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Carbon neutrality, the international community's practical challenge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is becoming a key industrial strategy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nations. Despite concerns that China, as an economic powerhouse in the G2, may face challenges leading global climate change efforts due to its high-carbon-emitting industrial structure, it is leveraging carbon neutrality to enhance its industrial competitiveness. The Chinese government has formulated national policies for achieving carbon neutrality and detailed sector-specific plans to implement them. In particular, it aims to leverage carbon neutrality industrial strategies as a lever for adjusting the domestic industrial structure and fostering new industries, at the same time responding to international climate norms and external pressures. However, the effectiveness of carbon-neutral industrial strategies is expected to vary based on regional conditions such as economic and industrial levels. This article analyzes the regional conditions for implementing carbon neutrality in China, as well as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major industrial policies. Due to differing levels of economic development and industrial structures, significant variations in carbon emissions, size, emission sources, and efficiency are inevitable across regions. These disparities introduce diverse initial conditions and endogenous factors in pursuing carbon-neutral goals, limiting the direction and implementation of carbon-neutral industrial strategies favoring certain regions. In particular, the extent of policy autonomy granted to local governments regarding carbon neutrality implementation will influence the regional dynamics of central-local environmental governance. Consequently, it is crucial to emphasize regional monitoring alongside comprehensive national research to accurately navigate the path towards carbon neutrality in China. In summary, the article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regional variations in economic development, industrial structure, and policy autonomy for successful carbon neutrality implementation in China. It highlights the need for regional monitoring and comprehensive national research to determine a more precise direction for achieving carbon neutrality.
기후변화에 대응한 국제사회의 실천과제인 탄소중립이 각국의 국가 미래 발전을 좌우하는 핵심 산업전략으로 옮겨가고 있다. G2의 경제 대국으로 성장한 중국이지만 고탄소 배출의 산업구조로 인해 이 같은 기후변화 글로벌 이슈를 선도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일부 관측이 무색하게도, 중국은 탄소중립을 자국 산업경쟁력 강화를 위한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다. 중국정부는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국정 방침과 이를 이행하기 위한 분야별 세부 계획을 수립, 특히 탄소중립 산업전략을 통해 외부로부터의 기후대응 국제규범 외압을 자국 산업구조의 조정과 신산업 육성을 위한 지렛대로 삼고자 한다. 그러나 이 같은 탄소중립 산업전략은 지역별 경제·산업 수준 등 여건에 따라 중점분야 및 집행력에서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 글에서는 중국 지역별 탄소중립 이행여건과 주요 산업정책의 내용 및 특징을 분석한다. 상이한 경제발전 수준과 산업구조 등에 따라 지역별 탄소배출 규모, 배출원, 효율성에 상당한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다. 이는 중앙으로부터 주어진 탄소중립 목표를 이행하는 데 있어 상이한 초기 조건과 내생적 요소를 부여하게 되며, 이 같은 주어진 구조적 요인들은 각 지역에 유리한 탄소중립 산업전략의 방향과 중점정책의 조성 및 추진을 제약하게 된다. 특히 탄소중립 이행 관련 지방정부의 정책 자율성 정도를 제약함으로써, 중앙-지방 환경거버넌스의 지역별 특징이 나타날 것이다. 이 같은 점은 보다 정확한 중국 탄소중립 향방을 탐색하기 위해서 국가를 단위로 한 총괄적 연구와 더불어 지역별 모니터링이 긴요함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