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oncept of 'Loyalty and Filial Piety' in the Taoist Scriptures

도교 경전에 나타난 충효관 연구 - 『문창효경(文昌孝經)』과 『정명충효전서(淨明忠孝全書)』를 중심으로 -

  • Jo Min-hwan (Academy of East Asian Studies, Sungkyunkwan University)
  • Received : 2023.04.21
  • Accepted : 2023.06.07
  • Published : 2023.06.30

Abstract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loyalty and filial piety pursued by Taoists, focusing on the concept of loyalty and loyalty shown in Wenchang Filial Piety Classic and General Collection of Jingming on Loyalty and Filial Piety. After the Han Dynasty, the concept of loyalty and filial piety became the representative virtues that led the country and society to follow the ideology of Confucius as the dominant ideology. This applied to everyone from emperor to each individual. Taoism had different reasons for promoting the concept of loyalty and filial piety and these even varied from sect to sect, but generally, Taoism could also be said to emphasize loyalty and filial piety. Depending on the sect of Taoism, filial piety might be valued on its own or filial piety might be valued in conjunction with loyalty. In particular, defining Taoism was criticized for "forgetting the desirable behavior required in the human network of the world and severing relationships with various objects encountered in life." In this respect, the concept of loyalty and filial piety in General Collection of Jingming on Loyalty and Filial Piety, could be observed to emphasize 'filial piety' in conjunction with 'loyalty', and this shows the influence of Confucius' concept of loyalty and filial piety. At the same time, this shows the concept of loyalty and filial piety as reimagined by Taoism. The most fundamental aim of Taoism is to pursue immortality. However, as a prerequisite for becoming such a god, loyalty and filial piety, were practiced alongside 'gentleness' and 'humanity and trustworthiness.' Here, the Taoist emphasis on 'loyalty and filial piety', 'gentleness', and 'humanity and trustworthiness' is essentially the same as in Neo-Confucianism. However, seeking to become an immortal through these values represents a motivation that is different from Neo-Confucians who denied the pursuit of immortality. In this paper, loyalty and filial piety as understood and practiced by Neo-Confucian scholars will be compared with the same concepts in the Taoist context and the findings will be summarized via three categories. First, in the Taoist model longevity and the pursuit of immortality are seen as being closely related to filial piety. The reason why achieving longevity and pursuing immortality was considered closely related to filial piety is because this is a modified and enhanced reimagining of the Neo-Confucianist concept of loyalty and filial piety. The other is that Taoism's concept of loyalty and filial piety is richly supplemented with content about 'interactions between heaven and humankind.' When filial piety is practiced in this context, the principle of responding to the gods of heaven and earth is emphasized. At the same time, Taoism presents consequences for insufficient filial piety to parents or insufficient loyal to the king; disasters will be brought down by heaven. Finally, it is argued that the practice filial piety is necessary and should extend not only to parents to all phenomena in the world without distinguishing based on one's degree of intimacy to those phenomena.

이 논문은 『문창효경(文昌孝經)』과 『정명충효전서(淨明忠孝全書)』에 나타난 충효관을 중심으로 하여 도교가 지향하는 충효관을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한대(漢代) 이후 유학이 지배 이데올로기로 작동한 이후 효 관념은 국가와 사회를 이끌어가는 대표적인 덕목으로서 황제에서부터 한 개인에 이르기까지 모두 해당하였다. 도교에서도 충효를 강조하는 것은 마찬가지였다. 도교의 종파에 따라 효 그 자체를 중시하는 경우도 있고 효를 충과 함께 중시하는 경우도 있다. 특히 도교를 '세속에서의 인간관계망에서 요구되는 바람직한 행동거지를 잊어버리고 삶을 살아가면서 맞닥트리는 다양한 사물과의 관계를 끊는 것[絶世遺物]'으로 규정하는 것을 비판하면서 충과 효를 강조하는 '정명충효도(淨明忠孝道)'의 효도관 및 충효관은 유가의 충효관의 영향 관계를 보여주면서 동시에 도교의 효도관과 충효관을 보여준다. 도교가 지향하는 가장 근본적인 것은 불로장생하는 신선 되기 혹은 우화등선(羽化登仙)을 추구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 같은 신선이 되기 위한 전제조건으로 충효(忠孝), 화순(和順), 인신(仁信)을 행할 것을 요구한다. 충효, 화순, 인신을 강조하는 것은 유가와 동일하다. 하지만 그것을 통해 신선 되기를 추구하고자 하는 것은 유가에서 신선을 부정하는 것과 차별화된 사유에 속한다. 특히 정명충효도에서는 '절세유물'로 이해되는 도교관을 거부함과 동시에 충효를 통한 제가(齊家)와 치국(治國)은 물론 모든 만물에까지 충효의 이념과 실천을 강조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 유가의 효도관과 대비하여 본 도교 효도관의 특징은 세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하나는 도교가 추구하는 장수(長壽)하면서 성선(成仙)하는 것을 효와 매우 밀접하게 관련짓는다는 것이다. 이런 점은 장수성선(長壽成仙) 신앙을 가미해 유가의 효도관을 개조하고 제고시킨 점이 있다. 다른 하나는 도교의 효도관에는 천인감응(天人感應)의 사상이 농후하다는 점이다. 효행을 하면 천지신명과 감응한다는 도리를 강조하면서 동시에 불효하고 불충한 경우 하늘로부터 재앙을 받는다는 사유를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친소(親疏)의 구별을 하지 않고 부모부터 천지 만물에 이르기까지 효도를 실천해야 한다는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十三經經注疏」, 臺北: 中華書局, 1980.
  2. 「經書」, 서울: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1999.
  3. 蕉竑, 「老子翼.莊子翼」, 東京: 富山房 漢文大系, 1980.
  4. 「太上感應篇」, 正統道藏本
  5. 「太上大道玉清經」, 正統道藏本
  6. 「文昌孝經」, 正統道藏本
  7. 「淨明忠孝全書」, 正統道藏本
  8. 葛洪, 「抱樸子」
  9. 「孝經」
  10. 김태용, 「도교의 생명윤리」, 「도교문화연구𰃝 28, 2008. http://uci.or.kr/G704-001241.2008..28.009
  11. 김태용, 「선도와 충효: 「정명충효전서」를 중심으로」, 「중국학연구」 61, 2012. http://uci.or.kr/G704-000529.2012..61.002
  12. 이진수, 「「태상감응편」의 효사상 연구」,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48, 2011. http://uci.or.kr/G704-002009.2011..48.004
  13. 윤찬원, 「「태상감응편」에 나타난 도교 윤리관 연구」, 「도교문화연구」 31, 2009. http://uci.or.kr/G704-001241.2009..31.005
  14. 윤찬원, 「도교 권선서(勸善書)에 나타난 윤리관에 관한 연구: 후한시대 「태평경」을 중심으로」, 「도교문화연구」 29, 2008. http://uci.or.kr/G704-001241.2008..29.011
  15. 卿希泰 主编, 「中国道教史」 第3冊(修訂本), 成都: 四川人民出版社, 1996.
  16. 谢晨云, 「净明道的孝观念研究」, 华东师范大学碩士論文, 2020.
  17. 肖群忠, 「「文昌孝经」的道教孝道观」, 「道德与文明」, 西北师范大学科研处, 1997.
  18. 吕锡琛, 「论净明道对儒家忠孝思想的继承和发展」, 「株洲工学院学报」, 2005.
  19. 王明編, 「太平經合校」(全二冊), 北京: 中華書局, 1997.
  20. 李刚, 「忠孝成道: 净明道心性思想研究」, 厦门大学博士論文, 2020.
  21. 李昌龄.郑清之, 「太上感应篇集释」, 北京: 中央编译出版社, 2016.
  22. 章伟文, 「净明道的忠孝思想及形成原因初探」, 「江西社会科学」, 2003.
  23. 黃元吉 撰.許蔚點校, 「凈明忠孝全書」, 北京: 中華書局,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