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2(4), 733-753.
  8. 김현진(2020). 원격교육과 교육공학의 과제. 교육공학연구, 36, 619-643.
  9. 남영옥(2020). 대학의 온라인 수업 질 제고 요인에 대한 대학생의 전공계열별 요구분석. 학습자중심교과연구, 20(22), 975-997.
  10. 도재우(2020). 면대면 수업의 온라인 수업 전환과정에서 발생하는 설계 장애물에 대한 탐색. 교육문화연구, 26(2), 153-173.
  11. 두민영.권회림.문은경(2017).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 실재감이 학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메타 분석. 교육방법연구, 29(7), 185-210.
  12. 백상현(2020). 대학 교원의 교육요구도 분석: 인문사회계열과 이공계열 비교를 중심으로. 인문사회21, 11(6), 185-198.
  13. 서장욱.이찬(2020). 온라인 기반 대학교육 환경에서 학습자 실재감 강화를 위한 교수설계자의 실천과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8), 695-718.
  14. 송기영(2020). 온라인 실습수업의 이상과 현실 차이. 기계저널, 60(7), 37-41.
  15. 심선경(2012). 온라인수업에서 학습도구와 학습성취, 학습만족간의 관계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3), 487-497.
  16. 이쌍철.김정아(2018). 학생의 온라인수업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36(2), 115-138.
  17. 이영희.윤승준(2016). 대학 교양교육을 위한 융복합 프로그램개발 및 온라인 수업 적용 분석-단국대학교 이공계 학생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2(6), 147-173.
  18. 이영희.박윤정.윤정현(2020). COVID-19 대응 대학 원격강의 운영 사례 분석을 통한 유형 탐색. 열린교육연구, 28(3), 211-234.
  19. 이영희(2021). 코로나19 대응 대학 원격강의 운영 실태 및 학생 만족도 기반 효과적 운영 방안 탐색.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10(1), 271-306.
  20. 이은철(2017). 원격교육에 대한 성인 학습자의 집중 및 흥미 수준에 대한 연구-방송통신고등학교 학생을 중심으로. 기독교교육논총, 50, 319-349.
  21. 이정기.김정기(2014). 이공계열과 인문사회계열 대학생들의 이러닝 이용동기와 효과에 관한 연구 : e러닝에 대한 평가, 이용동기, 이용의도를 중심으로. 한국소통학보, 24, 76-111.
  22. 이종연.이은진(2010). 대학 이러닝에서 시스템, 정보 및 서비스 품질이 학습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교육과학연구, 41(3), 119-147.
  23. 이지연 외(2020). 코로나 19 시대 온라인수업의 도전과 과제. 기술교육연구, 38(3), 671-692.
  24. 임철일.김혜경.김동호(2012). 글로벌 공학교육의 원격화상강의에 대한 학습자 만족 분석. 공학교육연구, 15(4), 66-75.
  25. 정재원.허정은.박효원(2020). 코로나19로 인한 공과대학 교수자의 온라인 수업 경험 탐색. 공학교육연구, 23(6), 60-67.
  26. 정향기(2020). 코로나19상황의 대학교육에 있어서 전면적 온라인수업 실행 및 평가에 대한 학습자 만족도. 멀티미디어 언어교육, 23(3), 392-412.
  27. 최정선.권미경.최은경(2020). 실시간 온라인수업에 대한 교수자의 인식 및 만족도 연구. 동악어문학, 81, 135-168.
  28. 최창하.권진백(2020). 비대면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및 만족도 연구 (S대학교 이공계열 학생들의 사례를 중심으로).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2020(12), 1287-1289.
  29. 한송이.남영옥(2020). 대학의 온라인 수업 질 제고를 위한 교수역량 요인 요구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3), 1129-1149.
  30. 홍성연(2020).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원격교육 환경에서 대학 교양교과목의 수업성찰. 교양교육연구, 14(6), 283-298.
  31. 황석(2010). 멀티미디어 콘텐츠 기반의 공과대학 이러닝 교수법 연구 : K대학 사례. 공학교육연구, 13(6), 14-23.
  32. Garrison, D., Anderson, T., & Archer, W.(2000). Critical inquiry in a text-base environment: Computer Conferencing in Higher Education. The Internet and Higher Education, 2(2), 87-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