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Meaning of Key Passages in The Canonical Scripture that Chronologically Record the Life of Kang Jeungsan: In Comparison to Jeungsan Cheonsa Gongsagi

연대기(年代記)로 본 강증산의 생애에 대한 『전경(典經)』 구절의 양상과 의미 - 『증산천사공사기(甑山天師公事記)』와 관련하여 -

  • Ko Nam-sik (Department of Daesoon Theology, Daejin University)
  • Received : 2023.01.25
  • Accepted : 2023.03.08
  • Published : 2023.03.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examine whether the parallel passages from The Canonical Scripture and Jeungsan Cheonsa Gongsagi (甑山天師公事記 Records of the Reordering Works of Celestial Master Jeungsan), the first full-length record related to the life of Kang Jeungsan compiled by Lee Sang-ho, indicate the same chronology. A comparison of the contents between The Canonical Scripture and Jeungsan Cheonsa Gongsagi revealed the following. The contents of The Canonical Scripture are categorized by a table of contents. By way of contrast, the contents of Jeungsan Cheonsa Gongsagi, is organized year by year. When parallel passages appear, the two texts tend to indicate the same year for specific events, but the chronology of some events do not match. A comparison of the contents of The Canonical Scripture and the first edition of Daesoon Jeongyeong (大巡典經 The Canonical Scripture of the Great Itineration) shows the following. Once again, the contents of The Canonical Scripture are organized via a table of contents. The contents of the first edition of the Daesoon Jeongyeong are also indicated through a table of contents. When lined up for comparison, most of the passages show the same content to have occurred in matching years. However, new contents are contained in this record that were absent in Jeungsan Cheonsa Gongsagi. All of these texts contain a summary of the life of Kang Jeung-san; however, they are organized differently. Jeungsan Cheonsa Gongsagi presents that summary chronologically (year by year with some gaps in years). Daesoon Jeongyeong and The Canonical Scripture both feature a table of contents wherein chapters are based around specific themes. One key takeaway is that different passages appear in the contents of each text. Also, The Canonical Scripture and the first edition of the Daesoon Jeongyeong contain some parallel passages wherein the two texts disagree on what year some events took place. Despite the different style of organization, Jeungsan Cheonsa Gongsagi and The Canonical Scripture can still be compared and such comparison shows the same pattern as comparison between The Canonical Scripture and Daesoon Jeongyeong. As a result of organizing and comparing the contents of the table of contents with the chronological record, the parallel passages wherein chronology is disputed can be highlighted and the introduction of new passages can also be shown.

이글은 강증산 생애 관련 『전경』(1974) 구절들에 맞춰, 이상호가 1926년에 편찬한 강증산에 대한 최초의 추보식 기록인 『증산천사공사기』(1926)에 수록된 연월일 표기와 그 내용이 어떤 관계에 있는가를 살펴볼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전체 『전경』의 각 편(編)별 기록을 연대기에 토대해서 볼 때 각 편들에 두 개의 큰 양상이 나타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그것은 연대기적으로 기록된 편과 그렇지 않은 편이다. 행록, 공사, 교운, 권지 1장은 추보식 연대기 기록으로 명확히 볼 수 있다. 그러나 교법은 전 편에서 연도가 있는 구절이 총 11개, 제생 편은 2개, 예시 편은 5개로 나타나 연대기적 기록으로 보기 어렵다. 『전경』의 내용은 목차별로 되어있다. 이를 연도별로 편찬된 『증산천사공사기』의 내용과 비교해보면 구절들의 대부분이 연도가 같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그 구절 가운데는 같은 구절의 내용인데 서로 다른 연도로 되어 있는 것도 보인다. 새로운 시기의 구절이 나타나기도 한다. 구절에 한 편에는 없는 새로운 내용이 가미되기도 했음을 알 수 있다. 두 문헌에서 같은 내용의 구절이 다르게 연월일이 기록된 것은 추가적으로 복합적 관점에서 다양한 면으로 그 정확한 시기를 찾는 고찰이 필요하다. 크게 보아 주제별로 되어있는 『전경』을 연도별로 정리해서 그 양상을 살펴본 결과는 강증산의 생애에 대한 추보식 정리를 통해 각 편을 통합해서 좀 더 보충적으로 강증산의 행적에 대해 일목요연하게 볼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전경」,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10.
  2. 이상호, 「증산천사공사기」, 경성: 상생사, 1926.
  3. 이상호, 「대순전경」 초판, 경성: 동화교회도장, 1929.
  4. 이상호, 「대순전경」 재판, 경성: 동화교회도장, 1933.
  5. 이상호, 「대순전경」 3판, 서울: 대법사편집국, 1947.
  6. 이상호, 「대순전경」 5판, 김제: 증산대도회본부, 1960.
  7. 이상호, 「대순전경」 6판, 김제: 증산교회본부, 1965.
  8. 고남식, 「해원 주제 강증산 전승 연구」, 건국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3.
  9. 고남식, 「천지공사를 중심으로 본 「전경」과 증산 관련 경전의 경향」, 「신종교연구」 16, 2007.
  10. 고남식, 「강증산 관련 경전의 변이에 대한 고찰: 천지공사 이전의 내용을 중심으로」, 「종교연구」 50, 2008.
  11. 고남식, 「「대순전경」 초판 구절의 변이: 초판 10장을 중심으로」, 「종교연구」 67, 2012. https://doi.org/10.21457/kars..67.201206.207
  12. 고남식, 「「대순전경」의 변이에 대한 연구」, 「종교연구」 75-1, 2015. https://doi.org/10.21457/kars.75.1.201503.59
  13. 고남식, 「1920년대 「증산천사공사기(甑山天師公事記)」에 나타난 해원(解冤)서사의 양상과 그 치유성: ≪강증산 일대기≫ 서사 속 해원을 중심으로」, 「동아시아고대학」 64, 2021. http://dx.doi.org/10.17070/aeaas.2021.12.64.169
  14. 김탁, 「증산교의 교리체계화 과정」,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석사학위 논문, 1986.
  15. 양은용, 「증산교의 성립과 증산천사공사기」, 「한국종교」 30, 2006.
  16. 임영창, 「대순전경의 사적 의의」, 「증산사상연구」 15, 1989.