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온라인 커뮤니티에 드러난 MZ세대의 감성과 여론조사 간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otions of the MZ Generation Revealed in Online Communities and Public Opinion Surveys

  • 투고 : 2023.05.15
  • 심사 : 2023.06.26
  • 발행 : 2023.06.30

초록

The 'MZ generation' is accustomed to expressing their thoughts and opinions online. As a result, the role of social media in understanding the opinions and public sentiment of the MZ generation has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In particular, the role of social media in understanding the opinions of young people in political contexts such as policies and elections is becoming more significant. Traditionally, in such political situations, various institutions conduct opinion surveys to grasp the opinions of the people. However, existing opinion surveys have many errors and limitations in understanding the specific opinions of the entire population since they are conducted on arbitrary individuals through survey techniques. Online communities are representative social media that share the opinions of the public on specific issues such as politics, economics, and culture. Therefore, online communities are widely used as a means to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traditional opinion polls. In particular, the MZ generation is familiar with online platforms, and their political support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election results and policy decisions. With this regard,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ntiment reflected in online community text data by age group on major candidates and public opinion survey support rates during the Korean presidential election for those in their 20s. The analysis showed that negative sentiments reflected in online communities by the MZ generation have a negative correlation with public opinion survey support rate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ory and practice by revealing a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social media and public opinion polls.

키워드

과제정보

본 연구는 (주)바이브컴퍼니의 지원을 받아 데이터를 수집하였음.

참고문헌

  1. 강은경, 양선욱, 권지윤, 양성병, "유튜브 데이터를 활용한 20대 대선 여론분석", 지능정보연구, 제28권, 제3호, 2022, 161-183. https://doi.org/10.13088/JIIS.2022.28.3.161
  2. 공지영, 신현정, "[종합] 역대 최소 득표차 대역전 드라마... 김동연 경기도지사 당선", 2022, Available at http://m.kyeongin.com/vote/view.php?key=20220602010000424.
  3. 권주형, "메타버스의 확산과 사회혁신기업의 마케팅 전략", 혁신기업연구, 제6권, 제2호, 2021, 161-173. https://doi.org/10.37297/IER.2021.08.6.2.161
  4. 김규남, "'비호감 경쟁' 대선, MZ세대가 향방 가른다", 2021 Available at: https://h21.hani.co.kr/arti/politics/politics_general/51184.html.
  5. 김나라, 신경식, "부정적 편향이 온라인 평판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4,. 203-208.
  6. 김지윤, 강충구, "여론조사의 대표성: 표집과 조사방식에 대한 연구", 평화연구, 제22권, 제2호, 2014, 360-397.
  7. 김찬우, 박혜진, 윤희웅, 박한우, "2017년 한국 대통령 선거 캠페인의 논쟁적 이슈 구조",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제20권, 제2호, 2018, 937-948. https://doi.org/10.37727/jkdas.2018.20.2.937
  8. 김하나, "20대 대선에서의 유권자 의사결정 요인분석: 유권자의 긍정 부정 감정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3권, 제1호, 2023, 12-23. https://doi.org/10.5392/JKCA.2023.23.01.012
  9. 김호승, 이지형, "감성사전 정보가 결합된 특징통합벡터를 활용한 감성분석", 한국지능시스템학회 논문지, 제30권, 제6호, 2020, 494-499. https://doi.org/10.5391/JKIIS.2020.30.6.494
  10. 낭윤서, 김규정, "MZ세대를 겨냥한 게이미피케이션 기반 효과적인 디지털 마케팅 방안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2권, 제7호, 2022, 202-215. https://doi.org/10.5392/JKCA.2022.22.07.202
  11. 노환희, 송정민, 강원택, "한국 선거에서의 세대 효과: 1997년부터 2012년까지의 대선을 중심으로", 한국정당학회보, 제12권, 제1호, 2013, 113-140.
  12. 다음소프트, "컴퓨터 실행 가능한 감성 어휘 분류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컴퓨터 실행 장치", 2014, 10-2013-0048647.
  13. 대학내일20대연구소, 트렌드 MZ 2019, 한빛비즈, 2018.
  14. 대학내일20대연구소, 연령별로 살펴보는 온라인 커뮤니티 이용행태, 2021, Available at https://www.20slab.org/Archives/37890.
  15. 바이브컴퍼니, 2020년 사업보고서, 2021, Available at https://kind.krx.co.kr/common/disclsviewer.do?method=searchInitInfo&acptNo=20210810000393&docno=.
  16. 박세미, 황하성, "정치인들의 선거 캠페인 수단으로서 의 SNS 활용: 2015 년 4.29 재.보궐선거를 중심으로",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제17권, 제2호, 2016, 87-95. https://doi.org/10.7472/JKSII.2016.17.2.87
  17. 박영환, "집단정체성과 선거여론조사의 수용",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제13권, 제1호, 2020, 177-204. https://doi.org/10.22417/DPSS.2020.04.13.1.177
  18. 박한우, 이연옥, "복합적 텍스트 분석을 이용한 포털 댓글에 관한 연구-17 대 대통령 선거 기간 미디어 '다음'에 게시된 광운대 Bbk 동영상",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제11권, 제2호, 2009, 731-744.
  19. 서향리, 정재민, 윤종성, "MZ세대의 선거 참여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인문사회 21, 제13권, 제4호, 2022, 241-252. https://doi.org/10.22143/HSS21.13.4.17
  20. 성주은, "MZ세대를 위한 건축학 교육과 제도", 건축, 제65권, 제8호, 2021, 36-39.
  21. 신한나, 尹대통령 지지율 34% 한달째 제자리...'무당층' 대선 이후 최대[NBS], 2022 Available at https://m.sedaily.com/NewsView/26F39SUJSB/GE0303#cb.
  22. 안순태, 이하나, 정순둘, "토픽 모델링 분석을 통해 살펴본 세대 갈등에 대한 온라인 댓글 여론의 반응: 세대 연대를 위한 미디어 역할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66, 제1호, 2022 89-126. https://doi.org/10.20879/kjjcs.2022.66.1.003
  23. 양성진, "요즘 애들을 위한 기독교교육의 방향: MZ세대를 중심으로", 신학과세계, 제103권, 2022, 497-537. https://doi.org/10.21130/tw.2022.12.103.497
  24. 양세련, 김유빈, 조재희, "중간관리자의 혁신행동지향성 및 의사소통능력이 MZ세대 신입사원의 조직 몰입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조직문화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66권, 제6호, 2022, 64-108. https://doi.org/10.20879/kjjcs.2022.66.6.003
  25. 오영환, "선형회귀분석 기법을 이용한 고교야구투수의 투구속도 예측",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 논문지, 제14권, 제4호, 2019 381-390. https://doi.org/10.34163/jkits.2019.14.4.007
  26. 이종임, 박진우, 이선민, "청년 세대의 분노와 혐오 표현의 탄생: 온라인 커뮤니티< 에브리타임> 의 '혐오-언어'표현 실태분석을 중심으로",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제22권, 제2호, 2021, 5-37. https://doi.org/10.22876/BNC.2021.22.2.001
  27. 임혜빈, 주혜린, "성과평가의 공정성 인식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MZ세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제26권, 제2호, 2022, 379-403. https://doi.org/10.20484/klog.26.2.16
  28. 장경은, 김선호, 백영민, "선거여론조사 응답자는 어떤 시민인가? 정치참여로서의 선거여론조사 응답과 여론조사의 대표성 위기", 조사연구, 제23권, 제3호, 2022, 29-64. https://doi.org/10.20997/SR.23.3.2
  29. 정근웅, 김종욱, "감성분석 기반의 게임 소비자 온라인 구전효과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6권, 제3호, 2018, 145-156. https://doi.org/10.14400/JDC.2018.16.3.145
  30. 정선주, "소셜 플랫폼에 나타난 뷰티 인플루언서와 브랜드의 콜라보레이션 마케팅 활성화 전략-국내 화장품 브랜드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제26권, 제3호, 2020, 433-449. https://doi.org/10.18208/ksdc.2020.26.3.433
  31. 조원빈, "한국 사회 'MZ세대'와 정치 참여", 철학과 현실, 2022, 111-120.
  32. 조의행, "코로나 시기 영국인의 기부행동에 관한 연구: 영국 Z 세대의 비영리 자선기관에 대한 신뢰도를 중심으로", 국제학논총, 제36권, 2022, 217-243. https://doi.org/10.22971/JOIS.36..202212.217
  33. 중앙선거관리위원회, 공직선거법 제108조(여론 조사의 결과공표금지 등),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법제과, 2017, Available at https://www.law.go.kr/%EB%B2%95%EB%A0%B9/%EA%B3%B5%EC%A7%81%EC%84%A0%EA%B1%B0%EB%B2%95/%E7%AC%AC108%E6%A2%9D.
  34. 최자영, 김현아, 김용범, "온라인 리뷰가 매출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텍스트기반 감성지수를 중심으로", 유통연구, 제25권, 제3호, 2020, 1-21. https://doi.org/10.17657/jcr.2020.07.31.1
  35. 채종원, 이희수, 10명중 4명이 부동층 ... MZ세대 잡아야 대권 잡는다. 2021, Available at https://raythep.mk.co.kr/newsView.php?cc=&no=25229.
  36. 최시내, 오상희, "온라인 커뮤니티 에브리타임을 통한 대학생의 일상정보 이용행태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52권, 제3호, 2021 239-266.
  37. 최영재, "세대 변인이 선거결과에 미치는 영향: 18대 대통령선거의 세대 효과 분석", 스피치와 커뮤니케이션, 제15권, 제2호, 2016, 316-352.
  38. 최진봉, 이미선, "뉴미디어 시대 뉴스 소비자들의 뉴스 콘텐츠 소비실태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2호, 2017, 207-218. https://doi.org/10.5392/JKCA.2017.17.02.207
  39. 하재현, 김승인, "MZ세대를 위한 유튜브 이러닝의 고도화 서비스 제안", 디지털융복합연구, 제20권, 제1호, 2022, 309-316. https://doi.org/10.14400/JDC.2022.20.1.309
  40. 한경경제용어사, 전MZ세대, 2022 Available at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6084621&cid=42107&categoryId=42107.
  41. 홍소희, 김민, "MZ세대 특성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메소드에 관한 연구", 조형미디어학, 제24권, 제1호, 2021, 113-120. https://doi.org/10.35280/KOTPM.2021.24.1.13
  42. Biswas, A., N. Ingle, and M. Roy, "Influence of Social Media on Voting Behavior", Journal of Power, Politics & Governance, Vol.2, No.2, 2014, 127-155.
  43. Christopoulos, G.I., P.N. Tobler, P. Bossaerts, R.J. Dolan, and W. Schultz, "Neural correlates of value, risk, and risk aversion contributing to decision making under risk", Journal of Neuroscience, Vol.29 No.40, 2009, 12574-12583. https://doi.org/10.1523/JNEUROSCI.2614-09.2009
  44. Dong, X. and Y. Lian, "A review of social media-based public opinion analyses: Challenges and recommendations", Technology in Society, Vol.67, 2021, 101724.
  45. Foad, C.M., L. Whitmarsh, P.H. Hanel, and G. Haddock, "The limitations of polling data in understanding public support for Covid-19 lockdown policies", Royal Society Open Science, Vol.8 No.7, 2021, 210678.
  46. Furnham, A. and H. Cheng, "Personality traits and socio-demographic variables as predictors of political interest and voting behavior in a british cohort", Journal of Individual Differences, Vol.40, No.2, 2019, 118.
  47. Goldhaber, M.H., "The Attention Economy and the Net", First Monday, 1997.
  48. Kim, A.J. and K.K. Johnson, "Power of consumers using social media: examining the influences of brand-related user-generated content on Facebook",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58, 2016, 98-108. https://doi.org/10.1016/j.chb.2015.12.047
  49. KNU 한국어 감성사전, 2018, https://github.com/park1200656/KnuSentiLex. Retrieved by June, 13th, 2023.
  50. Lee, S., J. Park, S. Kang, J.-E. Lee, and S. Kim, "Performance analysis of various embedding models based on hyper parameters",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2018,. 510-513.
  51. McGregor, S.C., "Social media as public opinion: how journalists use social media to represent public opinion", Journalism, Vol.20, No.8, 2019, 1070-1086. https://doi.org/10.1177/1464884919845458
  52. Oliveira, D.J.S., P.H.D.S. Bermejo, and P.A. dos Santos, "Can social media reveal the preferences of voters? A comparison between sentiment analysis and traditional opinion polls",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 Politics, Vol.14, No.1, 2017, 34-45. https://doi.org/10.1080/19331681.2016.1214094
  53. Ridings, C.M. and D. Gefen, "Virtual community attraction: Why people hang out online",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Vol.10 No.1, 2004, 10110.
  54. Rozin, P. and E.B. Royzman, "Negativity Bias, Negativity Dominance, and Contagion",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Review, Vol.5, No.4, 2001, 296-320. https://doi.org/10.1207/S15327957PSPR0504_2
  55. Zhuravskaya, E., M. Petrova, and R. Enikolopov, "Political effects of the internet and social media", Annual Review of Economics, Vol.12, 2020, 415-438. https://doi.org/10.1146/annurev-economics-081919-0502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