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Theory of Human Nature in Daesoon Thought

대순사상의 인간 본성론(本性論) 연구

  • Received : 2023.01.22
  • Accepted : 2023.03.08
  • Published : 2023.03.3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human nature in Daesoon Thought. In addition, it seeks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human nature and how the theory of human nature in Daesoon Thought relates to the direction of the Basic Works and the Three Major Societal Works of Daesoon Jinrihoe. In order to understand the theory of human nature in Daesoon Thought, I have classified various theories of human nature that appear in the Confucian tradition and have analyzed and reviewed them. I used this framework of types as a methodological criterion to study the theory of human nature found in Daesoon Thought. In Daesoon Thought, human nature is defined clearly as the conscience that is honest and truthful. Also, it accepts humans' basic biological needs, the pursuit of clothing, food, and sexual desires as part of human nature. This view can be evaluated as quite similar, although not perfectly consistent, with the theory of human nature posited by Wang Fuzhi (王夫之), who defined human nature as a combination of morality and biological desires. The theory of human nature in Daesoon Thought emphasizes human morality, but at the same time, it fully accepts that biological needs are basic elements of human life. In addition, it shows a characteristic that strongly implies a religious tendency as it recognizes that human nature is internalized through divine commands issued by the Supreme God of the Ninth Heaven (九天上帝 Gucheon Sangje), the transcendent and absolute ruler. The Basic Works of Daesoon Jinrihoe, which are Propagation, Edification, and Cultivation, aim to restore human nature to its innate state of honesty and truthfulness. Among the Three Major Societal Works, we can see that the works of Social Welfare and Charity Aid are implemented in accordance with the accepting acknowledgment of basic human needs (the pursuit of clothing, food, and sexual desires), and helping people meet their needs in appropriate ways and to appropriate degrees.

본 논문은 대순사상에서의 인간 본성에 대한 이해와 그 특징을 비롯하여 그 본성론이 대순진리회의 기본사업 및 3대 중요사업의 방향성과 어떻게 연관하고 있는가를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대순사상의 본성론을 이해하기 위해서 필자는 유학전통에서 나타난 여러 본성론을 유형(類型)별로 나누어 이를 분석하고 검토하였다. 이 유형적인 틀을 방법론적 기준으로 삼아 대순사상의 본성론을 살펴보았다. 대순사상에서는 인간 본성을 정직하고 진실한 양심(良心)으로 명확하게 규정하였다. 또한, 의(衣)·식(食)·색(色)의 추구라는 인간의 기본적인 생물학적 욕구도 본성으로 수용하는 태도를 보였다. 이는 도덕성과 생물학적 욕구를 아울러 본성으로 규정한 왕부지(王夫之)의 본성론과 일치하지는 않으나 상당히 유사하다고 평가할 수 있다. 대순사상의 본성론은 인간의 도덕성을 강조하면서도 생물학적 욕구가 인간 삶의 기본적인 요소라는 점을 충분히 수용하고 있었다. 또한, 초월적 절대자인 구천상제(九天上帝)의 명에 의해 본성이 내재화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는 여지를 보임으로써 종교적인 성향을 강하게 내포하는 특징을 보였다. 대순진리회의 기본사업인 포덕·교화·수도에서는 이 정직하고 진실한 본성을 온전하게 회복하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하고 있었다. 3대 중요사업 가운데 사회복지사업과 구호자선사업에서는 의·식·색의 추구라는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를 인정하고 수용하여 적절한 차원에서 이를 보장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전경」 13판,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10.
  2. 「대순지침」 2판,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12.
  3. 「대순진리회요람」, 여주: 대순진리회 교무부, 2016.
  4. 「대순회보」 12호, 서울: 대순진리회 출판부, 1989.
  5. 대순진리회, 「도헌(道憲)」, 1985년 개정판.
  6. 「論語」
  7. 「孟子」
  8. 「荀子」
  9. 朱熹, 「論語集註」
  10. 朱熹, 「中庸章句」
  11. 王夫之, 「尙書引義」
  12. 王夫之, 「張子正蒙注」
  13. 丁若鏞, 「孟子要義」
  14. 丁若鏞, 「中庸自箴」
  15. 고병철, 「대순진리회의 인간관」, 「대순사상논총」 28, 2017. https://doi.org/10.25050/jdaos.2017.28.0.1
  16. 김용옥, 「맹자, 사람의 길」(상.하권), 서울: 통나무, 2012.
  17. 뤼트허르 브레흐만, 「휴먼카인드: 감춰진 인간 본성에서 찾은 희망의 연대기」, 조현욱 옮김, 서울: 인플루엔셜, 2021.
  18. 박병만, 「정약용의 행사(行事) 중심적 수양론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22.
  19. 方立天, 「중국철학과 인성의 문제」, 박경환 옮김, 서울: 예문서원, 2009.
  20. 안신, 「엘리아데의 관점으로 본 대순사상의 인간관 연구」, 「대순사상논총」 33, 2019. https://doi.org/10.25050/jdaos.2019.33.0.1
  21. 안재호, 「왕부지의 인성론 연구」, 「유교문화연구」 2, 2001.
  22. 원석조, 「사회복지개론」, 파주: 양서원, 2007.
  23. 윤용복, 「유교와 대순진리회의 심성론 비교 연구」, 「대순사상논총」 32, 2019. https://doi.org/10.25050/jdaos.2019.32.0.1
  24. 윤재근, 「대순사상의 인간이해」, 「대순사상논총」 16, 2003. http://uci.or.kr/G704-SER000013278.2003.16..001
  25. 윤찬원, 「「태평경」에 나타난 도교윤리」, 「도교문화연구」 10, 1996.
  26. 이경원, 「대순사상의 심체론(心體論) 연구」, 「신종교연구」 6, 2002.
  27. 이운구 역, 「순자」 1, 파주: 한길사, 2018.
  28. 이철승, 「유가 철학에 나타난 인간 본성론의 구조와 현실적 의미: 성선설과 성악설의 구조와 의미를 중심으로」, 「동양철학연구」 36, 2004. http://uci.or.kr/G704-001233.2004..36.002
  29. 이철승, 「왕부지와 정약용 철학에 나타난 본성론 문제」, 「동양철학연구」 108, 2021. https://doi.org/10.17299/tsep..108.202111.105
  30. 蔡仁厚, 「순자의 철학」, 천병돈 옮김, 서울: 예문서원, 2000.
  31. 《네이버 사전》 https://ko.dict.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