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데이터 마이닝을 활용한 도시공원 유입 요인 분석 연구 - 양재시민의 숲 공원을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Analysis of Influx Factors in Urban Parks Using Data Mining - Focus on Yangjae Citizens' Forest Park -

  • 박상훈 (평택대학교 도시계획부동산학과)
  • 투고 : 2023.05.12
  • 심사 : 2023.07.24
  • 발행 : 2023.09.30

초록

본 연구는 온라인에서 발생하는 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양재시민의 숲 공원의 유입 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도시공원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고 해당공원이 지닌 특성과 이용상의 차이를 확인하는 방법으로써 감성정보 분석방법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분석은 빅데이터를 활용하며, 연구의 핵심이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임에 따라 저자가 특허 등록한 '감성정보 분석 방법'의 방법론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시민들이 인지하는 양재시민의 숲의 유입 요인 중 가장 긍정 감성으로 도출된 것은 '공원 콘텐츠' 관련 요인으로 도출되었으며, 부정 감성 요인으로는 '공원 관리' 관련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향후 도시공원 활성화 지원사업 실행 시, '공원 콘텐츠'의 발굴에 더 심도 있는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analyzed the inflow factors of Yangjae Citizen's Forest Park using social big data generated online. To this end, the applicability of the emotional information analysis method is to be confirmed as a method of analyzing the perception of the city park and confirming the difference in the characteristics and use of the park. The analysis is based on big data, and as the core of the study is keyword network analysis, the methodology of the 'emotional information analysis method' patented by the author was appli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mong the influx factors of Yangjae Citizens' Forest recognized by citizens, the most positive emotional factor was derived as a factor related to 'park contents', and the negative emotional factor was derived as a factor related to 'park management'. These research results suggest that more in-depth program development and operation are needed to discover 'park contents' when implementing urban park revitalization support projects in the future

키워드

과제정보

이 논문은 2018년, 2021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8S1A5A8030044, NRF-2021S1A5A8062886).

참고문헌

  1. 김기중, 2016, "도시구성요소가 도시열과 에너지소비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영향관계 규명 연구", 「서울도시연구」, 17(1), 125-145.
  2. 김대욱.김중권.정응호, 2010, "도시공원 조성에 따른 미기후환경의 변화 분석 - 대구광역시 중구를 대상으로", 「도시설계」, 11(2), pp.77-94.
  3. 김두섭, 1994, 사회과학을 위한 회귀분석, 法文社, 서울.
  4. 김순기.이재호, 2019, "이용집단에 따른 공원이용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공원 구성요소에 대한 연구 -2018년 한강공원 이용시민 만족도조사의 결과 분석을 바탕으로-", 「한국경관학회지」, 11(2), pp.21-33. https://doi.org/10.36466/SSW.21.1.2
  5. 김지은.박찬.김아연.김호걸, 2019, "제3세대 SNS에 표출된 공원 유형별 이용 특성 분석", 「한국조경학회지」, 47(2), pp.49-58. https://doi.org/10.9715/KILA.2019.47.2.049
  6. 김현.김예성.이다솜.김지엽, 2015, "도시공원 이용권 분석을 통한 수원시 공원서비스의 적정성 평가", 「한국조경학회지」, 43(2), pp.114-124. https://doi.org/10.9715/KILA.2015.43.2.114
  7. 박상훈.안영아, 2021, "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한 도시공원 인식 비교 분석 연구", 「도시행정학보」, 34(4), pp.23-42. https://doi.org/10.36700/KRUMA.2021.12.34.4.23
  8. 엄붕훈.한성미, 2011, "대구시 공원녹지에 대한 시민 만족도의 경시적 변화 분석", 「한국조경학회지」, 39(6), pp.67-75. https://doi.org/10.9715/KILA.2011.39.6.067
  9. 염성진.박청인, 2011, "도시공원녹지의 구성과 배치 특성에 따른 이용만족도에 관한 연구 -일본 타마뉴타운의 사례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9(5), pp.12-20. https://doi.org/10.9715/KILA.2011.39.5.012
  10. 우경숙.서주환, 2020, "빅데이터를 활용한 도시공원 이용행태 특성의 시계열 분석", 「한국조경학회지」, 48(1), pp.35-45. https://doi.org/10.9715/KILA.2020.48.1.035
  11. 이윤주.서지훈.최진탁, 2014, "SNS 텍스트 콘텐츠를 활용한 오피니언마이닝 기반의 패션 트랜드 마케팅 예측분석",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12(12), pp.163-170.
  12. 최윤의.전진형.이정아, 2014, "도시광장 설계요소 및 공간 이용 만족도 분석- 광화문광장과 금빛공원광장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42(6), pp.111-123. https://doi.org/10.9715/KILA.2014.42.6.111
  13. Borgatti, S. P., A. Mehra, D. J. Brass, and G. Labianca, 2009, "Network analysis in the social sciences". Science 323(5916), 892-895.
  14. Chen, Y., W. Yue, and D. La Rosa, 2020, "Which communities have better accessibility to green space? An investigation into environmental inequality using big data".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204, 103919.
  15. Geng, D. C., Innes, J., Wu, W., & Wang, G., 2021, "Impacts of COVID-19 pandemic on urban park visitation: a global analysis", "Journal of Forestry Research", 12, pp.1-15.
  16. Hoggett, P., 2001 "Democracy, social relations and ecowelfare". Social Policy & Administration 35(5), 608-626.
  17. Lee, J. H. and D. Matarrita-Cascante, 2019, "Gardeners' past gardening experience and its moderating effect on community garden participation". Sustainability 11(12), 3308.
  18. Schule, S. A., K. M. Gabriel and G. Bolte, 2017, "Relationship between neighbourhood socioeconomic position and neighbourhood public green space availability: An environmental inequality analysis in a large German city applying generalized linear models". International Journal of Hygiene and Environmental Health 220(4), 711-718. https://doi.org/10.1016/j.ijheh.2017.02.006
  19. Liu, B., 2012, "Sentiment analysis and opinion mining," Synthesis Lectures on Human Language Technologies, Vol.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