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areer Education Program for Science Subjects Using Local Resources

지역자원을 활용한 과학교과 연계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 Received : 2023.07.28
  • Accepted : 2023.08.24
  • Published : 2023.08.30

Abstract

This study developed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career education programs linked to science subjects and local natural resources, and explored learning effects and implications for developing and operating career programs.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a 10-hour career education program using local natural and social resources was developed and applied to 25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in rural areas. As a result of the study, most of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re not well aware of the natural and social resource value of the area where they lived. Therefore, when developing and operating a regional-based career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in rural areas, it is necessary to operate a separate teaching/learning activity time so that students can fully know the natural and social information and resource values of the region. In addition, in order to enhance students' participation and interest in career education programs, it is necessary to organize the operation of the program in groups, not individuals, and to guide students in detail by dividing the program's performance process into several sub-steps. Finally, the core material of regional-linked career education-related programs focused more on their own content, that is, agricultural products grown by parents, and future job settings were higher in start-ups that directly operate companies such as travel agencies and manufacturing companies. Given the recent emphasis on career education in the curriculum, it is suggested that local students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finding materials with local resource value in the field of geoscience, which is closely related to natural resources, and developing and operating them as career education programs linked to local resources.

본 연구는 진로교육과 관계된 선행연구 결과들을 참고하여 과학교과 및 지역의 자연자원을 연계한 초중등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초중학생들에게 적용하고 각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들의 학습 결과와 진로 교육적 관점에서 학습효과 그리고 지역자원 연계 진로 프로그램개발과 운영에 따른 시사점을 탐색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지역의 자연과 사회자원을 활용한 10차시 분량의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농촌지역 초중학생 25명에게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 참여한 초중학생들의 대부분은 본인들이 생활하는 지역에 대한 자연·사회적 자원가치를 잘 알지 못하였다. 그러므로 농어산촌 지역에서 초중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지역기반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할 경우, 해당 지역의 자연·사회 정보 및 자원 적 가치에 대해 학생들이 충분히 알 수 있도록 별도의 교수/학습활동 시간을 운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들의 참여와 흥미를 제고시키기 위해서는 프로그램의 운영을 개인이 아닌 모둠단위로 조직하고, 프로그램 수행과정을 몇 개의 하위단계로 나누어 각 단계에 대한 활동내용을 구체적으로 안내해 줌으로써 학생들이 프로그램을 수행하는데 활동내용과 순서를 명확히 인지하고 활동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지역 연계 진로교육 관련 프로그램의 중심소재가 자신과 관계 깊은 내용, 즉 부모님이 재배하는 농산물의 품목등에 더 집중 하였으며, 프로그램에서 미래 직업설정이 농장주 등 1차 생산관계자에 비해 여행사, 제조회사 대표 등 회사를 직접 운영하는 창업 등에서 학생들의 참여도와 흥미가 높게 나타났다. 최근 교육과정에서 진로교육이 강조되는 추세를 감안하여 특히 자연자원과 밀접한 내용적 관계가 있는 지구과학분야에서 지역의 자원 적 가치를 지닌 소재를 발굴하고 지구과학교육 분야에서 이를 지역자원과 연계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으로 개발·운영함으로써 지역 학생들이 자신의 지역에서 미래 직업을 탐색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는 것에 더 많은 관심이 필요함을 제언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the Gwa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s Faculty Research Year Fund.

References

  1. 교육부(2022a). 2022 개정교육과정 공청회 개최 주요내용.
  2. 교육부(2022b). 초.중고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고시 제2022-33호 (별책 1).
  3. 교육부(2022c). 초등학교 교육과정. 교육부고시 제2022-33호 (별책 2).
  4. 교육부(2023). 학생의 자기주도적 진로개발역량 강화를 위한 2023년 진로교육 내실화 지원 계획(안). 기초학력 진로교육과.
  5. 김봉환 등(2017). 진로교육개론. 한국생애개발 상담학회 진로진학상담총서(01). 주) 사회평론아카데미.
  6. 김성자(1998). 중학교 과학교육을 통한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순식, 이용섭(2022). PBL을 적용한 환경글쓰기 수업이 초등학생들의 기후소양 및 환경감수성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5(3), 345-353.
  8. 김진관, 김종현(2015). 지석천 유역의 지형 발달과 지형 분류도 작성연구. 한국지리학회지, 4(1), 69-84.
  9. 류상희(2012). 실과교과서에 제시된 진로교육내용 분석.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5(4), 1-23.
  10. 박기락, 김형범(2023). 메타버스를 활용한 초등학생 대상 온라인 기반 학습형 STEAM 프로그램 개발.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6(1), 43-55.
  11. 박미희, 조규성(2013). 과학교과교육; 과학관련 진로교육에 대한 고등학교 과학 교사들의 인식. 과학교육논총, 38(1), 39-48.
  12. 박정근(2001). 과학수업을 통한 진로교육이 중학생의 진로성숙에 미치는 효과.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법제처(2022). 국가교육위원회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 https://www.lawnb.com/Info/ContentView?
  14. 서유미(2023). 중학교 과학 교과연계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손은정, 우애자(2003). 중등학생들의 과학과 관련된 지로 선택에 영향을 주는 요인 분석. 교육교육학연구, 7(2), 113-123.
  16. 윤현수, 이진영, 홍세선, 양동윤, 김주용, 조등룡(2013). 전남과 광주지역 구성암류의 GIS에 의한 지질시대별 암층별 분포율 및 분포특성. 한국암석학회지, 22(2), 153-177.
  17. 이상균(2017). 과학과 Eco-STEAM 수업이 초등학생들의 환경소양과 STEAM 태도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0(1), 62-75.
  18. 이용섭(2023). 초등예비교사들의 천문영역 교수방법에 대한 인식 조사연구.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6(1), 143-152.
  19. 이지연(2013). 부모지지가 청소년의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한국청소년학회지, 20(6), 219-241.
  20. 임희준(2014). 단기다건 시설광사의 효율적 건설사업관리 방안연구; 신도시 개발지역의 C시 학교시설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1. 장현진(2019). 미래 직업 변화와 현장 요구에 따른 초등학교 진로교육의 방향 및 실과교육에서의 전개 방안 탐색 연구. 실과교육연구, 25(3), 165-189.
  22. 장현진(2023). 초등학교 통합교과 교육과정의 진로교육 내용분석. 실과교육연구, 29(1), 101-122.
  23. 정철형(2011). 초등학교 진로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 실과교육연구, 17(4), 51-80.
  24. Herr, E. L., Cramer, S. H., & Niles, S. G. (2013). Career guidance and counselling through the lifespan; System approaches (6th ed.). Pearson.
  25. Marisa, P. G. (1997). Career education needs of secondary school graduates from Asturias, Spain. Journal of Career Development, 23(3), 215-229.
  26. Paisley, P. O., & Hubbard, G. T. (1994). Developmental school counselling programs; From theory to practice. American Counselling Association.
  27. Zunker, V. G. (2006). Career counselling; A holistic approach (7th ed.). Thomson Brooks/Co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