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Trip Pattern of Workers at Gwangyang Port : Focusing on home-based work(HBW) trip Using Mobile Carrier Big Data

광양항 근로자의 통행 패턴에 관한 연구 : 모바일 통신사 빅데이터를 활용한 가정기반 통근(HBW) 통행을 중심으로

  • So, Ae-Rim ;
  • Shin, Seung-Sik
  • 소애림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해운정책연구실 ) ;
  • 신승식 (전남대학교 물류교통학과)
  • Received : 2023.09.11
  • Accepted : 2023.11.02
  • Published : 2023.12.31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workers' residence and home-based work(HBW) trip by utilizing data from mobile carrier base stations of Gwangyang Port and terminal workers. In the past, research on port-related traffic or trip patterns mainly focused on cargo-based movement patterns for estimating cargo volume and port facilities, but this study analyzed trip patterns for workers in Gwangyang Port ports and related industri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average number of regular workers in the port hinterland Gwangyang Port was 1,295 per month, and the residence of workers was analyzed in Gwangyang City (66.1%)>Suncheon City (26.6%)>Yeosu City (3.1%). The average number of temporary workers in the hinterland was 2,645 per month, and Gwangyang City (45.8%)>Suncheon City (20.1%)>Yeosu City (5.7%). Next, the average number of regular workers at Gwangyang Port terminals was 753 per month, and Gwangyang City (66.1%)>Suncheon City (28.9%)>Yeosu City (3.3%) was analyzed. The average number of temporary workers at Gwangyang Port terminals was 1,893 per month, and Gwangyang City (50.8%)>Suncheon City (19.7%)>Yeosu City (9.8%). This study is expected to calculate the number of workers based on individual traffic using actual mobile carrier data to estimate the actual number of workers if the workplace address and actual work place are different, such as in port-related industries. This study is the first to be conducted on workers at Gwangyang Port.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settlement conditions and urban planning, as well as transportation policies for port workers, by identifying the population coming from areas other than Gwangyang, where Gwangyang Port is located.

본 연구는 광양항의 배후단지와 터미널 근로자의 모바일 통신사 기지국 데이터를 활용하여 근로자의 거주지(유입지)와 가정기반(HB) 통근 통행량을 분석하였다. 과거 항만 관련 통행패턴 관련 연구는 주로 물동량 추정 및 항만시설 추정을 위한 화물 기반의 이동패턴에 중점을 두었으나, 본 연구는 광양항 항만 및 연관산업의 근로자를 대상으로 통행패턴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광양항 배후단지 상시 근로자는 월평균 1,295명이며, 근로자 거주지는 광양시(66.1%)>순천시(26.6%)>여수시(3.1%) 분석되었다. 배후단지 임시 근로자는 월평균 2,645명이며, 광양시(45.8%)>순천시(20.1%)>여수시(5.7%)로 분석되었다. 다음으로 광양항 터미널 상시 근로자는 월평균 753명이며, 광양시(66.1%)>순천시(28.9%)>여수시(3.3%)로 분석되었다. 광양항 터미널 임시 근로자는 월평균 1,893명이며, 광양시(50.8%)>순천시(19.7%)>여수시(9.8%)로 분석되었다. 분석결과를 통해 광양항 배후단지와 터미널에 근로하는 근로자 수의 정량적 추정하였다. 일반적으로 특정 지역의 고용과 일자리 관련 통계는 해당 지역의 사업체 근거지를 대상으로 국민연금 가입건수를 통해 산정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실제 모바일 통신사 데이터를 활용한 개인별 통행을 기준으로 근로자의 수를 추정하여 항만 관련 산업과 같이 사업장 주소지와 실제 근무지가 상이할 경우 실제 근로하는 근로자수를 보다 현실적으로 추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광양항의 근로자를 대상으로 수행한 최초의 연구이다. 분석결과를 통해 광양항에서 출퇴근하는 인구의 행정동별 정량적 결과값이 도출되었다. 특히 광양항이 위치한 광양 외에 지역에서 유입되는 인구를 파악함으로써 항만 근로자 대상 교통 정책뿐만 아니라 정주여건 및 도시계획 수립 등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논문은 '해양수산부 제 4차 해운항만물류 전문인력양성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References

  1. 강재영. (2012). 항만인력의 안정적 공급을 위한 제고방안 - 필수유지업무제도의 도입을 중심으로 -. 법학연구, 20(2), 141-179.
  2. 과학기술정보통신부(2023), ICT주요품목동향조사 : 이동전화 휴대폰단말기 유형별 회선수
  3. 구자용(2017), 공간 빅데이터를 이용한 개인 활동패턴의 시공간적 탐색: 서울시 지역의 트윗 데이터를 사례로, 국토지리학회, 51(3), 259-270.
  4. 김경태, 이인묵, 곽호찬, 민재홍(2015), 유동인구 추정시 통신자료의 활용에 관한 연구, 서울도시연구, 16(3), 177-187.
  5. 김경태, 오동규, 이인묵, 민재홍(2016), 이동통신 자료를 활용한 가정기반 OD 구축 및 분석, 한국철도학회지, 19(5), 656-662.
  6. 김근욱.정연식(2019), 모바일 통신 자료와 O/D 통행량의 상관성 분석-대구광역시 사례를 중심으로, 대한토목학회지, 39(5), 605-612.
  7. 김대성(2011), 대중교통 카드를 이용한 중력모형 파라메타 추정 및 탄력성 분석, 전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8. 김민성, 나주몽(2023), 광양시 항만물류산업의 지역경제 파급효과 분석-외생화산업연관모형을 중심으로, 한국항만경제학회, 39(2), 77-95.
  9. 김재훈.손지훈.박한우(2022), 통신사 빅데이터를 활용한 코로나 전염병 전후 대구 대학가 유동인구 분석 - 서울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22(3), 62-70.
  10. 도철웅(1997), 교통공학원론(하), 개정판. 서울: 청문각.
  11. 박병주(2020), 빅데이터로 분석한 신항 지역 근로자 거주 현황, 경남연구원 G.Brief, 81, 1-8.
  12. 소애림(2022). 물류산업의 일자리 평가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대학원
  13. 소애림,신승식(2022), 물류산업의 "괜찮은 일자리(Decent Work)"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전체산업 모형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항만경제학회지, 38(4), 139-169.
  14. 심규원.장진(2019), 통신사 가입자 위치정보를 활용한 계룡산 국립공원 탐방객 이동경로 분석, 국립공원연구지, 10(2), 258-265.
  15. 오장근, 허학영, 심규원, 김태근, 최진영, 이두형, 곽형진(2017), 통신 빅데이터를 활용한 국립공원 탐방객 실태조사 및 이용패턴 분석 검증 연구, 국립공원연구원, 1-125.
  16. 윤대식(2001), 교통수요분석 : 이론과 모형, 박영사.
  17. 여수광양항만공사 홈페이지, www.ygpa.or.kr
  18. 이민우.김예지.이재진.문규환.황선배.전용주.함유근(2020), 이동통신 데이터를 활용한 빅데이터 기반 역학조사지원 시스템, 한국빅데이터학회지, 5(2), 187-199.
  19. 임용택, 박철, 김대성, 엄진기, 이준(2012), 교통카드 데이터를 이용한 통행분포 모형 추정, 교통연구, 19(2), 1-11.
  20. 통계청(2023), 장래인구추계 2020
  21. 한국개발연구원(2008), 도로.철도 부문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 수정.보안 연구(5판)
  22. 한국교통연구원(2021), 국가교통DB
  23. 해양수산부(2020), 제4차 전국무역항 기본계획
  24. Dicket, J. W.(1983). Metropolitan Tranportation Planning. Second Edition, Bristol: Taylor & Francis.
  25. Girardin F, Vaccari A, Gerber A, Biderman A, Ratti C. Quantifying urban attractiveness from the distribution and density of digital footprints. International Journal of Spatial Data Infrastructures Research. 2009; 4: 175-200. DOI 10.2902/1725-0463.2009.04.art10
  26. Meyer, M. D. and E. J. Miller(1984). Urban Transportation Planning : A decision-Oriented Approach, New York: McGraw-Hill Book Co.
  27. Miller, H. J(2004), Handbook of Transport, Transport Geography and Spatial Systems vol. 5, Elsevier Science : 647~660
  28. M. G. Demissie, S. Phithakkitnukoon, T. Sukhvibul, F. Antunes, R. Gomes and C. Bento, "Inferring Passenger Travel Demand to Improve Urban Mobility in Developing Countries Using Cell Phone Data: A Case Study of Senegal," in IEEE Transactions on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vol. 17, no. 9, pp. 2466-2478, Sept. 2016, doi: 10.1109/TITS.2016.2521830.
  29. Ortuzar, J. de D. and L. G. Willumsen(1994). Modelling Transport, Second Edition, ChichesterL John Wiley & Sons.
  30. Papacostas C. S and P. D. Prevedouros(1993), Transportation Engineering and Planning. Second Edition, Englewood Cliffs: Prentice-Hall, Inc.
  31. Victor Soto, Enrique Frias-Martinez(2011), Automated land use identification using cell-phone records, In Proceedings of the 3rd ACM international workshop on Mobiarch, 1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